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매화

금매화

[ 金梅花 ]

요약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금매화의 꽃

금매화의 꽃

학명 Trollius ledebourii
식물
속씨식물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분포지역 한국(평북·함남·함북)
서식장소/자생지 산속 시냇가
크기 높이 40∼80cm, 잎 길이와 지름 6∼12cm, 꽃 지름 2.5~4cm

산속 시냇가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를 치며 높이 40∼80cm이다. 뿌리잎과 줄기잎은 잎자루가 짧고 원심형(圓心形)인데, 위로 올라갈수록 잎자루가 짧고 잎도 작다. 잎은 길이와 지름이 각각 6∼12cm이고 3개로 갈라지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다. 옆갈래조각은 다시 2∼3개로 갈라지는데 가운뎃조각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깃모양으로 갈라지고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의 톱니가 있다.

7~8월에 황색 꽃이 원줄기 또는 가지 끝에 1송이가 피는데 지름 2.5~4cm이다. 꽃받침조각은 5∼7개로 타원형이다. 꽃잎은 5∼10개이고 선형이다. 화분의 외벽의 내층은 두껍다. 수술암술이 많고 꽃밥은 길이 3~5mm이며 암술대는 길이 2.5~3.5mm이다. 골돌(利咨)은 모여 달리고 점착성(粘着性)이 있으며 끝에 뾰족한 암술대가 남아 있다. 관상용으로 심기도 한다. 평안북도·함경남도·함경북도 등지에 분포한다.

역참조항목

큰금매화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