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사록석의

근사록석의

[ 近思錄釋疑 ]

요약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 정엽(鄭曄)이 편찬한 《근사록》 해설서.

목판본. 14권 4책. 김장생(金長生)이 시작한 주석작업을 정엽이 이어받아 체계적인 정리를 하였는데, 그가 죽은 뒤에 생질인 나만갑(羅萬甲)이 정서하여 세상에 전하였다. 그후 송시열(宋時烈)이 본문과 주석을 구분하고 내용을 고증하여 1661년(현종 2)에 간행하였다.

《근사록》은 중국의 주희(朱熹:주자)와 여조겸(呂祖謙)이 학문의 중심이 되고 일상생활에 요긴한 내용들을 편집한 신유학의 중심문헌으로서, 조선에서는 사림파가 널리 보급하고 탐구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근사록석의》는 이황과 이이에 의하여 신유학에 대한 독자적인 이해와 체계가 갖추어진 후 17세기에 이르러 그 연구가 더욱 심화되고 구체화되는 과정에서 산출된 학문적 성과이다.

편자 정엽이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성균관 대사성을 오래 맡은 데서도 알 수 있듯이 당대 학문에 대한 정부조직 내의 중심인물이었고, 편찬에 참여한 김장생과 송시열이 절대적인 권위를 지니고 있던 재야출신의 산림학자였던 만큼 17세기 서인학계의 관심과 입장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근사록》의 원문과 원주(原註) 중에서 문제가 되는 구절을 큰 글자로 제시하고 그 밑에 작은 글씨로 선배 유학자들의 학설을 모은 주석을 붙였으며, 편자의 견해도 실었다. 예를 들어 본문의 첫머리에서는 ‘태극이무극(太極而無極)’이라는 《근사록》 본문의 첫 구절과 그 원주에 대해서 주희의 보충설명을 비롯하여 진순(陳淳)·사방숙(謝方叔)·이황·김장생과 편자의 견해를 수록하였다.

참조항목

근사록, 서인, 정엽

역참조항목

김장생, 나만갑, 산림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