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역사에대해

지하철 역사에대해

작성일 2015.11.0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지하철 (1974~2015년)까지 있었던 일들좀 상세하게 적어주세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수도권 지하철 개통일 역사입니다.

1호선 1974년 8월 15일(코레일/서울메트로운영)

• 1974년 8월 15일 : 서울 지하철 1호선 청량리(지하) - 서울역앞, 경부선 서울역 - 수원역, 경인선 구로역 - 인천역, 경원선 청량리역(지하) - 성북역 (현 광운대역) 구간 38개 전철역 개통 및 상호 노선 직결 전동차 운행 개시. 경인선 일반열차 운행 중지.

• 1974년 8월 15일 : 경원선 휘경역 (徽慶驛, 현외대앞역), 경부선 남영역, 대방역, 가리봉역 (加里峰驛, 현 가산디지털단지역), 관악역, 명학역, 화서역, 경인선 개봉역, 송내역, 동암역 개통

• 1978년 12월 9일 : 경원선 용산역 - 청량리역(지상) 간 4개 역 개통, 경원지선 (용산-성북) 운행 계통 운행 개시[2].

• 1978년 12월 9일 : 경원선 이촌역, 성수역 (聖水驛, 현 응봉역1979년 2월 1일 : 경부선 율전역 (현 성균관대역)개통

• 1980년 1월 5일 : 경원선 신이문역 (新里門驛) 개통.1980년 4월 1일 : 경원선 서빙고역, 회기역, 한남역 개통.

• 1980년 7월 10일 : 성수역 (聖水驛)을 응봉역

• 1980년 10월 31일 : 신설동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2호선 개통.

• 1981년 12월 23일 : 경부선 영등포역 - 수원역간 복복선 개통

• 1982년 8월 2일 : 경부선 석수역 개통.

• 1983년 6월 30일 : 시청앞역 (市廳앞驛)을 시청역 (市廳驛)으로 개칭

• 1983년 9월 16일 : 왕십리역 환승 개통.

• 1984년 1월 1일 1984년 5월 22일 : 경부선 신도림역 개통, 시청역, 신도림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2호선

• 1984년 11월 20일 : 경인선 백운역 개통.

• 1985년 1월 14일 : 경원선 석계역 개통

• 1985년 1월 24일 : 서울역앞 (서울驛앞)을 서울역 (서울驛)으로 개칭

• 1985년 4월 20일 : 창동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4호선 개통.

• 1985년 8월 22일 : 경원선 월계역, 녹천역 개통

• 1985년 10월 18일 : 경원선 옥수역 개통, 종로3가역, 옥수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3호선

• 1985년 10월 18일 : 동대문역, 서울역, 이촌역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4호선

• 1986년 9월 2일 : 경원선 창동역 - 의정부역 간 6개 역 개통 → 경원선 광역 전철화 연장

• 1986년 9월 2일 : 경원선 방학역, 도봉역, 누원역 (樓院驛, 현 도봉산역), 회룡역 개통

• 1987년 10월 5일 : 경원선 의정부북부역 개통[3]

• 1987년 12월 31일 : 경인선 중동역 개통

• 1988년 1월 1일 : 누원역 (樓院驛)을 도봉산역

• 1988년 1월 16일 : 경인선 온수역 개통

• 1988년 10월 25일 : 경부선 · 안산선 금정역 개통 → 안산선 직결 운행 계통 운행 개시[4]

• 1991년 11월 23일 : 경부선 영등포역 - 구로역

• 1994년 : 경부선 서울역 - 영등포역 간 3복선 개통

• 1994년 7월 11일 : 경인선 간석역, 도원역 개통

• 1994년 12월 1일 : 성대앞역을 성균관대역 (成均館大驛)으로 개칭

• 1995년 2월 16일 : 경인선 구일역 개통

• 1995년 11월 15일 : 왕십리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5호선 개통.

• 1996년 3월 28일 : 경인선 부개역 개통

• 1996년 10월 11일 : 도봉산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7호선 개통.

