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방침

경영방침

[ business policies , 經營方針 ]

요약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같은 종류의 문제에 대하여 의사결정에 일관성(一貫性)을 부여하기 위하여 기업이 설정한 지도원칙이나 또는 그 실행절차.

경영방침은 기본방침(basic policies), 일반방침(general policies) 및 부문방침(departmental policies)의 3단계로 구분된다. 기본방침은 기업의 경영이념, 기본적인 경영태도나 기본적인 경영목표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사회에서 결정되어 그것은 사시(社是)나 경영이념으로서 명문화되는 경우가 많다. 일반방침은 전반적인 경영에 대해서의 지도원칙이며 회사 전체의 인사방침, 조직방침이나 관리방침이 포함된다. 사장에 의하여 결정되어 이사회의 승인을 받는다. 부문방침은 사업부방침을 비롯하여 제조방침 ·영업방침 ·구매방침 ·연구개발 방침과 같이 특정한 부문활동에 대한 지도원칙이며, 부문경영자가 결정하여 사장의 승인을 받는다. 다만, 일반방침과 부문방침의 구별은 유동적이며 마케팅 지향(志向)의 소비재 제조업체나 유통업에서는 영업방침, 연구개발 지향의 제조회사에서는 연구개발방침이 일반방침의 성격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방침은 반복적 조건하에서 일어나는 행동에 대한 결정 룰이며, 환경의 변화에 관계 없이 항상적(恒常的)인 성질의 것이다. 예를 들면, “고객은 항상 올바르다”라고 하는 기본방침, “인사는 정실을 배제하고 공평과 능력주의를 원칙으로 한다”고 하는 인사방침, 또는 구매결정에는 복수견적제(複數見積制)를 취하여 경쟁가격주의로 한다’는 구매방침은 기업환경의 변화에 관계 없이 유효한 결정 룰이다. 이에 대해 전략은 같은 결정 룰이기는 하나 방침과 다른 점은 환경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결정 룰이며, 따라서 환경이 바뀌면 전략도 변한다.

경영방침의 명확화는, ① 목적달성을 위한 수단의 선택에 일정한 제약을 주고, 일정한 방향으로 각자의 노력을 집중시키고, ② 권한이양을 쉽게 하여 관리자는 예외원칙에 의하여 관리할 수 있고, ③ 문제처리에 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④ 각 부문의 활동의 조정을 쉽게 하는 점 등의 장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