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기생

내부기생

[ endoparasitism , 內部寄生 ]

요약 기생성 생물이 숙주(宿主)의 체내에서 기생하는 것을 말한다. 종류에 따라 기생하는 부위가 다르다.

외부기생에 대응하는 용어이다. 동물의 소화관에 기생하는 회충·십이지장충, 간에 기생하는 간디스토마, 폐에 기생하는 폐디스토마, 세포 속에 기생하는 말라리아병원충, 혈액 속에 기생하는 트리파노소마 등과 같이 종류에 따라 기생하는 부위가 다르다. 내부기생성 생물은 생리적·형태적·생태적으로 극히 특수화되어 있다. 예를 들면 산소가 거의 없는 소화관 속에 기생하는 회충은 산소호흡을 하지 않고 해당(解糖)에 의한 무기호흡을 한다. 촌충의 몸은 숙주에 부착하기 위한 근육질의 빨판이나 홈을 가진 머리와 다수의 편절로 되었고, 각 편절에 자웅의 생식기가 들어 있으며, 원신관(原腎管:배설기의 일종)과 신경 외에 소화관·운동기관 ·감각기관 등은 퇴화하였다.

또한 숙주에 도달할 기회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수많은 알을 낳는다든지, 하나 이상의 중간숙주를 거쳐 최종숙주에 들어가는 등 복잡한 생활양식을 취하고 있다. 흡충류(吸蟲類:디스토마 등)에 있어서는 중간숙주에 들어간 유생(幼生)이 유생생식을 하여 최초의 유생인 미라시듐(miracidium) 1개체에서 수십 또는 수만 개의 메타세르카리아(metacercaria)를 만들어 최종숙주에 들어갈 기회를 엿보게 된다. 이와 같이 내부기생은 기생하는 생물의 종류에 따라 발육사가 다양하다.

역참조항목

메타세르카리아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