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축명아미타불비상

기축명아미타불비상

[ Stele of Amitabha Buddha with Inscription of "Gichuk Year" , 己丑銘阿彌陀佛碑像 ]

요약 아미타여래와 여러 보살의 군상(群像)을 새긴 통일신라시대의 석상.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기축명아미타불비상

기축명아미타불비상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소재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로 143 (명암동)
시대 통일신라
종류/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크기 높이 57.5cm, 두께 8.5cm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는 57.5cm, 두께는 8.5cm이다.

재료 납석류(蠟石類)의 연질석재(軟質石材). 주형광배(舟形光背)와 같은 형태의 돌 전면에 보살의 군상을 가득히 조각하여 한 폭의 변상(變相)을 대하는 듯한 석상으로, 1960년 9월에 발견된 비암사(碑巖寺) 3석상의 하나이다. 하단에는 단판(單瓣)의 연화좌(蓮華座)가 돌려져 있고 그 위에 난간과 보계(步階)가 만들어졌으며, 다시 그 위에는 파상무늬[波狀文]로 수면을 표현한 연못이 있다. 이 연못 중앙에 큰 연꽃이 솟아났고, 그곳에서 갈라진 연화좌 중앙에는 유달리 크게 조각한 본존(本尊)이 앉아 있으며, 그 좌우에는 직립한 나한상(羅漢像), 보살상, 야차상(夜叉像), 인왕상(仁王像) 등 여러 불상이 나열하고 있어 엄격한 좌우 대칭의 수법을 따르고 있다.

그 윗면에는 화불(化佛) 5구가 반원형으로 연화좌에 앉아 있으며, 다시 그 위에는 주연(周緣)을 따라 화불보다 큰 좌상 7구를 배치하였다. 이 같은 작은 불상 사이에는 큰 나뭇가지와 잎이 있고, 이를 덮고 연주(連珠)와 달개가 사이 사이에 섬세하게 장식되어 장관을 이룬다. 뒷면에는 “己丑年二月十五日 此爲七世父母及∥∥∥∥∥ 阿彌陀佛諸佛菩薩像 敬造” 라는 명문이 있어 689년(신라 신문왕 9)에 조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참조항목

신라미술, 비암사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이미지

기축명아미타불비상

기축명아미타불비상 ※ 본 저작물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로, 해당 저작물은 국립중앙박물관 누리집(홈페이지)(http://www.museum.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출처: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