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국어대사전 Qna 관련 답변 6 페이지

의존명사 vs 조사

의존명사랑 조사 구분할때 앞에 체언(명사,대명사,수사) 이외의 단어는 다 의존명사인가요? 한마디로 체언이 있으면 조사, 체언이 아닌 나머지면 의존명사 인가요? 관형어 뒤...

태그: 직접서술, 표준국어대사전

바꾸-+-이-+-다 -> 바뀌다 아거 뭔가요

'바꾸다'에 피동 접사 '이'가 붙으면 '바뀌다'가 되잖아요. 이때 'ㅜ'랑 'l'가 만나서 'ㅟ'가 되는건가요? 만약 그런거라면 이 경우에는 단모음과 단모음이 만나 단모음이...

태그: 단모음과단모음이만나서단모음이되는건왜교, 과서에없는가, 직접서술, 표준국어대사전

값있는 발음

값있는 발음이 왜 [가빋는]이 아니라 [가빈는] 인가요?? 이해 잘 되게 쉽게 설명해주세요 값있는 ㅡ> [갑있는] 자음군 단순화 ㅡ> [가빋는] 연음 및 음절 끝소리 규칙 ㅡ> [가빈는]...

태그: 발음, 직접서술, 표준국어대사전

국어 언매

어법에 맞게가 정확하게 무엇인가요? 4번 선지에 옷소매와 같은 경우에도 발음대로 음운에 변동을 고려해서 썼을때 발음대로 쓴게 맞지만 음운에 변동도 어법에 맞게 쓴거...

태그: 직접서술, 표준국어대사전

구개음화 ㅇㅈㅇㅍㅈㅍㅈㅍ

차티다 가 어떻게 차치다 가 되는 건가요 구개음화가 뭔지는 알고 있는데요,, ㅌ 랑 ㅣ 는 그냥 하나로 보는게 아닌가요 이미 둘이 붙어있는데 어떻게 구개음화가 일어났나요...

태그: 직접서술, 표준국어대사전

깨야 분석(음운 변동 파트)

‘깨야’는 어떻게 분석이 되나요? 깨어야 => 깨다 (동사) + 어야 (연결어미) 이란 구조가 됩니다 모음 ㅐ / ㅔ 뒤에 어 / 아 등이 올 경우 준 대로 적을 수 있다는 규정이 있습니다...

태그: 직접서술, 표준국어대사전

배경음악이 분위기를 받쳐준다?

여기서 받쳐준다가(받치다 기본형)인가요? 받쳐주다 => 받치다 (동사) + 어 (연결어미) + 주다 (보조동사) + ㄴ (현재시제 선어말어미) + 다 (종결어미) 어떤 일을 잘할 수 있도록...

태그: 직접서술, 표준국어대사전

비가 억수같이 쏟아지다

비가 억수같이 쏟아지다는 관용구인가요?? 내공50 억수 (명사) => 물을 퍼붓듯이 세차게 내리는 비를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비가 억수같이 내린다 / 간밤에는 비가 억수로...

태그: 관용구, 관용표현, 관용어, 직접서술, 표준국어대사전

-겠어요 랑 -겠네요 랑 무슨 차이가

-겠어요 랑 -겠네요 랑 무슨 차이가 있나요? 겠어요 => 종결어미 -어가 쓰인 경우 / 종결어미 -어 + 높임 보조사 요가 붙은 구조 해요체에 쓰여 설명 의문 명령 청유의 뜻을...

태그: 직접서술, 표준국어대사전

음운의 변동 구개음화, 축약

굳히다의 경우 축약의 조건인 ㅎ과 ㄷ이 만나 ㅌ이 되는 것과 똑같은 환경인데 얘는 왜 구개음화가 되는건가요..?? 굳히다는 자음축약이 일어난 다음에 구개음화가 일어나는...

태그: 국어문법, 국어, 음운, 음운의변동, 음운변동현상, 축약, 구개음화, 직접서술, 표준국어대사전

    실시간 인기 검색어
    인기 검색어 더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