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층

계층

[ stratum , 階層 ]

요약 재산·지위·신분 등 객관적 조건이 동일한 사람들의 집단.

계급, 사회적 성층(成層) 등과 함께 사회구성을 밝히기 위해 사용하는 구분이다. 계급이 주로 물질적·객관적 기반에 입각하여 경제적인 측면에서 사회구성을 밝히는 개념인 데 대하여, 계층은 여러 지표를 써서 사회 및 집단의 구성을 내부적으로 밝히는 데 사용된다. 또 계급의 경우 각 계급 간의 역학적 관계가 문제되지만, 계층에서는 각층 간의 역학적 관계의 존재를 따질 필요가 없다. 즉, 정치·경제·직업 등을 지표로 정하고, 그 내부구성을 밝히는 데 사용되는 개념인 것이다.

동일한 계급 내에서도 성(性)·연령·소득·의식수준 등을 기준으로 몇 가지 층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사회구성의 구체적 내용이 더욱 명확해진다. 여기서는 어떠한 지표를 택하느냐, 또 여러 지표를 어떻게 짜맞추느냐가 문제가 된다. 지표에 따라 구분하기 위해, 품등화(品等化)하고 척도화(尺度化)하는 절차를 격부여(格賦與:ranking)라고 한다.

계층구분의 접근방법에는 여러 방법이 있는데, 객관적인 지표에 따라 구분하는 경우와 주관적인 요소를 덧붙여서 구분하는 경우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후자에는 자기의 소속 계층을 묻는 자기식별법과 태도조사에서 사용되는 주관적 인자(因子)에 입각한 계층식별법이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미국의 사회심리학자 센터츠의 C.R.배터리(conservatism-radicalism battery)가 있다. 지표로서는 문화·교육정도·수입·거주지·주거 등이 있고, 사회·경제적 지위척도가 사용된다.

미국 등에서 주로 계층의 개념이 쓰이는 이유는, 실태적 분석을 진행시키는 데 따르는 필요성 때문이다. 또 다른 이유로 계급의 개념에 대항하기 위해서 쓰이기도 하는데 바로 이 점에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사회를 각 계층의 누적으로만 파악하려는 것으로, 사회구성 원리와의 관련은 경시된다. 사회의 현실적 구성을 알기 위해서는 그 구성의 기초가 되는 계급관계부터 밝힌 다음, 그 구체적 내용을 밝히기 위한 계층적·층적(層的) 구분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래야만 각 계층간의 관련과, 그 구조·동향을 깊이 분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참조항목

개방적 계층, 사회계층, 사회심리학, 신분, 사회적 성층

역참조항목

계급, 권력, 데클라세, 직업계층, 노멘클라투라, 계층구조, 폐쇄적 계층구조·개방적 계층구조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