조아키노 로시니

조아키노 로시니

[ Gioachino Rossini ]

요약 이탈리아의 작곡가. 38곡의 오페라를 비롯하여 칸타타·피아노곡·관현악곡·가곡·실내악곡·성악곡 등 여러 방면을 많이 작곡했다. 이탈리아오페라의 전통을 계승·발전시킨 이탈리아 고전오페라의 최후의 작곡가라 할 수 있다.
출생-사망 1792.2.29 ~ 1868.11.13
국적 이탈리아
활동분야 예술
출생지 이탈리아 페자로
주요작품 《세비야의 이발사》《오셀로》《도둑까치》

페자로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음악가였던 부모님한테서 기악을 배우고 뒤에 교회의 성가대에서 활동하였다. 1804년 전 가족이 볼로냐로 이사하자, 그곳에서 종교음악의 작곡에 뛰어난 안토니오 테제이 밑에서 정식으로 작곡공부를 하고 1806년 볼로냐음악학교에 입학하여 다시 첼로·피아노·작곡 등을 배웠다.

재학 중에 발표한 칸타타 《오르페오의 죽음에 대한 아르모니아의 통곡》으로 상을 받고, 1810년 베네치아에서 공연한 《결혼 어음》으로 그 재능을 인정받았다. 1813년에 상연한 《탕크레디》 《알제리의 이탈리아 여자》가 모두 호평을 받고, 1816년 로마에서 공연한 《세비야의 이발사》가 절찬을 받아 이때부터 그는 일류의 작곡가로 인정받게 되었다. 이어 《오셀로》(1816, 나폴리) 《도둑까치》(1817, 밀라노) 등도 절찬을 받았다.

그리고 1822년에는 빈을 방문하여 로시니 선풍을 일으켰으며, 1823년에는 런던을 방문, 영국왕실로부터 따뜻한 환영을 받았다. 1824년 파리로 건너가서는 이탈리아오페라극장의 감독을 맡아 프랑스 정부로부터 연금과 보수를 받고 작곡에 종사하였다. 그의 작품은 이밖에도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1815, 나폴리) 《신데렐라》(1817, 나폴리) 《이집트의 모세》(1818, 나폴리) 등과 파리에서의 작품 《오리백작》(1828) 《빌헬름 텔》(1829) 등이 있다.

1836년 볼로냐로 돌아와 음악학교 교장으로 여생을 보내다가 1848년 피렌체로 옮겨 잠시 지낸 후 1855년 다시 파리로 건너가 살다가 그곳에서 죽었다. 한편 만년에는 요리연구에 몰두하여 많은 저서를 내기도 하였다. 38곡의 오페라를 비롯하여 칸타타·피아노곡·관현악곡·가곡·실내악곡(현악4중주곡 등)·성악곡 등 여러 방면에서 많은 작곡을 한 그는 이탈리아오페라의 전통을 계승·발전시킨 이탈리아 고전오페라의 최후의 작곡가로 널리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