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

[ Avatamsaka Sutra (The Flower Garland Sutra), Zhou Version, Volume 6 ,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六 ]

요약 중국 당(唐)나라의 실차난타(實叉難陀)가 번역한 화엄경을 고려시대에 목판으로 인쇄한 《화엄경》 제6권. 1981년 3월 18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81년 3월 18일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
시대 고려 숙종 3년(1098)
종류/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크기 1권 1축

1981년 3월 18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목판본이고, 1권 1축이다.

불교 화엄종(華嚴宗)의 근본 경전(經典)인 《대방광불화엄경》은 《화엄경》이라고도 한다. 《대방광불화엄경》은 크고 방정(方正)하고 넓은 이치를 깨달은 꽃같이 장엄한 경이라는 뜻으로, 불타(佛陀)의 깨달음의 내용을 그대로 표명한 경전이다.

이 책은 당나라의 실차난타가 번역한 《화엄경》 주본(周本) 80권 중에서 제6권이다. 닥종이에 찍은 목판본이며 두루마리 형태로 만들었는데, 책을 펼쳤을 때의 크기는 가로 676.6㎝, 세로 29.7㎝이다. 전체 15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 장에서 제7장 22행까지 누락되었다.

자체(字體)·판각(板刻)·판식(板式) 등의 형식이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4(보물)과 비슷하여 같은 시기에 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1098년(고려 숙종 3)에 간행된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37(국보)의 간본과도 비교해볼 때 판각의 솜씨는 좀 떨어지나, 형식은 비슷한 점으로 보아 그 당시인 고려 숙종(肅宗:재위 1095∼1105) 때 개판하여 인출한 것으로 추정된다.

참조항목

화엄경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이미지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 ※ 본 저작물은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로, 해당 저작물은 문화재청 홈페이지(http://www.heritage.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출처: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