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워홀 부동산

일본 워홀 부동산

작성일 2022.01.16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 지인이 일본에서 거주 중인데
꼭 워홀을 준비할때 부동산 계약을 해야되나요?


#일본 워홀 나이 #일본 워홀 현실 #일본 워홀 디시 #일본 워홀갤 #일본 워홀 현실 디시 #일본 워홀 초기비용 #일본 워홀 합격률 #일본 워홀 불합격 #일본 워홀 비자 #일본 워홀 갤러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참고로 수년전 워홀비자로 일본에 왔구요.

현재 일본 도쿄에서 부동산 중개업에 종사중입니다.

선경험자로서, 현업종사자로서 잘 아는 부분이다보니 지나칠수가 없네요.

일본 현지에서는 여러가지 주거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 계약도 그 중 하나의 방법인거죠.

그외 방법으론 지인과 동거나 값싼 셰어하우스, 한국인이 운영하는 기숙사 정도를 놓고

고민한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굳이 설명드리지 않더라도 대충의 장단점은 알고 계실텐데요.

한번씩 짚어보자면...

- 지인과의 동거

초기비용도 안들고 살림살이가 이미 갖춰진 주거이니

비용 부담은 확실히 적겠지만 그왼 전부 단점이 아닐까요. ㅎㅎ

의식하지 말라고 하겠지만 어쩔 수 없이 지인 눈치를 보게되죠. 집주인처럼 느껴질테니까요.

니것내것 생각 안할 수 없는 부분이다보니 사소한 부분에서 다툼이 되는 경우도 생기구요.

특히 퇴실할 때 좋게 헤어지는 경우는 일적으로나 사적으로나 목격한 경우가 없네요.

잠깐 만나는 사이일때와 달리 동거는 느낌이 확 다르니까요.

- 셰어하우스

셰어도 초기비용은 저렴하지만 월세는 결코 저렴치 않구요. 지역 시세보다 무조건 비쌈.

말 그대로 주거를 쪼개고 공유하니 코로나 시국에 방역적인 부분에서 취약하겠죠.

그뿐 아니라 소음, 청소, 도난 등 여러 사람이 함께 살다보니 다양한 불협화음으로

잡음이 끊이는 날이 없죠. 국적의 구성도 한국인, 일본인은 극소수고 주로 동남아나

중국인 비율이 높구요.

- 기숙사

한국형 기숙사는 대부분 영세해서 코로나로 인한 경영난으로 대부분 없어졌을텐데요.

있다고 하더라도 개인과 개인간의 거래가 되기 때문에 공인 인증된 계약은 아니죠.

가장 위험한 경우가 빌린 집을 빌리는 형태이다보니 계약 내용을 확인할 수 없고 입실과

퇴실 등 세입자의 권리를 일체 주장할 수 없는 부분이죠.

예전에 선불지불 방식의 사기들이 많았습니다. 6개월치 월세를 선불로 건냈는데

어느날 갑자기 집주인이 찾아와 방을 빼라고 합니다. 돈을 건낸 사람은 연락두절.

- 현지 부동산 계약

앞서 언급한 방법들과 비교하면 초기비용 부담은 가장 크지만 불안한 외국생활에서

가장 안전하고 확실한 계약형태가 됩니다. 다른분이 언급한 레오팔레스21의 경우도 부동산 범주의 계약입니다.

개인적인 기호(월세, 교통 등)에 맞는 주거정보도 많이 찾아 볼 수 있겠구요.

그리고 부동산 계약은 보통 2년이 일반적이지만 사전 퇴실통보 원칙만 지킨다면 계약기간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퇴실이 가능합니다. 일본의 임대차 계약기간의 해석은 한국과는 개념 자체가 다른데요.

무조건 위약금이 발생한다는 이야기는 잘못된 이야기입니다.

어느나라도 할것없이 부동산이라고 해서 사기가 없는것은 아니지만 믿을 수 있는 업체의

선정은 그런 불안함도 씻어낼 수 있습니다.

