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 동사지 오층석탑

하남 동사지 오층석탑

[ Five-story Stone Pagoda at Dongsa Temple Site, Hanam , 河南 桐寺址 五層石塔 ]

요약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하남 동사지 석탑

하남 동사지 석탑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관리단체 하남시
소재지 경기 하남시 춘궁동 466번지
시대 고려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크기 높이 7.5m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7.5m.

신라의 양식을 계승한 방형의 석탑으로, 기단이 단층으로 되어 있는 점이 특이하다. 지대석은 몇 장의 판석(板石)을 세워 만들고 그 윗면 가운데에 있는 굄이 중석(中石)을 받들고 있다. 이 중석도 몇 장의 판석을 세워 만들었는데, 4면에는 하나의 우주(隅柱)와 탱주(撑柱)의 모양만을 얕게 새기고 있다.

2단 구성의 초층 옥신은 광주 서오층석탑에서 볼 수 있으나 신라시대의 양식에는 없었던 것이다. 즉, 초층 옥신의 1단은 기단 갑석 위에 4개의 사각형의 돌로 이루어졌고, 그 위에 1매석을 얹어 결국 2단의 옥신이 되었다. 2층 이상의 옥신은 l매석이고, 우주(隅柱)의 형체들도 모양을 얕게 새겼으나 우동(隅棟)은 뚜렷하며 각 층의 체감률은 큰 편이다.

옥개(屋蓋)는 초층∼3층이 4매석, 4층이 2매석, 5층이 1매석으로 되었고, 옥개석 받침은 초층이 5단, 2∼4층이 4단, 5층이 3단으로 차례로 줄어들었다. 각 층의 추녀 밑은 수평을 이루어 낙수면의 경사가 완만하나 전각(轉角)은 경쾌하다. 그리고 각 층마다 1단의 옥신굄이 있어 각 층의 옥신을 받들고 있다.

참조항목

춘궁동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하남 동사지 오층석탑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보물 제12호   신라의 양식을 계승한 방형의 석탑으로, 기단이 단층으로 되어 있는 점이 특이하다. 지대석은 몇 장의 판석을 세워 만들고 그 윗면 가운데에 있는 굄이 중석을 받들고 있다. 2단 구성의 초층 옥신은 광주 서오층석탑에서 볼 수 있으나 신라시대의 양식에는 없었던 것으로 초층 옥신의 1단은 기단 갑석 위에 4개의 사각형의 돌로 이루어져 있다. 옥개는 초층∼3층이 4매석, 4층이 2매석, 5층이 1매석으로 되었고, 옥개석 받침은 초층이 5단, 2∼4층이 4단, 5층이 3단으로 차례로 줄어들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