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양

대수양

[ 大首陽 ]

요약 김동인(金東仁)의 장편 역사소설.
저자 김동인
장르 역사소설
발표년도 1941년

1941년 《조광(朝光)》 64호~73호에 연재되었다. 작가는 수양대군을 정치이념이 확고한 역량 있는 통치자로 묘사한 데 반하여 이광수(李光洙)는 《단종애사》에서 어린 왕 단종을 정통왕권으로 간주하고 수양대군의 왕권 찬탈을 비판적 ·부정적으로 묘사하였다. 《대수양》의 중요한 대목을 보면, 수양의 아우 안평대군을 에워싼 김종서(金宗瑞)의 세력이 수양을 거부하고 제거하려 한다는 정보를 수양이 알고 그 세력을 모두 제거한다. 나이 어린 단종은 이 살벌한 분위기 속에서 삼촌인 수양대군에게 정권을 넘겨주게 된다. 수양은 대권을 쥐게 되고 문화창조와 그 창달에 진력한다는 것이다.
김동인은 수양배격론을 사료로 삼았다고 하며, 그는 이 그릇된 사료를 바로잡아 대담한 허구적 작품을 통하여 개혁적인 사상과 일제강점기에서 민족의 주체성을 고취하려고 했던 것 같다. 김동인은 이광수의 보수적 정통론적 사관(史觀)을 비판적으로 보았고, 그러한 견지에서 이광수의 《단종애사》에 대해 정면으로 도전한 문학적 시도로 《대수양》이 쓰여졌다고 판단된다.

참조항목

김동인, 단종애사

역참조항목

역사소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