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황 초상

강세황 초상

[ Portrait of Kang Se-hwang , 姜世晃 肖像 ]

요약 조선시대 서화가 강세황의 초상화 2폭. 1975년 5월 16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강세황 초상

강세황 초상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75년 5월 16일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조선 정조 6, 7년
종류/분류 유물 / 일반회화 / 인물화 / 초상화
크기 강세황자필본 가로 60cm·세로 88cm, 이명기필본 가로 94cm·세로 145cm

1975년 5월 16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1) 강세황자필본(姜世晃自筆本):견본채색(絹本彩色)의 족자 1축. 크기 60×88cm. 1782년 작. 무릎을 꿇고 앉은 전신상으로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머리에는 오모(烏帽)를 쓰고 유복(儒服)을 입었으며 칠분좌안(七分左顔)을 하였다. 초상화 윗부분에 다음과 같은 강세황이 쓴 찬문(撰文)이 있으며, 끝에 ‘姜世晃印’의 음각으로 된 방인(方印)과 ‘光止’의 양각 방인이 찍혀 있다. 이 영정은 표암초상 4폭 중에 자작찬문을 곁들인 유일한 그림이다.

(2) 이명기필본(李命基筆本):견본채색의 족자 1축. 94×145cm. 화원이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호피의자에 앉아 칠분좌안(七分左顔)한 상(像)으로 녹색도포 단령(團領)에 쌍학흉배(雙鶴胸背)에 사모(紗帽)를 썼다. 오른손을 무릎 위에 살며시 두고 양 무릎간의 의문(衣文)의 표현이 개방적이며 보다 안정된 형식이 표출되어 있다. 옷의 굴절이 구체화되었고 묘사는 매우 밝으며, 형식이나 옷은 중후하고 심오한 작풍을 띠었다. 화면의 오른편 위 여백에 “豹菴 姜公七十一歲眞”이라 제(題)한 글이 있고, 그 아래 어제제문(御製祭文)이 씌어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조항목

강세황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