• 1996년 12월 30일 : 종로3가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5호선

• 1997년 4월 30일 : 경인선 소사역, 경부선 신길역 개통 및 신길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5호선

• 1998년 1월 7일 : 경부선 독산역 개통

• 1999년 1월 29일 : 경인선 구로역 - 부평역

• 1999년 10월 6일 : 부평역 환승 개통,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개통.

• 2000년 2월 29일 : 온수역, 가리봉역 환승 개통,서울 지하철 7호선

• 2000년 5월 1일 : 수도권 전철과 서울 지하철의 명칭 통합 정책에 의해 기존의 국철 구간을 1호선

• 2000년 8월 7일 : 석계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6호선 개통.

• 2001년 11월 30일 : 경인선 도화역 개통

• 2002년 3월 15일 : 경인선 부평역 - 주안역 간 복복선 개통

• 2003년 4월 30일 : 경부선 광역 전철화 1차 연장 [5], 안산선이 수도권 전철 4호선

• 2004년 4월 1일 : 의정부역 - 능곡역 간 교외선

• 2004년 6월 25일 : 부곡역을 의왕역으로 역명 변경 및 기존 의왕역의 이름을 오봉역

• 2005년 1월 20일 : 경부선 광역 전철화 최종 연장 [6]

• 2005년 7월 1일 : 가리봉역 (加里峰驛)을 가산디지털단지역

• 2005년 12월 16일 경원선 용산역 - 회기역 구간이 용산-덕소선 (현 중앙선)의 운행 구간으로 별개로 독립 [7]

• 2005년 12월 21일 : 경인선 주안역 - 동인천역간 복복선 개통, 서울 지하철 1호선 동묘앞역 개통

• 2005년 12월 27일 : 경부선 세마역, 오산대역

• 2006년 6월 30일 : 경부선 진위역, 지제역 개통

• 2006년 12월 15일 : 경원선 광역 전철화 연장[8] 및 KTX 광명 셔틀 운행 개시[9], 의정부역 구내의 임시역인 의정부북부역을 가능역이라는 공식 역사로 전환하고 동안역을 동두천역으로, 기존 동두천역을 동두천중앙역

• 2006년 12월 15일 : 경원선 녹양역, 보산역 개통

• 2007년 12월 28일 : 경원선 덕계역 개통, 동시에 주내역 (州內驛)을 양주역

• 2008년 12월 1일 : KTX 광명 셔틀 운행 구간 단축[10]

• 2008년 12월 15일 : 장항선 광역 전철화 연장[11]

• 2008년 12월 15일 : 장항선 봉명역, 쌍용역 개통

• 2008년 12월 29일 : 시흥역 (始興驛)을 금천구청역

• 2009년 7월 24일 : 노량진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통.

• 2010년 1월 21일 : 경부선 당정역 개통

• 2010년 2월 26일 : 서동탄역 개통

• 2010년 8월 20일 : 청량리역 환승 통로 개통,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롯데백화점 민자역사 준공

• 2012년 7월 1일 : 회룡역 환승 개통 , 의정부경전철 개통

• 2013년 2월 25일 : 성북역을 광운대역

• 2013년 11월 4일 : 광운대역에 경춘선 열차 운행 개시

• 2013년 11월 30일 : 수원역 환승 개통, 분당선

• 2014년 8월 25일 : 영등포역~병점역

• 2014년 10월 31일 : 동두천역 ~ 연천역 구간 복선 전철 착공 [12]

• 2014년 12월 6일 : 회룡역 환승 통로 개통 및 의정부 경전철

• 2015년 10월 31일 : 노량진역 환승 통로 개통

2호선 1980년 10월 31일(서울메트로운영)

• 1980년 10월 31일: 신설동 - 종합운동장 구간 14.3 km 개통 및 신설동역 환승 개통, 수도권 전철 1호선

• 1982년 12월 23일: 종합운동장 - 교대 구간 5.5 km 개통

• 1983년 9월 16일: 을지로입구 - 성수 구간 7.9 km 개통과 동시에 신설동 - 성수 5.4 km 구간이 성수지선으로 별개로 분리

• 1983년 12월 12일: 교대 - 서울대입구 구간 6.7 km 개통

• 1984년 5월 22일: 서울대입구 - 을지로입구19.8 km 개통으로 을지로 순환선 완성 및 신도림역, 시청역 환승 개통, 수도권 전철 1호선