[일본부동산, 사기거래 방지를 위한 확인사항 바로가기]

쓰다보니 길어졌네요.

하루빨리 코로나가 종식되고 워홀이 재개되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도움되는 답변되었으면 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아뇨,

거주할 곳을 확보만 하면 됩니다.

지인의 집에서 거주해도 문제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일본어 전공한 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일본에서는 월세 계약 기본 단위가 2년입니다

워홀은 1년 비자이니 일본에서 부동산 임대계약을 하게 되면 어쩔 수 없이

위약금을 물게 되죠

보통 1달치 월세를 위약금으로 내게 되며 + 청소비라는 명목으로 보통

2만엔 정도 뜯어갑니다

만약 10만엔짜리 집에서 살다가 퇴거시 기본 12만엔을 내고 나와야 하죠

계약 마다 위약금 규정이 다 다른데다 집주인이 트집을 잡아서 원상회복을

명목으로 도배비 등을 요구할 경우 +가 될 수도 있습니다

일본 지인이 있다면 같이 살아도 된다고 하면 지인집에서 머물면 되지만

일본에서는 보통 계약서에 동거시 퇴거 조치 하겠다는 조항들이 있을 수가

있습니다

물론 안들키면 장땡입니다만 걸렸을 경우에는 지인분도 위약금을 내고 쫒겨날

가능성이 있으니 같이 지내기 전에 미리 집주인에게 동거가 가능한지 여부를

물어봐야 합니다

이 경우 외국인이라 거절하는 경우도 많고 월세를 올려서 2명분으로 받겠다는

경우도 있고 다양합니다

그런게 싫은 경우에는 레오팔레스21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1개월 단위로 계약할 수 있어서 워홀 가는 경우 위약금 문제 없이 방을 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일본에서 방을 빌릴 경우 가전기구 침구류 등등 일체 하나도 없이 방만

빌리기 때문에 필요한 물건은 전부 자비로 사야하지만 레오팔레스21은 한국처럼

풀옵션으로 임대하기 때문에 따로 뭔가를 사야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일본에서는 방을 빼줄 때 원상회복의 의무가 한국보다 엄격한 편입니다

한국에선 보통 이 정도는 봐준다 라는 게 일본에선 안통해요

벽에 얼룩 조금만 묻어도 트집 잡혀서 전체 도배하겠으니 돈 내놔라 이러면 보통

임차인은 대항할 수 없는 게 일본입니다

일본에서는 아예 "이사 거지" 라는 말도 존재할 정도입니다

이사를 자주 다니다보면 원상회복을 위한 위약금을 많이 내게 되어 돈이 없게

되는 걸 뜻 합니다

그리고 본인이 산 물건들 전부 싹 빼서 다시 아예 아무 것도 없는 상태로 되돌려

놓아야 하기 때문에 물건들을 처분하거나 한국으로 다시 붙혀서 보내거나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계약서에 원상회복 의무를 부담한다고 명시하거나 부동산에서 꽤 강조하는 편)

때문에 레오팔레스21이 인근 방들보다 약간 비싼 편이지만 이런 귀찮은 것들을

해결해주기 때문에, 2년 계약을 못채우고 낼 위약금 등을 고려하면 오히려 합리적인

편이라고 생각합니다

한국 사이트도 있으니 한번 둘러보세요

일본 가시게 될 때 미리 예약하고 가실 수도 있습니다

https://kr.leopalace21.com/

일본워홀 박사님들,,부동산 해지 후...

제가 지금 일본 워홀 온지 4개월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일도 안구해지고 생각보다... 마음에 부동산 계약해지하고 구청가서 전출신고하고 건강보험 해지도 하고 비행기 표도...

일본 워홀 주소등록 할 때 부동산 서류...

일본 워홀을 갈 때 일본인 남자친구 집에서 지낼 수도 있는데 세금 문제로 회사 명의로... 부동산 서류가 없이 주소만 적으면 주소 등록이 가능하나요? 2. 제가 그곳에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