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hisel ]

요약 목재·석재·금속 따위에 구멍을 뚫거나 깎아내기 위한 공구.
청동기시대의 끌

청동기시대의 끌

그 기원은 석기시대에서도 볼 수 있다. 당시에는 돌도끼[石斧]에 자루를 붙여 만들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철제 끌을 고분출토품(古墳出土品)에서 볼 수 있는데, 5세기 이후부터 상당한 발달을 보여 주고 있고, 날의 폭도 10여 종이나 사용된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의 끌은 종류가 다양하지만, 기계의 발달과 전동공구(電動工具)의 보급으로 끌의 사용범위는 점점 좁아져 가고 있다. 끌은 자루의 머리에 링이 있고 없음에 따라 구멍파기용과 깎기용으로 크게 나뉜다.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는데,
① 박음끌:홈이나 구멍을 팔 때 망치로 쳐서 사용하는 끌,
② 홈끌:박음끌과 같이 머리에 링이 있으며, 좁고 깊은 홈을 파는 데 알맞은 끌,
③ 밀끌:손으로 밀어 사용하는 끌인데, 대패를 사용하기 곤란한 곳을 깎거나, 대패질할 곳이라도 가공 여유가 많아서 막깎기를 할 때 사용하는 끌,
④ 원형끌:곡면깎기에 쓰이는 끌(여기에는 외원끌과 내원끌이 있다),
⑤ 삼각끌:삼각홈을 파내기에 알맞은 끌 등이 있으며, 이 밖에 얇은끌·긁기끌·맞뚫기끌 등이 있다.

참조항목

공구, 목공구

역참조항목

간석기, 동착

카테고리

  • > >
  • > >
  • > > >

관련이미지

끌

출처: 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