• 1985년 3월 7일: 화양역을 건대입구역

• 1985년 7월 27일: 서울운동장역을 동대문운동장역

• 1985년 10월 18일: 을지로3가역, 교대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3호선

• 1985년 10월 18일: 동대문운동장역 (현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사당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4호선

• 1992년 3월 20일: 기지역을 용답역

• 1992년 5월 22일: 신도림역 환승 개통, 신정지선 신도림 - 양천구청 2.7 km 구간 개통

• 1995년 11월 15일: 왕십리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5호선 개통.

• 1996년 2월 29일: 신정지선 양천구청 - 신정네거리 1.9 km 개통

• 1996년 3월 20일: 서울 지하철 5호선 개통과 함께 신정지선 신정네거리 - 까치산 1.4 km 개통

• 1996년 8월 12일: 영등포구청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5호선

• 1996년 10월 11일: 건대입구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7호선 개통.

• 1996년 11월 23일: 잠실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8호선 개통.

• 1996년 12월 30일: 을지로4가역, 동대문운동장역 (현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충정로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5호선

• 1996년 12월 31일: 당산 - 합정 2 km 구간이당산철교 재시공으로 운행 중단

• 1999년 11월 22일: 당산 - 합정 2 km 구간이당산철교 재시공 완료로 재개통

• 2000년 2월 29일: 대림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7호선

• 2000년 12월 15일: 합정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6호선

• 2001년 8월 3일: 신당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6호선

• 2003년 9월 3일: 선릉역 환승 개통, 분당선2004년 10월 1일: 구로공단역을 구로디지털단지역

• 2005년 10월 20일: 신답 - 신설동 사이에 용두역 개통

• 2009년 7월 24일: 당산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통.

• 2009년 12월 1일: 동대문운동장역을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 2010년 8월 9일 : 성내역을 잠실나루역

• 2010년 9월 : 신호체계를 ATS/ATO

• 2010년 12월 29일: 홍대입구역 환승 개통 인천국제공항철도

• 2011년 10월 28일: 강남역 환승 개통, 신분당선

• 2012년 10월 6일: 왕십리역 환승 개통, 분당선

• 2012년 12월 15일: 홍대입구역 환승 개통 수도권 전철 경의선 (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2014년 5월 2일: 상왕십리역2014년 11월 1일: 라바 열차 운행개시 (201편성)

• 2014년 12월 31일: 라바 열차 (201편성)

• 2015년 3월 28일: 종합운동장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9호선

• 2015년 5월 31일: 라바 열차 운행종료 (201편성)

• 2015년 11월: 신천역

3호선 1985년 7월 12일(코레일/서울메트로운영)

• 1985년 7월 12일 : 구파발역 ~ 독립문역 (8.0 km, 7개 역) 개통.

• 1985년 10월 18일 : 독립문역 ~ 양재역 (18.2 km, 16개 역) 개통 및 충무로역 환승 개통, 수도권 전철 4호선, 옥수역 환승 개통, 수도권 전철 1호선(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교대역 환승 개통,서울 지하철 2호선

• 1987년 5월 1일 : 중앙청역을 경복궁역

• 1990년 4월 1일 : 화물터미널역을 남부터미널역

• 1990년 7월 13일 : 지축역 ~ 구파발역 (1.5 km, 1개 역) 개통

• 1993년 10월 30일 : 양재역 ~ 수서역 (7.5 km, 7개 역) 개통 및 같은 날 양재행 열차들이 수서행 열차로 바뀌었다.

