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렌 굴드

글렌 굴드

[ Glenn Gould ]

요약 캐나다의 피아니스트. 바흐에 대한 독창적인 해석을 담은 음반 《바흐: 골드베르크 변주곡》으로 명성을 얻었다. 피아노의 천재였지만 기인으로 불렸고 고독한 연주자였다.
출생-사망 1932.9.25 ~ 1982.10.4
국적 캐나다
활동분야 음악
출생지 캐나다 토론토
주요수상 그래미상 베스트 클래식 작곡상(1974), 그래미상 베스트클래식 앨범상, 연주상(1983), 그래미상 베스트 클래식 연주상(1984)
주요작품 《바흐: 골드베르크 변주곡 Bach: The Goldberg Variations》(1955), 《바흐: 푸가의 기법 Bach: The Art of the Fugue》(1962),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1~5번 Beethoven: Piano Concerto No. 1~5》(1957~1966), 《바흐 골드베르크 변주곡 Bach: The Goldberg Variations》(1981)

1932년 캐나다의 토론토 온타리오에서 태어났다. 모피상인 아버지 버트 골드(Bert Gold)는 아마추어 바이올린 연주자였고, 어머니 플로라(Flora)는 피아노와 성악을 공부하고 이를 가르쳤다. 그의 외가 쪽 친척으로 노르웨이의 작곡가 에드바르 그리그(Edvard Grieg)가 있었지만, 굴드가 그를 의식한 적은 거의 없었다. 어머니 뱃속에서부터 음악을 듣고 자란 그는 글 읽는 법을 배우기도 전에 악보를 읽었을 정도로 음악에 천부적인 재능을 타고 났다. 그의 어머니는 그가 앉아 있을 수 있게 되자마자 피아노를 가르쳤고, 이내 그가 절대음감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5세 때 그는 단순한 곡들을 연주할 수 있었으며, 즉흥적으로 곡을 만들어 내기도 했다. 그리고 6세 때 요제프 호프만(Josef Hofmann)의 독주회를 보고 큰 감명을 받아 피아니스트의 꿈을 키웠다.

굴드는 1942년 10세 되던 해에 토론토의 왕립 음악원(The Royal Conservatory of Music)에 입학하여 알베르토 게레로(Alberto Guerrero)의 가르침을 받았다. 게레로는 그의 피아니즘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 스승으로, 낮은 의자에 앉아 건반과 수평이 되도록 손가락을 유지하는 법과 팔의 힘으로 건반을 내려치기 보다는 손가락 끝마디의 힘만을 이용해 연주하는 법 등 굴드 특유의 피아노 테크닉을 가르쳤다. 굴드 자신은 나중에 자신의 연주방식은 모두 스스로 계발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게레로를 스승으로 인정하려 들지 않았지만 말이다. 굴드는 1946년 학교를 졸업하고도 1952년까지 게레로의 지도를 받았다. 그밖에 오르간은 프레더릭 실베스터(Frederick C. Silvester)에게, 음악 이론은 레오 스미스(Leo Smith)에게 배웠다.

1944년 12세 때 키와니스 뮤직 페스티벌에서 우승했고, 이듬해인 1945년 이튼 오디토리엄에서 오르간 연주로 최초의 무대를 가졌다. 또 같은 해 음악원 오케스트라와 함께 본격적인 피아니스트가 되어 베토벤의 4번 협주곡을 연주했다. 굴드의 10대 시절 그의 유일한 우상은 오스트리아의 피아니스트 아르투어 슈나벨(Artur Schnabel)이었다. 특히 그의 베토벤 연주는 거의 매일 들으면서 슈나벨적인 피아노 어법을 만들어내는 미묘한 음조를 찾고자 애썼다. 그는 1947년 토론토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베토벤 협주곡 4번 전 악장을 연주했다. 이로써 그는 고향 무대에서 완전히 입지를 굳히게 되었다.

1955년 워싱턴 D.C.와 뉴욕에서 바흐의 골든베르크 변주곡으로 리사이틀을 개최했다. 하지만 캐나다에서의 성공과는 달리 미국 공연은 사실상 참담했다. 음악적 변방에 속하는 캐나다 출신의 젊은 피아니스트에게 주의를 기울이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그러나 몇 안 되는 청중 가운데 새로운 피아니스트를 찾고 있었던 컬럼비아(CBS) 음반사의 녹음 책임자인 데이비드 오펜하임(David Oppenheim)이 앉아 있었다. 그는 굴드의 연주에 마음을 빼앗겼고, 이튿날 바로 굴드에게 연락해 컬럼비아 음반사와의 녹음 계약을 추진했다. 이 계약은 굴드의 인생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다주었다. 굴드는 1주일에 걸쳐 《바흐: 골드베르크 변주곡 Bach: The Goldberg Variations》 한 곡을 녹음했다.

