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도서집성

고금도서집성

[ 古今圖書集成 ]

요약 중국 청(淸)나라 때에 편찬된 백과사전.
고금도서집성

고금도서집성

구분 백과사전
시대 1725년

정식 명칭은 《흠정고금도서집성(欽定古今圖書集成)》이다. (康熙帝) 때의 진몽뢰(陳夢雷)가 시작한 것을 (雍正帝) 때의 장정석(蔣廷錫)이 이어받아 1725년에 완성하였다. 1777년(정조 1) 청나라에 로 파견된 이은(李溵), 서호수(徐浩修) 등이 정조의 명령에 따라 은자 2,150냥을 주고 이를 1부 구입해온 바 있다.

총 권수 1만 권, 5022책, 목록 40권이며, 천문(天文)을 기록한 역상휘편(曆象彙篇), 지리·풍속의 방여휘편(方輿彙篇), 제왕·백관의 기록인 명륜휘편(明倫彙篇), 의학·종교 등의 박물휘편(博物彙篇), 문학 등의 이학휘편(理學彙篇), 과거·음악·군사 등의 기록인 경제휘편 등의 6휘편으로 되어 있다. 이를 다시 32전(典) 6,109부(部)로 세분하였다. 각 부는 휘고(彙考)·총론·도표·열전(列傳)·예문(藝文)·선구(選句)·기사(紀事)·잡록(雜錄) 등으로 구분된다.

중국 최대의 으로, 당시에는 이를 (類書)라 하였다. 원판은 구리활자판인데 매우 희귀하며, 현재 이용되는 유포본(流布本)은 1884년 상하이 도서집성국[上海圖書集成局]에서 간행된 것으로 오류가 많다. 1890년 상하이 동문서국[上海同文書局]이 영인한 것에는 고증이 첨부되어 있어 유포본보다는 비교적 정확하다. 으로 《고금도서집성 분류목록》(1912년 일본 문부성편, 1책), 《An Alphabetical Index to the Chinese English Encyclopaedia》(1911년 대영박물관 간행, L.자일스 편저) 등이 있다.

참조항목

역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