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경

고려경

[ 高麗鏡 ]

요약 고려시대에 청동으로 만든 거울.

국의 거울 공예는 고조선 때부터 시작되어 고려시대에 와서 크게 발전하였다. 고려시대에는 한, , , , 나라의 영향을 받은 여러 종류의 다양한 거울이 만들어졌다. 지금까지의 고려경의 유물은 대부분 껴묻거리이며 일부가 절에 있던 것들로서 고려경의 다양한 형태와 여러 가지 세련된 무늬, 그리고 금속 가공의 높은 기술을 보여준다.

거울의 형태는 둥근 것이 기본이다. 그 밖에 네모난 것이 있고 여기에 여러 가지 변화를 준 귀접은 사각형, 귀접은 팔각형, 전통적인 팔릉형(八稜形)과 팔화형(八花形), 사릉형, 육릉형, 십이릉형, 십육릉형과 사화형, 오화형, 육화형 등이 있다. 이 밖에도 종형·병형·하트형 등과 자루가 달린 것도 있다.

거울의 뒷면에는 여러 가지 무늬가 장식되어 있으며 그 가운데에는 한 개의 꼭지가 있는 것이 보통이다. 무늬는 새·학·거북·사슴·연꽃·모란꽃·구름·달·해·별·용·궁전·누각·다리 등 다양하다. 또한 고려경에는 무늬 없는 것과 글자를 새긴 것도 있다.

참조항목

청동거울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