• 1994년 9월 1일 : 수서역 환승 개통, 분당선 개통

• 1996년 1월 30일 : 일산선 개통, 운행 개시

• 1996년 12월 30일 : 종로3가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5호선 개통

• 2000년 8월 1일 : 고속터미널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7호선 개통

• 2000년 12월 15일 : 연신내역, 불광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6호선 개통

• 2001년 3월 9일 : 약수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6호선

• 2003년 9월 3일 : 도곡역 환승 개통, 분당선 연장 구간 개통

• 2009년 7월 1일 : 대곡역 환승 개통, 수도권 전철 경의선 (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2009년 7월 24일 : 고속터미널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통

• 2010년 2월 18일 : 수서역 ~ 오금역 (3.0 km, 3개 역) 개통 및 연장 운행

• 2011년 10월 28일 : 양재역 환승 개통, 신분당선 개통

• 2014년 12월 27일 : 원흥역 개통

4호선 1985년 4월 20일(코레일/서울메트로운영)

• 1980년 2월 : 서울 지하철 4호선 상계 - 사당 구간 착공

• 1985년 4월 20일 : 서울 지하철 4호선 상계 -한성대입구 구간 1차 개통 및 창동역 환승 개통,수도권 전철 1호선

• 1985년 10월 18일 : 서울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 - 사당 구간 2차 개통 및 동대문역 환승 개통,수도권 전철 1호선, 동대문운동장역 (현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2호선, 충무로역 환승 개통, 수도권 전철 3호선, 이촌역 환승 개통, 수도권 전철 1호선 (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사당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2호선

• 1986년 2월 : 안산선 착공

• 1988년 10월 25일: 안산선 금정 - 원곡 개통, 수도권 전철 1호선 안산 - 서울간 전철 운행 개시 (당시 역은 금정역, 대야미역, 반월역, 상록수역, 한대앞역, 중앙역, 안산역

• 1992년 3월 2일 : 안산선 고잔역 개통

• 1992년 5월 1일 : 안산선 산본역 개통

• 1993년 1월 15일 : 과천선 금정 - 인덕원 구간 개통, 수도권 전철 1호선 안산 - 인덕원

• 1993년 4월 21일 : 서울 지하철 4호선 상계 -당고개 구간 개통

• 1994년 1월 10일 : 안산선 공단역 개통

• 1994년 4월 1일 : 과천선 사당 - 인덕원 구간 개통, 수도권 전철 4호선 당고개 - 안산

• 1996년 10월 11일 : 노원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7호선 개통

• 1996년 12월 16일 : 과천선 벌말역을 평촌역

• 1996년 12월 30일 : 동대문운동장역 (현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5호선

• 1998년 5월 15일 : 과천선 제2종합청사역을 정부과천청사역

• 2000년 1월 1일 : 과천선 경마장역을 경마공원역

• 2000년 7월 28일 : 안산선 안산 - 오이도 구간 개통

• 2000년 8월 1일 : 이수역 (현 총신대입구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7호선

• 2000년 12월 15일 : 삼각지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6호선

• 2003년 7월 18일 : 안산선 수리산역 개통

• 2009년 7월 24일 : 동작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통

• 2009년 12월 1일 : 서울 지하철 4호선 동대문운동장역을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 2012년 6월 30일 : 안산선 공단역을 초지역으로 역명 변경, 오이도역 환승 개통, 수인선 개통으로 직결이됨

• 2013년 12월 26일 : 서울 지하철 4호선 미아삼거리역을 미아사거리역

• 2014년 12월 10일 : 진접선 연장 구간 착공 (당고개역 ~ 진접역

5호선 1995년 11월 15일(서울도시철도공사운영)

• 1990년 6월 27일: 서울 5호선 착공

• 1995년 11월 15일: 왕십리 - 상일동 구간 개통 및 왕십리역 환승 개통, 수도권 전철 1호선 (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1996년 3월 20일: 방화 - 까치산 구간 개통 (단마곡역은 임시 폐쇄), 까치산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2호선

• 1996년 3월 30일: 강동 - 마천 구간 개통

• 1996년 8월 12일: 까치산 - 여의도 구간 개통

• 1996년 10월 11일: 군자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7호선 개통

• 1996년 12월 30일: 여의도 - 왕십리 구간 개통으로 5호선 완전 개통[7]

