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이바꿈혼

누이바꿈혼

요약 두 집안이 딸을 맞바꾸는 혼인 형태.

이러한 혼인을 하게 된 원인에는 크게 2가지가 있다. 첫째는 누이바꿈을 하는 양가(兩家)의 부모가 형제처럼 매우 친하게 지내고 있어 친한 사이를 더욱 돈독히 하기 위한 것이고, 둘째는 두 집이 딸을 맞바꿈으로써 혼수 ·예물을 서로 상쇄하여 혼인 비용을 절약하려는 경제적 이유이다.

지금까지의 연구로는 전자의 경우보다는 후자의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난한 계층에서 자주 보이는 것도 이러한 사실과 깊은 관계가 있다고 한다. 누이바꿈혼과 비슷한 혼인 형태에 물레바꿈혼이 있다. 세 집이 딸을 교환하여 혼인을 맺는 형태로, 갑(甲)이 자기 딸을 을(乙)의 아들과 결혼시키고, 을은 병(丙)에게 시집보내며, 병은 갑에게 딸을 주는 것이다. 세 집의 딸을 마치 물레가 도는 것처럼 주고받는다고 하여 물레바꿈혼이라는 명칭이 생겼다.

역사적으로는 신라시대에 신덕왕(神德王)의 누이가 효공왕(孝恭王)의 비(妃)가 되고, 효공왕의 누이가 신덕왕의 비가 된 예가 있다. 누이바꿈혼이나 물레바꿈혼은 가까운 친척 ·인척 간에 혼인하기를 기피하는 한국의 전통적인 혼인 규정에는 위배되지만, 가난한 계층에서는 최근까지 행하여졌다.

참조항목

교환혼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