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연] 근대의 정치 혁명들 1부 (강연 : 최갑수 교수)

[강연] 근대의 정치 혁명들 1부 (강연 : 최갑수 교수)

작성일 2018-08-17T05:00:13+0900 댓글 0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프랑스 대혁명, 러시아 혁명, 미국 혁명, 아이티 혁명…, 그 숱한 혁명들이 남긴 성과와 한계를 종합적으로 되돌아본다



아래 정보도 살펴보세요

책 - 근대 유럽의 형성, 16-18세기 - 이영림 주경철 최갑수 : 네이버 ...

이 책 '근대 유럽의 형성, 16-18세기'는 제목만 봐도 대학교재 성격의 시대사여서 서양 역사에 대한 독서가 이미 충분한 사람이라면 "굳이 구입하거나 보태어 읽을 필요가 있을까" 라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내 경우를 말하면, 역사에 대한 ...

최갑수와 함께 읽는 서양 근대 정치사상 강의 - 연구자의집

총6회에 걸쳐 진행된 본 강의에서 최갑수 이사장은 마키아벨리의 정치 사상에서 시작하여 홉스와 로크, 루소를 거쳐 헤겔과 젊은 마스크스의 정치 사상을 살펴보면서 '근대 정치'의 기본 원리의 형성 과정과 그 내용을 고찰했습니다.

혁명과 헌법의 인문학 - 참여연대 아카데미느티나무

강좌 개강에 앞서 강의를 진행해주시는 서울대 서양사학과 최갑수 선생님께서. 아래의 책들을 추천해 주셨습니다. 혁명의 탄생 - 근대 유럽을 만든 좌우익 혁명들 데이비드 파커 (지은이), 박윤덕 (옮긴이) | 교양인. 혁명의 역사

이영림, 주경철, 최갑수: 근대 유럽의 형성: 16~18세기

국가의 침투력이 커질수록 국가는 추상화되어 군주의 인격성으로부터 더욱 독립적이 되었다. 정치는 궁정으로부터 독립하여 독자적인 근거를 갖춰나갔다. 18세기는 근대 국가 및 정치의 준비기였다.

고전으로 이해하는 정치사상 - 근대편 - 참여연대 아카데미느티나무

상세 정보. 강의소개 |. 근대 사상가들이 쓴 고전을 읽으며. 근대 이후 우리 삶에 중요해진 정치와 사회에 관한 여러 질문들을 함께 생각해 보려 합니다. 왜 도덕과 정치가 근대에서 분리된 것인지, 근대 주권국가는 어떻게 탄생했는지, 어떻게 개인의 사적 소유가 성립할 수 있는 것인지, 왜 인간은 불평등해졌는지, 근대 이성이 꿈꾸었던 계몽의 본질이 무엇인지, 근대의 개인은 진정한 주체인지, 그리고 이 모든 질문이 근대 이후 정치 및 사회에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궁금증을 풀어봅니다. 강사소개 |. 김만권. 미국 뉴스쿨에서 "정치적 적들 간의 화해를 위한 헌법짓기"를 주제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음.

[정리&생각] 하영선&남궁곤, 변환의 세계정치 (제1장 '근대 국제 ...

조선의 19세기가 신유박해로 시작되었다면, 그 끝은 갑오개혁 (1894)과 광무개혁 (1897)이었다. 중국 천하 질서의 문명 표준에서 천주교의 야만성을 통탄하고 경계하며 19세기를 시작한 조선이 복식에서부터 독자적 헌정 질서까지, 다시 말해 서구 문명의 ...

고(故) 김수행 교수의 <자본론 강의> 영상 - 총 16강 : 네이버 포스트

한국 최초의 <자본론> 완역자로 잘 알려져있는 고(故) 김수행 교수의 2009년 강의를 녹화한 영상입니다. 총 16회이며, 회당 1시간 반~2시간 정도의 분량으로 구성돼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면 총 41개로 분할된 영상을 묶어놓은 재생목록으로 ...

[강의] 2차시: 고대정치와 근대정치의 차이 : 네이버 블로그

좋은 정치와 강한 정치 *필독서: 아리스토텔레스『니코마스 윤리학』, 마르크스『자본론』, 매킨타이어『덕의 상실』 (~6:27, 6:28~ 1차시 강의 정리와 앞부분은 1차시 강의와 중복됨)

[한국사] 24. 근대의 정치(1)

대내 정책 : 고종의 즉위로 정치적 실권을 잡은 흥선대원군은 왕조의 위기를 극복하고 실추된 왕권을 회복하고자 하였습니다. 우선 19세기 전반기의 외척 세도와 벌열 정치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하여 능력 위주로 인재를 등용하려 하였습니다.

프랑스혁명과 근대 정치이데올로기의 분화 _ 자본주의 역사강의 ...

1789년 프랑스혁명은 세계체계의 정치지형에서 근본적인 단절점이었습니다. 앞서도 말했듯이, 프랑스혁명은 근대정치에서 매우 이례적인 현상이었습니다. 민중이 정치무대에 등장했다는 점에서 그렇죠. 프랑스혁명이 터지자 위험한 힘이 분출됐고 그 힘을 적절히 통제하기가 매우 어려워졌죠. 이에 대한 대응을 놓고 이데올로기 지형이 분화되기 시작했습니다. 프랑스혁명의 자유, 평등, 우애라는 구호의 특정 부분을 특정한 방식으로 해석하는 이데올로기적 분화가 나타난 것이죠. 맨 처음 등장한 것은 보주주의였습니다. 보수주의는 지배계급이 보기에 프랑스혁명이 너무나 위험했기 때문에 이것을 다시 되돌리기 위해서 등장했습니다.

