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시

내시

[ 內侍 ]

요약 고려시대 숙위(宿衛) 및 근시(近侍)의 일을 맡아본 관원.

처음에는 재예(才藝)와 용모에 뛰어난 자로서, 20인 내외로 제한하였으나, 점차 권문세가(權門勢家)의 자제(子弟) 또는 시문(詩文)·경문(經文)에 능통한 문과(文科) 출신으로 임명하였다. 그러나 의종(毅宗) 이후 특히 원(元)나라의 지배를 받으면서 환관이 점차 이 자리를 많이 차지하여 천시의 대상이 되었다.

고려 마지막 왕 공양왕 때의 수는 100명으로, 좌우 번에 각 50명씩 두었다. 고려의 내시는 조선의 환관내시와는 달리, 신분적으로나 정치적으로 영향력 있는 국왕근시직으로 고려지배층의 핵심을 이루었다.

참조항목

내시부, 숙위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