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로

결로

[ dew condensation , 結露 ]

요약 수분을 포함한 대기의 온도가 이슬점 이하로 떨어져 대기가 함유하고 있던 수분이 물체 표면에서 물방울로 맺히는 현상이다.

공기 중에는 약간의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는데, 그 양은 같은 기압 아래서 온도에 따라 최대한도가 정해져 있다. 어떤 온도의 공기가 그보다 차가운 벽에 접촉하여 기온이 내려갔다고 하면, 이 공기의 상대습도(相對濕度)가 올라간다. 그것이 이슬점[露點]에 이르면 수증기는 물방울이 되어 벽면에 맺힌다. 건물 내부는 일반적으로 옥외보다 온도가 높고, 수증기를 발산시키는 근원이 많기 때문에 안팎의 온도차가 크며, 또한 환기를 자주 하지 않는 겨울철에는 결로에 의한 건물의 피해가 문제될 때가 있다.

결로를 방지하려면 옥내의 환기나 공기의 유통이 잘 되도록 하여 습도가 높은 공기가 정체되는 것을 피하고, 물주전자 등 수증기 발산의 근원이 되는 부분은 국부적인 배기를 한다. 가급적 건물의 보온정도를 높여서 천장이나 벽의 표면온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결로하기 쉬운 부분을 흡습성(吸濕性)이 있는 재료로 마무리하면 조절작용에 의해서 피해를 적게 할 수 있다.

역참조항목

난방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