근대 여명기의 한국철학 - K-mooc | Kocw 공개 강의

19세기 중후반 제국주의의 외부 충격으로 동아시아가 서구적 근대를 조우하며 소용돌이 치기 전, 18세기 중후반 일명 '근대 여명기'에 한중일 삼국은 공통적으로 현실과 실용을 강조하기 시작하면서 정치적, 사상적으로 변동의 조짐을 보였다.

[6월10일 현장 3신] 최갑수 서울대 교수"1년만 넘었어도 그냥 ...

지금은 없다. 이 싸움을 어떻게 마무리를 해야 할까? - 대통령이 결단을 해야지. 그거 외엔 길이 안 보인다. 쇠고기 재협상 일단 하고 봐야 한다. 싸움이 길어지면 서로 불행해진다. 프랑스는 혁명의 백화점과 같다. 프랑스사 전공자로서 요즘 정국과 유사한 혁명이 있다면? - 출발은 68혁명과 비슷했다.

대한민국 Top Class 지식강연 | [클래스ⓔ추천 강의] 김만권 <정치와 ...

[클래스ⓔ추천 강의] 김만권 <정치와 나: 근대에서 온 질문> 정치? 철학? 근대? 듣기만 해도 무겁고 나랑은 상관 없을 것 같은 분야.樂 '왜 우리가 근대를 공부해야 하는가?' '왜 근대가 중요한가?' 근대를 넘어서 사는 우리는 여전히 민족국가에 살고 있고,...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2021) - 홉스에서 마르크스까지

책소개. 홉스에서 마르크스까지. '근대'를 우리 눈으로 다시 생각한다. 우리가 사는 현대 사회와 정치를 이해하고 그 미래를 그려보기 위해서는 현대의 토대가 된 근대의 형성 과정을 돌이켜보는 일이 필요하다. 근대라는 새로운 시대가 태동하고, 또 ...

[하이라이트] 경제 발전과 자유주의의 문제 (강연 : 고세훈 교수)

[[하이라이트] 경제 발전과 자유주의의 문제 (강연 : 고세훈 교수)] 자유와 이성 36강 : 고세훈 고려대 명예교수(동영상 출처 : 네이버 열린연단)

한국 근대사 1: 국민 국가 수립 운동과 좌절 | 연갑수 - 교보문고

《한국 근대사 1·2》는 근대의 시작을 고종 대신 섭정했던 흥선대원군의 집권기로 설정하고 있다. 19세기 후반 위기의식의 심화에서부터 우리 근대의 역사를 짚는 것이다. 1860년대 봉건적 지배 질서와 중세적 국제 관계는 극심한 혼란과 동요의 시기를 맞는다.

[강의] 3차시: 근대정치의 시작 - 이태리 마키아벨리와 그람시 ...

칸트, 로크, 루소, 칸트, 헤겔은 근대정치사상의 핵심 인물이다. 다섯은 모두 Liberalism, 사회계약설을 주장하였으며, 한국 정치에 영향을 미쳤다. -마키아벨리는 학문적으로 핵심 인물은 아니지만,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사상과 극명하게 대비가 된다는 점에서, 고대정치와 근대정치의 패러다임을 비교할 때 마키아벨리가 대두된다. -『군주론』은 군주에게 본인의 복권을 바라며 올린 글로, 전략적 논의가 많아서 현대 정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와 같이 정치학의 내용이 풍부하지 않아서, 학문적 비중은 낮다. Mia의 한 줄: 마키아벨리 <군주론>의 중요성은 전략적 논의의 현대 정치 응용 가능성에 있다.

[강연] 한국 근대사회의 기원 - 상상적 시민의 탄생 (강연 ...

근대 한국인은 어떻게 출현했는가? 20세기 한국인의 기원을 밝히는 사회학적 탐구 조선의 인민이 세상사에 대한 다른 이치를 깨닫고 봉건 질서와 지배층에 반기를 들게 되는 19세기 후반, 이른바 '민란의 시대'가 도래했다는 것은 조선의 지배 구조에 ...

[강의] 3차시: 근대정치의 시작 - 이태리 마키아벨리와 그람시 ...

3차시 강의의 원제목은 이하와 같다. "영국의 고전적 자유주의 - 홉스와 로크의 자유주의 사상"...

교과서보다 더 일목요연한 국제정치이론 <왈츠 이후> by 이근욱

우선 케네스 왈츠의 이론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제1부 '국제정치이론의 시작-왈츠'는 왈츠의 신현실주의 이론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개별 주권국가보다 더 권위 있는 상위 조직은 없다. 국가의 목표는 생존과 안전보장이며 국가들 사이에 협력은 ...

한국 근대정치사의 쟁점 | #1 Online Korean Bookstore in US

19세기 후반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환경 속에서 잇달아 발생한 갑오혁명ㆍ청일전쟁ㆍ갑오개혁ㆍ김옥균 암살 등 한국근대정치사의 중요한 쟁점들을 제조명하고 있다.

[강연] 조직과 축제 - 의례와 공유 지식의 생성 (강연 : 마이클 최 ...

[강연] 조직과 축제 - 의례와 공유 지식의 생성 (강연 : 마이클 최 교수) 1부. 본문으로 바로가기. naver tv 메뉴. my. 탐색. 다크 모드로 변경 다크 모드. 검색 ...

[강연] 일본의 근대 - 근대 일본의 공론정치와 민주주의 (강연 ...

[강연] 일본의 근대 - 근대 일본의 공론정치와 민주주의 (강연 : 박훈 교수) 1부. 본문 바로가기. naver tv 메뉴. my. 탐색. 다크 모드로 변경 다크 모드. 검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