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거리나무

굴거리나무

요약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대극과의 상록 소교목.
굴거리나무의 수꽃차례

굴거리나무의 수꽃차례

학명 Daphniphyllum macropodum
식물
속씨식물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분포지역 한국(남부)·일본·타이완·중국
서식장소/자생지 산기슭 숲속
크기 높이 7∼10m

굴거리나무는 굿을 하는데 사용되어 굿거리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으며, 우리나라 남쪽 산야에서 자란다. 높이는 7∼10m까지 자란다. 잔가지는 굵고 녹색이지만 어린가지는 붉은빛이 돌며 털이 없다. 잎은 타원형으로 어긋나고 가지 끝에 모여 나며 길이 12∼20cm이다. 잎 표면은 진한 녹색이고, 뒷면은 회색빛을 띤 흰색이다. 잎맥은 12∼17쌍으로 고르게 나란히 늘어서고 붉은색 또는 녹색의 긴 잎자루가 있는데 잎자루 길이는 3∼4cm이다. 한겨울에도 잎이 마르거나 시들지 않고 녹색을 유지한다.

3∼4월에 녹색이 돌고 화피가 없는 꽃이 피는데, 꽃은 단성화로 암수한그루, 잎겨드랑이총상꽃차례로 핀다. 수꽃에는 8∼10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에는 둥근 씨방에 2개의 암술대가 있으며 씨방 밑에 퇴화한 수술이 있다. 열매는 긴 타원형이며 10∼11월경 검은 자주색으로 익어간다.

정원수로 심고 한방에서는 잎과 줄기 껍질을 습성 늑막염·복막염·이뇨 치료에 쓰며, 민간에서는 즙을 끓여 구충제로 쓴다. 한국(전라남도·전라북도·경상남도·경상북도·충청남도)·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상록활엽수의 밑에 잘 자라는 내음성 식물이다. 대기오염이나 바람에 강해서 가로수로 남부지방에서는 적합하다.

주로 동아시아 열대에 생육하며 굴거리나무속(Daphniphyllum)은 약 30여종이 알려져 있다. 한반도에는 좀굴거리나무(D. teijsmannii Zoll. ex Teijsm. & Binn.)와 함께 2종이 분포한다. 통상 맥수와 잎의 크기로 좀굴거리와 구분하지만 겨울눈의 형태가 서로 다르며 좀굴거리는 해안 음지대에 더 많이 확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