• 1997년 3월 26일: 광희문역을 청구역

• 1999년 7월 2일: 천호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8호선

• 2000년 12월 15일: 공덕역, 청구역 환승 개통,서울 지하철 6호선

• 2007년 3월 23일: 김포공항역 환승 개통, 인천국제공항철도 개통

• 2008년 6월 20일: 마곡역 영업 재개

• 2009년 7월 24일: 김포공항역, 여의도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통

• 2009년 12월 1일: 동대문운동장역을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 2010년 2월 18일: 오금역 환승 개통, 수도권 전철 3호선

• 2011년 11월 30일: 공덕역 환승 개통, 인천국제공항철도

• 2012년 10월 6일: 왕십리역 환승 개통, 분당선

• 2012년 12월 15일: 공덕역 환승 개통, 수도권 전철 경의선 (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2014년 9월 29일: 5호선 하남시 연장 구간 착공. (상일동역 ~ 검단산역)

• 2015년 7월 31일: 5호선 하남시 2단계 연장 구간 착공. (덕풍동역 ~ 신장동역)

6호선 2000년 8월 7일(서울도시철도공사운영)

• 1994년 1월 8일: 신내 - 역촌 전 구간 착공

• 2000년 8월 7일: 봉화산 - 상월곡 구간 개통 및태릉입구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7호선, 석계역환승 개통, 수도권 전철 1호선

• 2000년 12월 15일: 상월곡 - 응암 구간 개통 및청구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2호선, 삼각지역 환승 개통 수도권 전철 4호선, 공덕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5호선, 합정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2호선, 연신내역, 불광역 환승 개통, 수도권 전철 3호선, 이태원 - 약수 구간의 4역은 개통 연기

• 2001년 3월 9일: 이태원 - 약수 구간의 4개역 개통 및 약수역 환승 개통, 수도권 전철 3호선

• 2001년 8월 3일: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당역

• 2005년 12월 21일: 서울 지하철 1호선에 동묘앞역

• 2009년 7월 1일: 수색역을 디지털미디어시티역으로 역명 변경, 디지털미디어시티역 환승 개통,수도권 전철 경의선 (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2010년 12월 29일: 디지털미디어시티역 환승 개통, 인천국제공항철도

• 2011년 11월 30일: 공덕역 환승 개통, 인천국제공항철도

• 2012년 12월 15일: 공덕역 환승 개통, 수도권 전철 경의선 (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7호선 1996년 10월 11일(서울도시철도공사운영)

• 뚝섬유원지역 : 광진구 자양동에 있어 자양역이었으나, 한강시민공원과 인접해 있어 뚝섬유원지역

• 가산디지털단지역 : 2000년 2월 29일 가리봉역으로 개통되었고, 2005년 7월 1일 가산디지털단지역

• 광명사거리역 : 2000년 2월 29일 광명역으로 개통되었으나, 2004년 4월 1일 경부고속철도 광명역 개통 이후 혼동을 피하기 위해 광명사거리역

• 남성역 : 2000년 8월 1일 개통 이후 총신대입구라는 부역명을 사용하였으나, 수도권 전철 4호선 이수역으로 넘어가면서 부역명이 폐지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이수역보다 남성역이 총신대학교

• 상도역 : 2000년 8월 1일 개통 이후 상도(중앙대앞)이라는 역명을 사용하였고, 2009년 7월 24일서울 지하철 9호선 흑석역 개통 이후 상도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19]

• 공릉역 : 2010년 9월 1일부터 서울과학기술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면서 2010년 10월 21일 역명도 공릉(서울과학기술대)역으로 변경하였다.[20]

• 숭실대입구역 : 당초 역명은 살피재역이었으나 위치가 불명확하고 숭실대학교의 강력한 요청으로 숭실대입구(살피재)

8호선 1996년 11월 23일(서울도시철도공사운영)

• 1990년 12월 29일 : 잠실 - 모란 구간 착공

• 1994년 1월 8일 : 잠실 - 암사 구간 착공

• 1996년 11월 23일 : 잠실 - 모란 구간 개통 및잠실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2호선, 복정역 환승 개통, 분당선

