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에너지계획

국제에너지계획

[ 國際─計畵 ]

요약 국제적으로 에너지 또는 대체 에너지의 개발계획 등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최근에 에너지 연구 및 개발의 많은 부분이 새로운 에너지나 대체 에너지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고, 에너지 시스템의 구성 측면에서도 디젤기관 ·가스터빈 ·가스엔진 ·풍력 등을 이용한 분산형의 소형 전원, 열병합(cogeneration), 연료전지 등의 중소규모 에너지 변환기기가 개발 ·실용화되었다. 또한 화석연료 연소에 따른 지구온실효과 문제가 각국의 에너지 산업 방향에 영향을 주게 되었다.

최근에 에너지 산업에서도 산업구조의 지식 집약화와 에너지 절약, 특히 철강업 ·화학산업에서 생산품의 에너지 원단위의 저하, 자동차 연비 향상, 각종 기기의 효율향상에 기인하는 에너지 수요특성의 변화 및 석유의존율 저하에 따라 에너지 연구 및 개발의 많은 부분이 새로운 에너지나 대체 에너지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에너지 시스템의 구성 측면에서도 대규모 발전설비와 시스템의 결점이 지적되면서 최근에는 디젤기관 ·가스터빈 ·가스엔진 ·풍력 등을 이용한 분산형의 소형 전원, 열병합(cogeneration), 연료전지 등의 중소규모 에너지 변환기기가 개발 ·실용화되었다. 따라서 기존 발전 시스템을 보완하고, 에너지 공급에 따라 수요를 조정하여 공급설비의 가동효율을 높여 비용절감을 시도하는 로드매니지먼트(loadmanagement)가 도입되었다. 또한 화석연료 연소에 따른 SOx, NOx 발생으로 생기는 산성비와 프레온 가스로 인한 성층권의 오존층 파괴, 메탄가스 ·탄산가스의 배출로 인한 지구온실효과 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기 시작하면서 국제 에너지 정책은 많은 수정을 하였다. 특히 지구온실효과 문제는 국가 에너지 정책, 에너지 산업의 기본적 방향에 큰 영향을 주게 되었다.

탄산가스는 화석연료를 소비하는 한 발생되므로 그 원인인 화석연료는 현재 세계 에너지원 중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탄산가스의 억제대책으로 에너지 절약, 에너지 구성의 변환, 배출가스로부터 탄산가스의 제거 등의 과제가 남아 있다.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