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저역암

기저역암

[ basal conglomerate , 基底礫岩 ]

요약 부정합면 바로 위의 지층이 역암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미 만들어진 땅의 윗부분이 침식되고 그 위에 다시 땅이 만들어저 생기는 부정합면에 있는 자갈로 이루어진 암석을 말한다. 해안선의 변동에 따라 역층(礫層)이 퇴적하는 장소가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부정합면 위에 일련의 역암층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일련의 지층이기는 하나 전체가 같은 시기에 퇴적한 것은 아니다. 기저역암은 부정합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퇴적물 입자의 크기는 해안으로부터 수심이 깊은 곳으로 가면서 점점 작아진다. 즉, 해안으로부터 역암·사암·셰일의 순서로 퇴적된다. 따라서, 어느 지역의 지층이 지표 위에 오랫동안 노출되어 있다가 부정합면이 생성되고 다시 침강하는 도중에는 역암, 즉 기저역암이 퇴적된다. 또, 이 지역이 더욱 깊이 침강하면 해안으로부터 멀어지므로 역암층 위에 입자가 작은 퇴적물이 쌓이게 될 것이다.

기저역암 본문 이미지 1
변성암기저역암부정합면난정합

참조항목

유도화석, 탄전

역참조항목

부정합의법칙

카테고리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