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계탄광

도계탄광

[ 道溪炭鑛 ]

요약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계읍 전두리에 있는 무연탄 광산. 1936년 삼척탄광으로 개광하여 1950년 대한석탄공사 산하의 도계광업소와 장성광업소로 분리되었다.

삼척탄전 북동단의 도계읍을 중심으로 하는 도계지구에 속하는 무연탄 광산으로, 정식 명칭은 대한석탄공사 도계광업소이다. 일제강점기인 1936년에 삼척개발주식회사가 개광한 삼척탄광을 모태로 한다. 삼척탄광은 광복 후 1950년에 출범한 대한석탄공사에 이관되었으며, 탄광의 규모가 커지자 1951년 도계광업소와 장성광업소로 분리되었다. 이후 도계광업소는 1987년 도계갱과 동덕갱, 흥전갱, 나한갱, 점리갱 등으로 분리되어 운영되다가 1989년 석탄산업 합리화정책이 시행된 뒤 1990년 2월 점리갱이 폐쇄되었고, 1994년부터 흥전갱과 나한갱이 통합되어 도계생산부·동덕생산부·중앙생산부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지질 및 지층은 고생대 캄브리아기의 양덕층군(陽德層), 오르도비스기의 대석회암층군(大石灰岩層群), 석탄기의 만항층(晩項層)·금천층(黔川層), 페름기의 장성층(長省層)·함백산층(咸白山層)·도사곡층(道士谷層)·고한층(古汗層),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의 동고층(東古層) 순으로 퇴적되어 있다. 장성층(두께 150m)에 3~5매의 탄층이 발달하였고, 이 가운데 중층탄 1매(노두 연장 14㎞, 평균 탄폭 2m)에서 채굴이 이루어진다. 주로 채굴이 이루어지는 심도는 지하 454m, 최하부의 심도는 지하 612m에 이른다. 무연탄의 1㎏당 평균 열량은 4715㎉로, 대한석탄공사가 운영하는 3개 광업소 가운데 탄질(炭質)이 가장 높다.

1950년대 이후 상장탄광, 흥국탄광(지금의 경동광업소) 등과 함께 강원도 내 석탄 생산량의 32%를 차지하는 중요한 석탄 산지가 되었으며, 1975년까지 서독에 파견하는 광부들의 훈련소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탄광을 중심으로 광산 취락도 발달하여 1950~1960년 사이에 인구가 세 배 이상 급증하였으며, 1963년에는 도계리가 도계읍으로 승격하였다. 1978년에는 흥전리에 3층 연립의 희망아파트가 건립되었는데, 이는 장성광업소의 화광아파트와 함께 탄광촌 아파트형 사택의 효시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1980년대 중반 이후 석탄 수요가 급감함에 따라 광업소의 규모도 축소되고 탄광촌에도 공동화 현상이 진행되었다.

개광 이래 2014년까지 총 4126만 9787t을 생산하였으며, 2015년에는 32만t을 생산하였다. 2014년을 기준으로 16개 광구(총 면적 52.81㎢, 갱도 길이 130㎞)가 있으며, 이 가운데 6개 광구에서 채굴이 이루어지고 있다. 4개 광구는 채굴이 종료되었고, 나머지 6개 광구는 채굴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무연탄의 총 매장량은 4700만t이며, 이 가운데 기술적·경제적으로 캐낼 수 있는 가채매장량은 2900만t이다.

역참조항목

도화산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