• 1998년 10월 1일 : 남한산성역, 단대역을 산성역, 남한산성입구역

• 1999년 7월 2일 : 잠실 - 암사 구간 개통 및 천호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5호선

• 2010년 2월 18일 : 수도권 전철 3호선 개통과 함께 가락시장역 환승 개통

9호선 2009년 7월 24일(서울9호선(주)운영)

• 2002년 4월 3일 : 1단계 김포차량기지 - 교보타워사거리 구간 착공

• 2009년 1월 1일 : 2단계 강남 교보타워 - 종합운동장 간 4.5 km 착공

• 2009년 5월 28일 : 동작역의 역명을 동작(현충원)역으로 변경[23]

• 2009년 7월 24일 : 1단계 개화 - 신논현 구간 개통 (마곡나루역 제외) 및 김포공항역 환승 개통,서울 지하철 5호선, 당산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2호선, 동작역 환승 개통, 수도권 전철 4호선, 고속터미널역 환승 개통, 수도권 전철 3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

• 2009년 12월 21일 : 3단계 1구간 종합운동장 -올림픽공원 5.94 km 착공

• 2010년 4월 5일 : 기본계획 종점변경, 방이 (오륜동)에서 둔촌동 (보훈병원)으로 1.5 km 연장[24]

• 2010년 8월 23일 : 3단계 2구간 올림픽공원 - 둔촌동 보훈병원 3.2 km 착공

• 2014년 5월 24일 : 마곡나루역 개통

• 2014년 8월 1일 : 2, 3단계 구간 사업자로 서울메트로 선정[25]

• 2015년 3월 16일 ~ 3월 20일 : 2단계 구간 일반인 대상 시승체험[26]

• 2015년 3월 28일 : 신논현 - 종합운동장 구간 개통 및 선정릉역 환승 개통, 분당선, 종합운동장역 환승 개통, 서울 지하철 2호선

• 2015년 4월 2일 : 2, 3단계 구간을 위탁 운영사로 서울메트로 자회사인 서울메트로9호선운영

• 2015년 10월 31일 : 노량진역 환승 통로 개통

• 2018년 10월 : 종합운동장 - 보훈병원 구간 개통 예정 및 석촌역 환승 개통 예정, 서울 지하철 8호선, 올림픽공원역 환승 개통 예정, 서울 지하철 5호선

신분당선 2011년 10월 28일(네오트랜스운영)

• 2005년 6월 24일 : 강남역 - 정자역 구간 착공

• 2010년 7월 29일 : 정자역 - 광교중앙역 / 광교역 구간 착공

• 2011년 10월 28일 : 강남역 - 정자역 구간 개통 및 무임 운행

• 2011년 10월 29일 : 운임지수 개시

공항철도 2007년 3월 23일(코레일공항철도(주)운영)

• 디지털미디어시티 - 공덕 구간은 용산선의 아래층 터널을 사용하게 된다.[18]

• 인천광역시의 요청으로 용유역, 영종역 [19], 청라국제도시역의 3개 역,[20]. [21] 서울특별시와의 합의를 통해 9호선 마곡나루역과의 환승역이 추가 설치될 예정이다. [22]

•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고양시의 경계 부근에 고양역 (가칭)이 설치될 계획이 있었으나 현재는 보류가 된 상태이다.

• 2014년 6월 30일부터는 KTX의 경부선, 호남선방향 열차가 운행하며, 2018년 동계 올림픽을 대비하여 원주-강릉선이 개통하면 강릉 방향의 열차도 운행할 예정이다. 다만 영종대교 및 지하 선로의 운행 속도 한계, 기존 공항철도용 통근형 전동차의 느린 속도 및 조밀한 배차로 인하여 운행 속도는 기존 통근형 전동차인 최대 110km/h 수준보다 약간 높은 최대 140km/h이다.