1955년 굴드가 녹음을 위해 뉴욕의 한 스튜디오에 나타났을 때의 일화는 유명하다. 다소 덥게 느껴지는 6월의 날씨임에도 굴드는 외투를 입고 머플러를 둘렀으며 베레모에 장갑을 끼고 있었다. 또 뉴욕의 물은 믿을 게 못된다며 캐나다에서 직접 생수 2병과 알약이 든 약병 5개를 가져왔고, 보통의 피아노 의자보다 낮은 흔들거리는 접이의자까지 들고 왔다. 그는 또 연주가 시작되기 20분 전에 뜨거운 물에 두 손을 담그고 자신이 가져온 큰 타올로 손을 닦았다. 녹음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음악에 완전히 몰입하여 입을 벌리고 음악을 따라 부르거나 몸을 앞뒤로 구부렸다 폈다를 반복했다. 때로는 지휘를 하듯 손을 내저으며 춤을 추기도 했다. 이러한 기묘한 그의 모습은 연속 스틸사진으로 기록되어 이 음반의 표지로 쓰였다. 그리고 이 음반은 음악 역사상 가장 유명한 음반 중 하나가 되었고, 발매 당시 엄청난 판매량을 기록했다.

굴드의 명성은 무엇보다 그가 처음 발매한 《바흐: 골드베르크 변주곡 Bach: The Goldberg Variations》의 놀라운 성공에 기인했다. 그는 이 음반으로 말미암아 사실상 매우 독창적이며 걸출한 바흐 해석자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그러나 굴드가 한 인터뷰에서 고백했듯이 이것은 이제까지 겪어보지 못한 어려운 시절이 시작되는 계기가 되었다. 갑자기 전 세계에서 연주를 요청하는 주문이 이어졌고, 그는 점점 더 견디기 힘들어했다.

굴드는 1956년부터 1957년 미국 순회연주를 가졌고, 1957년에는 레닌그라드와 모스크바에서 독주회를 개최했다. 소련에서의 연주는 굴드에게 유럽 순회연주를 알리는 첫 신호탄이자 세계무대에 자신을 알리는 절호의 기회였다. 굴드는 바흐와 베르크, 베토벤으로 꾸며진 첫 연주회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이후 베를린으로 건너가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3번을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Herbert von Karajan)이 지휘하는 베를린 필하모니 오케스트라와 협연했다. 두 사람은 이후 서로의 예술에 대해 열렬한 지지자가 되었으며, 이 공연은 굴드의 명성을 한층 더 높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이 같은 해외 연주 여행은 그를 병들게 했다. 군중을 두려워하고 대중 앞에 나서기를 끔찍이도 싫어했던 굴드는 1964년 3월 시카고에서, 4월 로스앤젤레스에서의 연주회를 끝으로 무대에서 내려왔다. 그리고 캐나다에 은거하면서 녹음 위주의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녹음 활동이 연주자가 최상의 컨디션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연주회에서 비롯되는 불확실한 여러 가지 상황을 피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 청중과의 교감을 통해 양산되는 흥분 상태는 진짜 연주가 아니라고 생각했다. 굴드는 피아니스트에서 배우로, 철학자로, 그리고 라디오 제작자로 다양하게 삶을 변주하며 1982년 50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했다.

굴드는 사망하기 바로 전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을 또다시 녹음했다. 본래 한 번 녹음했던 것을 다시 녹음하는 경우가 거의 없었던 그로서는 매우 이례적인 경우라 할 수 있다. 1981년에 발표된 두 번째 녹음에는 디지털 음을 포함한 최신 기술을 이용했으며, 그가 평소 선호했던 스타인웨이 피아노가 아닌 야마하 피아노를 사용했다. 1955년 음반이 바흐에 대한 새로운 해석으로 신선함과 명쾌함, 질주하듯 빠른 속도감을 보여주었다면, 1981년 음반은 중년에 접어든 피아니스트의 관조와 여유, 고양된 예술정신을 느끼게 해준다.

그밖에 음반으로는 《바흐: 파르티타 Bach: Partita No. 5 in G major》(1956~1957), 《바흐: 푸가의 기법 Bach: The Art of the Fugue》(1962), 《바흐: 평균율 클라비어 1권, 2권 Bach: The Well-Tempered Clavier, Book 1, 2》(1962~1971),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1~5번 Beethoven: Piano Concerto No. 1~5》(1957~1966), 《힌데미트: 소나타 1번 가(A)장조와 3번 내림나(B플랫)장조 Hindemith: Piano Sonatas No.1》(1966~1967)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