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세

거세

[ castration , 去勢 ]

요약 동물의 생식선(生殖腺)을 제거하여 생식기능을 없애는 일.

수컷의 경우는 고환을, 암컷은 난소를 제거함으로써 성선(性腺)호르몬의 분비가 단절되어 생식 불능이 되고 제2차 성징(性徵)이 나타나지 않거나 퇴화현상이 일어난다. 인간의 경우는 X선 조사(照射)나 질병 등으로 성선의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도 넓은 뜻의 거세에 해당한다.

의학이나 생물학, 축산면에서 연구와 이용가치의 증대 등을 목적으로 행하는데, 의학 ·생물학적으로는 생리학적인 존재의의, 주로 성(性)호르몬의 결핍으로 일어나는 생리적 ·병리적인 여러 가지 장애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행하고, 의료상으로는 생명에 위험을 미치는 질병이 생식선에 발생한다든지 악질의 유전형질이 뚜렷할 때 그 화근을 단절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또 인간에게는 의료상의 목적이 아니면서 남성을 거세한 예가 있다. 옛날 중국이나 한국에서 죄인 등을 거세하여 환관(宦官:내시)으로 궁녀들의 틈에서 일하게 하였고, 서양에서는 가톨릭 성당에서 합창단원에게 언제까지나 동성(童聲)을 잃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미성년 때에 거세하는 풍습이 근세까지 러시아에 전하여지고 있었다. 동물에서는 질병의 치료뿐 아니라 그 이용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도 쓰인다. 즉, 거세에 의하여 난폭한 동물이 온순해져서 사양관리(飼養管理)가 쉽고, 교미능력의 상실로 자웅의 혼용사역(混用使役)이 가능하며, 가축개량상 종축(種畜)으로서 가치가 없는 것의 생식능력을 제거하는 데 좋고, 또 고기 질도 연해지고 비육에 유리한 점 등에서 이 방법이 적극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말은 사역을 위한 유순화를 목적으로, 면양(緬羊)은 비육과 모질(毛質)의 개선을, 돼지나 닭은 비육을 목적으로 고환제거를 하고, 개나 고양이는 발정기의 시끄러움을 피하고 잡종의 번식을 막기 위하여 난소를 적제한다.

거세방법으로서는 외과적인 수술로 고환을 적제하거나, 정계[精系:고환에서 복벽(腹壁)으로 이어져 있는 새끼손가락만한 크기의 줄. 편평한 원기둥 모양으로, 수정관 ·임파선 ·신경 ·동맥 ·정맥 따위가 들어 있음]를 겸자(鉗子:외과 수술 용구)로 으깨버리거나, 실로 묶어서 무혈적으로 그 목적을 달성하는 것들이 있다. 또한 생식선에 민감한 방사선을 일정량 이상 조사하여 그 능력을 상실하게 하는 방법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