경의•중앙선 2005년 12월 16일, 2009년 7월 1일(코레일운영)

• 2014년 12월 27일 : 용산선 공덕 - 용산 구간 개통과 함께 경의선과 중앙선

• 2015년 10월 31일 : 야당역 개통

경춘선 2010년 12월 21일(코레일운영)

• 1937년 7월 20일: 성동역, 광운대역(당시 이름은 연촌역), 화랑대역(당시 이름은 태릉역), 퇴계원역을 거쳐 가평역, 강촌역, 김유정역(당시 이름은 신남역), 춘천역

• 1939년7월 25일: ‘경춘철도(京春鐵道)’에 의해서 사설철도로 개통. 당시에는 현재의제기동역2번 출구 부근성동역에서 출발하였고,[1]당시 개업한 역은성동역,고상전정류소,월곡정류소,연촌역,묵동정류소,태릉정류소,갈매정류소,퇴계원역,사릉간이역,금곡리역,평내정류소,마석역,대성리역,청평역,상천간이역,상색정류소,가평역,서천정류소,백양리역,강촌정류소,의암정류소,신남역,성산역,춘천역의 24개역이었다.[2]

• 1940년 4월 1일: 성산역을 남춘천역

• 1944년 3월 31일: 묵동정류소를 신공덕역

• 1946년 5월 17일: 경춘철도주식회사 국유화로 국가에 편입 [3]

• 1955년 7월 1일: 서천정류소를 경강역

• 1957년: 고상전역 폐역

• 1958년 1월 1일: 태릉역을 화랑대역

• 1961년 6월 20일: 상색역 폐역

• 1963년 3월 5일: 연촌역을 성북역

• 1966년 6월 1일: 상색역 재개업[4]

• 1966년 7월 23일: 청평호반역 개업[5]

• 1969년 8월 17일: 청평호반역 폐역[6]

• 1970년 1월 1일: 월곡역 폐역

• 1970년 10월 1일: 답내역 개업[7]

• 1971년 10월 5일: 성동 - 성북 구간 폐선 [8]

• 1974년 8월 8일: 상색역 재폐역

• 1974년 8월 15일: 갈매역 폐역

• 1974년 12월 5일: 답내역, 의암역 폐역

• 1993년 7월 1일: 금곡리역을 금곡역

• 1999년 12월, 2004년 3월 31일: 경춘선 통일호 마지막 운행

• 2004년 12월 1일: 신남역을 김유정역

• 2005년 10월 1일: 수도권 전철 공사 관계로 춘천역 영업 중지, 열차 운행은 남춘천역

• 2006년 8월 31일: 평내호평 - 마석 구간 신선 이설, 평내역을 평내호평역

• 2009년 1월 20일: 마석 - 대성리 구간 신선 이설

• 2009년 9월 1일: 대성리 - 청평 - 상천 구간 신선으로 이설

• 2009년 9월 25일: 퇴계원 주변구간 신선 이설

• 2010년 7월 22일: 퇴계원 - 사릉 구간 신선 이설

• 2010년 8월 6일: 사릉 - 평내호평 구간 신선 이설

• 2010년 10월 21일: 퇴계원 - 상천 복선화구간 개통 [9]

• 2010년 11월 18일: 상봉역 - 춘천역 구간 경춘선 전동차의 시운전 운행 [10]

• 2010년 12월 20일: 경춘선 무궁화호 마지막 운행

• 2010년12월 21일:신내역,별내역,천마산역을 제외한상봉역-춘천역구간 복선 전철 개통및상봉역환승 개통(서울 지하철 7호선,수도권 전철 중앙선(현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망우역환승 개통 (수도권 전철 중앙선(현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성북-화랑대구간 폐선,경강역은 남쪽으로 이전되어굴봉산역개업

• 2011년 6월 20일: 사릉역 급행 열차 정차 개시[11]

• 2011년 8월 1일: 청평역, 강촌역 주말 급행정차 주중으로 확대

• 2012년 2월 27일, 2012년 2월 28일 : ITX-청춘 운행 개시 및 마석행 3대 운행 개시

• 2012년 11월 1일 : ITX-청춘 옥수역, 왕십리역

• 2012년 12월 15일: 별내역 개업

• 2013년 11월 4일 : 경춘선 하루 편도 4편 광운대역

• 2013년 11월 30일 : 천마산역 개업

• 2013년 12월 28일 : 신내역 개업

수인선 2012년 6월 30일(코레일운영)

