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수발견장치

누수발견장치

[ 漏水發見裝置 ]

요약 상수도의 물이 새는 곳을 발견하기 위한 장치.

단순히 수량(水量)면에서 확장공사에 필적할 뿐만 아니라, 일단 단수되었을 때 누수장소로부터 오수(汚水)가 흡인(吸引)될 우려가 있으므로 위생면에서도 중요하다. 누수발견의 원리는 아무리 미소한 누수일지라도 반드시 미소진동이 발생하므로, 이것을 지상 또는 관체(管體)에서 포착하여 전기진동으로 바꾸고, 이것을 증폭해서 포음(捕音)하는 것이다. 그러나 다른 곳에서 오는 방해잡음을 가능한 한 방지하고 옥외작업에 알맞게 하기 위해서는 기계가 견고하고 경량(輕量)이어야 하며, 또 포음기가 고성능이어야 한다.

방법에는 지표상에서 누수를 발견하는 간접법과 소화전(消火栓) ·수량계 등의 부분에서 관체의 일부에 접촉시켜서 발견하는 직접법, 그리고 급수전(給水栓) 등에 매달아 누수진동을 포착하여 추측하는 매달기법 등 3가지가 있다. 이 3가지 방법을 적당히 조합하면 확실하게 누수부분을 발견할 수 있다.

참조항목

상수도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