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서린

공서린

[ 孔瑞麟 ]

요약 조선 중기 중종 때의 문신이다. 승지로서 기묘사화 때 조광조와 함께 투옥되었다. 기묘사화 때 화를 입은 선비들의 무죄를 상소하여 여러 번 삭직되었다. 김안로가 죽은 뒤 경기도관찰사·대사헌, 황해도관찰사를 지냈다.
출생-사망 1483 ~ 1541
본관 창원(昌原)
희성(希聖)·응성(應聖)
휴암(休巖)
시호 문헌(文獻)
국적 한국
활동분야 정치

본관은 창원(昌原)이며 자는 희성(希聖)·응성(應聖), 호는 휴암(休巖)이다. 공의달(孔義達)의 아들로 일찍이 김굉필(金宏弼)의 문하에서 배우면서 조광조(趙光祖)와 친교가 있었다. 1507년(중종 2)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1509년(중종 4) 좌랑으로서 정전예연(正殿禮宴)에서 여악(女樂)을 쓰지 말 것을 건의하였다. 1511년 사간원정언을 거쳐 홍문관부수찬·수찬·사헌부지평을 역임하였으며, 1516년 장령(掌令)으로 경연(經筵)에 참석하여 언로(言路)의 확장을 주장했다.

1518년 승지(承旨)로서 대관을 논박했다는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물러났다. 1519년 다시 좌승지에 올랐으나 기묘사화로 인해 조광조와 함께 투옥되었다가 곧 풀려났다. 그 뒤 시사(時事)에 대해 분격하여 재상을 공격하고, 기묘사화 때 화를 입은 선비들의 무죄를 상소하여 여러 번 삭직되었다. 정권을 장악하고 횡포를 부리던 김안로(金安老)가 죽은 뒤, 1538년 경기도관찰사 ·대사헌(大司憲)을 역임하고 이듬해 황해도관찰사가 되었다.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