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회석

규회석

[ wollastonite , 硅灰石 ]

요약 칼슘이 함유된 규산염 광물로 칼슘 자리에 철, 마그네슘, 망간이 소량 치환되어 들어갈 수 있으며 삼사정계의 결정형을 갖는다.
규회석

규회석

화학성분 CaSiO3
굳기 4.5~5
비중 2.9
색깔 흰색 또는 회백색
조흔색 흰색

칼슘(Ca)이 함유된 규산염 광물로 칼슘 양이온 자리에 철(Fe), 마그네슘(Mg), 망간(Mn)이 소량 치환되어 들어갈 수 있으며 삼사정계의 결정형을 갖는다. 화학성분은 CaSiO3이다. 보통 흰색 또는 회백색을 띠며 유리 광택을 갖는다. 삼사정계(triclinic system)에 속하는 광물로서 철, 마그네슘, 망간의 함유량에 따라 물리적 성질이 조금씩 달라지며 굳기는 4.5~5, 비중은 2.9이다. 불순물이 함유된 석회석 또는 백운석이 고온 및 고압에 노출 될 때 형성되는데, 이는 때때로 스칸(skarn)이나 변성암과 같이 실리카 함유 유체의 존재 하에서 발생한다. CaCO3 + SiO2 → CaSiO3 + CO2의 반응과정을 거쳐 형성된다. 주로 석회암과 심성암의 접촉대에 산출되며, 투휘석, 석류석과 함께 산출되는 경우가 많다. 이 밖에 단사정계에 속하는 파라규회석이 있으며, 규회석과 외관상으로나 광학적 성질 등이 흡사하다. 일반적으로 가느다란 섬유상 또는 주상 결정의 집합체로 나타나며, 때로는 방사상(放射狀), 속상(束狀) 집합체를 이룬다. 드물게는 판상 결정으로 발견되기도 한다. 굴절률은 결정의 방향에 따라 다르며 1.620~1.634 사이다. 철이나 망간이 칼슘을 치환하여 고용체로 함유되어 있으며, 철과 망간의 함유량에 따라서 이들의 물리적 성질은 달라진다. 

규회석은 휘발성 성분, 백색도 및 침상 입자 모양 등의 특성에 기인하여 세라믹 제조에 있어서 제품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타일 제작 공정 등에 활용되고 있다. 규회석의 세계 매장량은 1억 톤을 초과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중국, 핀란드, 인도, 멕시코, 미국에서 대규모 매장량이 확인되었다. 캐나다, 칠레, 케냐, 나미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스페인, 수단, 타지키스탄, 튀르키예 및 우즈베키스탄에도 분포한다. 규회석의 연간 세계 생산량은 70-72만 톤 정도로 추정된다. 

역참조항목

규산염

카테고리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