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잼투자) 주식 투자, 레버리지 쓰면 망하는 거야? > 주식

(로잼투자) 주식 투자, 레버리지 쓰면 망하는 거야?

작성자 로스차일드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2023-09-28 15:31 댓글 0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오늘은 주식 투자 레버리지에 대해 생각해 보려고 함.

1. 레버리지, 흔히 빚내서 투자하는 걸 떠올림.

2. 흔히 빚투는 패가망신의 지름길로 대중에게 인식되어 있음.

3. 실제로 투자자들이 영끌 빚투 하여 자산이 심히 깎여나간 사례가 부지기수임.

4. 그런데, 레버리지없이 투자하면 어떨지 생각해 봄.

5. 대한민국 30대 직장인 평균 자산은 4억 원.

6. 물론, 사람마다 사정이 천차만별이겠으나, 4억 원을 가지고 주식 투자에 대해 생각해 보겠음.

7. 자산 4억 원 중 반은 부채, 반은 자본(자기 돈)이라고 생각해 보겠음.

8. 빚투 하면 안 되니 2억은 재끼고, 2억 중 얼마나 주식에 투자할 수 있겠음?

9. 주식은 하이 리스크이니 2억을 다 때려 박을 수 없고, 2억 중 1억은 예금으로 묶어놓음.

10. 남은 1억을 주식 투자에 투입한다고 생각해 보겠음.

11. 1억을 통해 안정적으로 주식 투자한다면?

12. 워런 버핏 할아버지가 58년 동안 버크셔 해서웨이를 통해 연평균 19.8%의 수익률을 거두셨음

13. 일반인이 꾸준히 20% 가까이 수익 낼 수 없으므로, S&P 500 지수 평균 수익률 9.9%를 꾸준히 낸다고 생각해 보겠음.

14. 1억을 연평균 9.9%로 수익을 낸다면 20년 뒤 주식 자산은 얼마나 될까?

15. 약 7억이 나옴.

16. 서울 사는 직장인이 20년 뒤 7억으로 뭘 할 수 있을까?

17.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면 7억으로 할 수 있는 것은 반전세 보증금 정도 아닐까?

18. 주식 투자로 자산과 인생의 급을 높이려고 하는데 1억과 9.9% 수익률로 20년간 굴려도 급이 바뀌지 않는다는 것임.

19. 그래서 주식 투자로 급을 높이려면 필연적으로 레버리지를 생각해야 함.

20. "레버지리 사용해서 패가망신 하란 말이오?"

21. 물론, 아님.

22. 레버리지를 사용하되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레버리지를 사용해야 함.

23. 안전한 레버리지의 조건, 뭐가 있겠음?

24. 1번 장기적으로 사용 가능함, 2번 장기적으로 레버리지 비용보다 이익이 더 큼.

25. 두 가지를 충족하는 레버리지는 사용 가능하다는 것임.

26. 이는 사람마다 상황이 다르므로, 자신의 상황에 대한 객관적인 상황 인식이 있어야 함.

27. 예를 들어 보겠음.

28. 직장인은 주거래은행을 통해 신용대출을 받을 수 있음.

29. 보통 직장인 연봉의 1배~2배 사이에서 신용대출 신청이 가능함.

30. 그동안 신용점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였고, 대출 실행 기관이 제1 금융권이라면 5~6% 정도면 신용대출이 가능할 것임.

31. 직장인 연봉 5천만 원이라고 하면 신용 대출로 1년 동안 만기 일시상환으로 7천만 원 정도는 대출 실행이 가능할 것임.

32. 그럼, 5~6%에 대한 매달 이자 납부가 가능하면 7천만 원을 사용할 수 있고, 신용을 지켜 이자를 갚는다면 신용대출은 매년 연장 가능함.

33. 30대 직장인이 초기 투자금은 1억이 아니라 1.7억으로 증액 가능해짐.

34. 20년 뒤의 투자 자산은 12억으로 늘어나는 거임.

35. "20년 뒤 7억이나 12억이나 적은 돈인 건 마찬가지 아니오?"

36. 맞는 말임.

37. 하지만, 중요한 것은 방법론임.

38. 자산을 레버리지 없이 자기 돈으로만 불려 급을 올리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함.

39. 반드시 지속 가능한 레버리지를 운영하여 자금을 굴려야 자산의 급이 올라가는 것임.

40. 여기서 주의할 점이 한 가지 있음.

41. 이자 조달 비용이 수익률보다 낮아야 한다는 것임.

42. 대출 이자가 5~6%인데, 내가 투자로 불릴 수 있는 능력이라곤 예적금 이자인 4% 라면?

43. 이건 매년 -1~-2% 복리 손실이 발생하는 것임.

44. 다시 말해, 본인이 대출 조달 비용보다 높은 수익률 창출을 낼 수 있는지에 대한 창출 능력이 있어야 함.

45. 어떻게?

46. 매번 반복할 수밖에 없음.

47. 자산의 급을 높이는 방식이 주식 투자라면 압도적인 기업을 선별하는 능력 이 필요함.

48. 압도적인 기업을 선별하고 오래 동행하는 인내심 소양도 필요함.

49. 이게 될 경우에 한 해 장기 레버리지로 자산의 급을 높이는 것임.

50. 그게 아니라면 아직 레버리지를 쓰면 안 되는 것이 맞음.

51. 주식 투자 충분히 공부하며 이젠 됐다 싶을 때부터 '장기 사용 레버리지'를 쓰기 시작하면 됨.

52. 마지막으로 자신은 주식 투자로 급을 높일 수 없다고 판단되면 '나' 또는 '자기 사업'에 레버리지를 투입하는 방법을 생각하는 것도 좋다고 봄.

53. 결국, 자본주의 안에서 자산과 인생의 급을 높이는 강력한 도구가 '레버리지'임을 인정해야 함.

54. 인정하고 레버지리를 제대로 이용할 때, 급이 조금씩, 때로는 크게 커질 것임.

55. 이상 끝.


한 번 사는 인생, 제대로 살아봅시다. 지나간 돈은 다시 벌면 되지만 흘러간 시간은 결코 돌아오지 않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일간 인기글
      • 오늘 주식 에 업로드된 글이 없습니다. 주간탭을 확인해주세요
  • 주간 인기글
      • 오늘 주식 에 업로드된 글이 없습니다. 주간탭을 확인해주세요
  • 게시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