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중동 석조

공주 중동 석조

[ Stone Basin in Jung-dong, Gongju , 公州 中洞 石槽 ]

요약 국립공주박물관에 있는 백제시대의 석조.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공주 중동 석조

공주 중동 석조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장 국립공주박물관
소재지 충남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웅진동)
시대 백제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기타
크기 지름 1.34m, 높이 72cm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지름 1.34m, 높이 72cm.

원래 충청남도 공주시 반죽동 대통사(大通寺) 절터에 있었는데, 일제강점기 때 헌병대가 말구유로 사용하기 위하여 그 중 하나를 그들이 주둔해 있던 중동국민학교로 옮겨놓은 까닭에 이 이름이 붙었다. 당시 구유로 이용할 때 파괴되어 현재는 테두리 일부와 탱석(撑石) 및 대석(臺石)이 보수되어 원형을 잃었다.

규모는 공주 반죽동 석조보다 약간 작을 뿐 각 부의 양식이나 조각수법이 같은 것으로 보아 한 쌍으로 배치하기 위하여 동시에 만든 것으로 짐작된다. 석조를 받치고 있는 탱석부는 보수된 것이지만 정사각형의 지대석(地臺石) 위에 원주형의 탱석이 놓이고, 그 바깥에 홑잎 12꽃잎의 입상형(立狀形) 복련(覆蓮)무늬를 새겨서 장식한 양식은 원형 그대로를 모조한 것이다. 둥근 석조는 넓적한 대접 모양이고 그 외면에 2가닥의 띠를 둘렀으며, 4곳에 연화(蓮花)무늬 원좌(圓坐)를 장식하였고, 공주반죽동 석조에 비하여 각 부에 파손이 적은 편이어서 무늬가 훨씬 뚜렷하다. 연꽃무늬와 석조의 형태는 백제의 불교미술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역참조항목

중학동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공주 중동 석조 공주 대통사터에 있던 백제시대 석조 보물 충남 공주시 웅진동 국립공주박물관 정원에 있는 백제시대 석조로, 원래는 "공주 반죽동 석조"와 함께 공주 반죽동 대통사(大通寺)터에 있었으나 일제의 헌병대 말구유로 사용하기 위해 중동국민학교로 옮겨져 "중동 석조"의 이름이 붙여졌다.  석조는 지름 1.34m, 높이 72cm로 규모는 "공주 반죽동 석조"보다 약간 작지만 각 부의 양식이나 조각수법이 같은 것으로 보아 한 쌍으로 배치하기 위하여 동시에 만든 것으로 짐작된다.  말구유로 사용되면서 테두리와 탱석, 대석이 파손되어 보수되면서 원형을 일부 잃었으나 석조 바깥 면의 2줄의 작은 띠와 2줄 띠 위에 일정하게 새겨넣은 연꽃은 반죽동 석조에 비하여 문양이 훨씬 뚜렷하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