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습운동

건습운동

[ hygroscopic movement , 乾濕運動 ]

요약 건습(乾濕)의 변화가 원인이 되어 생기는 식물의 운동으로서, 후형질인 세포막이 건조하여 일어나는 비생리적 물리적 운동이다.

팽윤운동(膨潤運動)이라고도 한다. 생장운동(生長運動)과 팽압운동(膨壓運動)이 생명현상에 직접 기인하는 것에 반하여, 건습운동은 후형질(後形質)인 세포막이 건조하여 수축하거나 흡습하여 팽윤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서 비생리적인 물리적 운동이다. 종자나 포자의 살포 등 번식에 관계가 있는 경우에 그 예가 많다. 육생 양치류의 포자낭은 건조하면 쪼개져서 포자를 튕겨 버린다. 속씨식물에서는 콩과식물의 대부분, 이질풀·괭이밥·제비꽃 등 많은 종류의 열매의 열개가 건습운동이다. 특히 수축이나 팽윤의 방향성은 세포막 속에 뻗어 있는 셀룰로스성(性) 미세구조의 방향과 관련이 있다.

참조항목

열개, 팽윤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