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염바이러스

간염바이러스

[ Hepatitis viruses ]

요약 간염의 원인 바이러스로 A, B, C, D, E, G형의 존재가 알려져 있다.

감염되면 간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를 간염바이러스라고 부르며 A형간염바이러스(Hepatitis A virus, HAV), B형간염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 C형간염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HCV), D형간염바이러스(Hepatitis D virus, HDV), E형간염바이러스(Hepatitis E virus, HEV), G형간염바이러스(Hepatitis G virus, HGV)가 보고되어 있다.

A형간염바이러스는 A형간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피코르나비리데(Picornaviridae)과에 속하며 유전체로는 단일가닥 RNA를 가지고 있다. 크기는 27~32nm이고, 바이러스의 겉을 싸고 있는 피막은 존재하지 않는다. A형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되면 4주 정도의 잠복기를 거친 뒤 발열, 식욕감퇴, 구토, 쇠약감, 복통, 설사 등의 급성간염 증상이 나타난다. 하지만 유·소아기 때 감염되었다면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A형간염바이러스는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먹을 때 같이 경구적 경로를 통해 감염된다. 따라서 물이나 음식 등의 위생 상태를 좋게 만들면 A형간염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또 A형간염바이러스에 대한 예방 백신도 나와 있다.

B형간염바이러스는 B형간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헤파드나비리데(Hepadnaviridae)과에 속한다. 유전체로는 이중가닥 DNA를 가지고 있으며 크기는 42nm 정도이고, 겉은 피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B형간염바이러스의 표면에 존재하는 HBs항원에 따라 adr, adw, ayr, ayw의 4가지 아형(亞型)으로 나눌 수 있다. B형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된 뒤 1~4개월의 잠복기가 지나면 피로감, 오심 등의 급성간염 증상이 생기며 이어 황달이 나타나며 만성간염으로 진행될 수 있다. 만성간염증이 지속되면 간경변, 간암 등의 간질환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B형간염바이러스는 이 바이러스에 오염된 혈액을 통해 전파된다. B형간염바이러스 백신이 개발되어 B형간염을 예방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모든 신생아에게 B형간염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

C형간염바이러스는 C형간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플라비비리데(Flaviviridae)과에 속하며 유전체로는 단일가닥 RNA를 가지고 있다. 크기는 30~38nm이고 겉은 피막으로 싸여있다. C형간염바이러스는 돌연변이를 잘 일으키기 때문에 70개 이상의 다양한 아형이 존재한다. C형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된 뒤 1~5개월의 잠복기를 거치면 급성 C형간염이 나타나게 되고, 이어 만성간염으로 진행된다. C형간염바이러스는 혈액을 통해 전염되며 C형간염바이러스를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은 아직 개발 중이다.

D형간염바이러스는 불완전한 바이러스로, B형간염바이러스가 있을 때만 바이러스 입자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D형간염바이러스가 B형간염바이러스와 동시에 감염되거나, B형간염바이러스를 이미 가지고 있는 B형간염 보균자에게 감염될 때만 D형간염을 일으킨다. D형간염바이러스는 유전체로 단일가닥 RNA를 가지고 있으며 크기는 35~43nm 정도이고, 겉은 피막으로 싸여있다. D형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되고 1~3개월의 잠복기를 거친 뒤 B형간염과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D형간염이 나타난다. D형간염바이러스는 혈액을 통해 전염되며 성접촉에 의해서도 전염될 수 있다. B형간염 백신을 맞아 D형간염을 예방할 수 있다.

E형간염바이러스는 E형간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칼리시비리데(Caliciviridae)과로 분류되었다가 헤페비리데(Hepeviridae)과로 재분류되었다. 유전체로 단일가닥 RNA를 가지고 있으며 크기는 32~34nm이고 피막은 가지고 있지 않다. E형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된 뒤 7~10일 간의 잠복기를 거친 뒤 E형간염이 나타나게 된다. E형간염바이러스에 오염된 물과 음식을 통해 전염되기 때문에 깨끗한 음료수를 이용하고 음식을 익혀 먹는 방법을 통해 예방할 수 있다.

G형간염바이러스는 G형간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플라비비리데(Flaviviridae)과에 속하며 유전체로는 단일가닥 RNA를 가지고 있다. 크기는 50~100nm이며 겉은 피막으로 싸여있다. G형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되더라도 특별한 자각증상은 나타나지 않으며 만성화되지도 않는다. G형간염바이러스는 혈액을 통해 전염되며 모자간 수직 전파도 가능하다. 감염경로가 B형간염 바이러스와 C형간염바이러스와 같기 때문에 G형간염바이러스는 B형간염바이러스와 C형간염 바이러스에 중복 감염되는 경우가 많다.

참조항목

간염, 바이러스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