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국어대사전 Qna 관련 답변 7 페이지

한글맞춤법

걸음걸이 할때 걸음이 걸다+음인가요 아니면 걷다+음인가요 걸음 => 걷다 (동사) + 음 (명사파생 접미사) 가 되는 구조입니다 그러므로 걸음은 명사이며 걸음걸이는 명사가...

태그: 직접서술, 표준국어대사전

국어사전에서 '정삼각뿔' 뜻풀이가 바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정삼각뿔'의 뜻이 바뀌었다고 들었는데요. 예전 뜻풀이: 『수학』 각 면이 모두 합동인 정삼각형으로 이루어진 다면체. = 정사면체. 바뀐...

태그: 정삼각뿔, 표준국어대사전, 국어사전, 뜻풀이, 용어정의, 개념정의, 문제풀이

알은체 형성

어간이 'ㄹ'로 끝날때 매개모음 (으)는 쓰면 안되니까 절+은 -> 전이 되잖아요? 근데 문제를 풀다가 알은체하다라는 문장을 봤는데 왜 어간이 ㄹ로끝났는데 안이 아니라 알은이...

태그: 직접서술, 표준국어대사전

맞춤법 질문 (놓칠뻔하다) (n중에 하나)

1. 놓칠 뻔 하다 2. 놓칠뻔 하다 (<평소 쓰던거) 3. 놓칠뻔하다 1. 둘중에 하나(< 평소 쓰던거) 2. 둘 중에 하나 맞춤법 헷갈려서 질문합니다ㅠㅜ 혹시 보기중에 없다던가 하면.....

태그: 맞춤법, 직접서술, 표준국어대사전

먹어볼게 띄어쓰기

먹어볼게. 띄어쓰기, 문법적이유 알려주세요 먹어볼게 => 먹다 (동사) + 어 (연결어미) + 보다 (보조동사) + -ㄹ게 (종결어미) - 아 / 어로 연결된 보조용언은 본용언과 띄어씀을...

태그: 직접서술, 표준국어대사전

잘되다 잘 되다 안되다 안 되다 띄어쓰기

잘되다 잘 되다 안되다 안 되다 어떨 때 띄어야 하고 어떨 때 붙여 써야 하나요? 잘되다는 잘 (부사) + 되다 (동사 혹은 접사) 의 형태가 되어 한 단어로 취급합니다 그래서 어느...

태그: 직접서술, 표준국어대사전

이르다 3은 왜 다의어가 안되지요?

이르다 3은 왜 다의어가 안되지요? 이르다2 로 쓰일때는 예시가어떤게있죠? 이르다 1과 이르다 2는 모두 동사이기 때문에 서로 다의어 관계에 있지만 이르다 3은 형용사로서...

태그: 직접서술, 표준국어대사전

띄어쓰기 질문

띄어쓰기 질문 뜻밖에도 에서 뜻밖에는 어떠한경우에도 붙여쓰나요 지금은 부사로사용되었거든요? 집에 오니 뜻밖에도 그가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 뜻밖은 합성어가 되므로 한...

태그: 직접서술, 표준국어대사전

필수적 부사절

나는 가게로 가다 에서 가게로는 부사어가 아닌가요 ? 그리고 나는 가다 라고만 하면 불완전한 문장인가요 ? 나는 (주어) / 가게로 (부사어) / 가다 (서술어) ㅡ> 가게로는 필수...

태그: 직접서술, 표준국어대사전

표준국어대사전에 단어 검색했을 때...

표준국어대사전에 단어 검색했을 때 단어와 단어 사이에 ^ 이 표시가 있으면 띄어쓰기를 해야 원칙인 건가요? 궁금해요 (7) 한글 맞춤법에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붙여 쓰는...

태그: 표준국어대사전, 맞춤법, 띄어쓰기

    실시간 인기 검색어
    인기 검색어 더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