• 1937년 8월 5일 : 사설 철도 회사인 조선경동철도가 소래 지역의 소금을 수송하려는 목적으로 부설

• 1946년경 : 사철 국유화 정책에 따라 교통부 철도국 소유로 변경

• 1948년 6월 1일 : 인천항역을 수인역으로 역명 변경[1]

• 1955년 7월 1일 : 수인역을 남인천역으로 역명 변경[2]

• 1965년1월 5일:용현역영업 개시1965년5월 1일:달월역영업 개시[3]1966년9월 1일:사리역영업 개시[4]1967년6월 5일:논현임시승강장영업 재개[5]1973년7월 14일:남인천-송도간 폐지[6]1974년6월 1일:논현임시승강장다시 폐역[7]1974년8월 15일:고색역폐역1982년12월 24일:반월신공업도시개발로 현 안산시 구간 이설 (2.575㎞→1.96786㎞)[8]1988년10월 25일: 일리역, 원곡역을한대앞역,안산역1992년7월 20일:연수택지지구개발로송도-소래간 영업 중지[9]1994년9월 1일:송도-한대앞간 폐지[10]1996년1월 1일

분당선 1994년 9월 1일(코레일운영)

• 분당선은 1990년대 초 수도권 5대 신도시 (산본,평촌, 분당, 일산, 중동) 건설과 함께 추진된 노선이다. 분당신도시 개발 계획에서 가장 핵심적인 교통 수단으로, 당초 분당(오리) ~ 왕십리의 전 구간 동시 개통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수서 ~ 오리 구간만 1차적으로 착공, 1994년 개통되었다.

• 1995년선릉~수서연장 구간 공사가 시작되었으나,왕십리~선릉구간 공사는 무기 연기되었다. 분당선 1단계 구간 완공 당시선릉~수서구간의 완공 예정은 당초1998년이었고,왕십리~선릉의 완공 예정은2002년이었으나,선릉~수서구간은2003년에야 개통되었고,왕십리~선릉구간은광역철도로 지정되어2004년에야 뒤늦게 착공되어2012년10월 6일에 개통되었다. 개통과 함께 서울 강북지역과의 연계를 도모하고경의·중앙선,2호선,5호선,7호선과의 연계도 확충되었으며, 이후에는선정릉역에서도2015년3월 28일에 연장 개통된9호선2단계신논현~종합운동장구간과환승이 가능해졌다.

• 또 이와는 별도로분당구남쪽의용인시지역의 개발로 인한 수요 증가에 대비하기 위하여용인시수지구,기흥구를 거쳐수원역까지의 노선 연장이 계획되었다.오리~수원역구간에서는 급행 열차 운행에 대비하여 일부 역에 대피선이 설치되었으며,수원역에 도착한 분당선 열차는수인선복선 전철과직결 운행하여인천까지 운행할 예정이다.오리~수원역구간 중보정역은2004년11월 26일에,죽전역은2007년12월 24일에 개통되었으며,죽전~기흥구간은용인 경전철환승 편의를 위하여2011년12월 28일에 개통되었다. 이 때경원대역이가천대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고,보정역은차량기지내 지상 임시역에서 지하 정식역으로 이전·승격되었다. 또한기흥~망포구간은2012년12월 1일에 개통되었으며,망포~수원역구간은2013년11월 30일에 개통되었다.2017년에는수인선과직결 운행하게 되어인천역까지 운행하게 된다. 따라서 분당·수인선으로 통합될 예정이다.

용인경전철 2013년 4월 26일(용인경량전철운영)

※ 윤병희 시장

• 1996년 12월 : 경기도에서 용인시 경량전철사업 추진 (재원부족으로 지연)

• 1997년 3월 24일 : 정부에서 용인경전철을 SOC 민간투자사업으로 지정

※ 예광환 시장

• 1999년 12월 29일 : 기획예산처

• 2000년 7월 3일 : 용인시에서 도시철도기본계획을 수립한 후 건설교통부

• 2001년 12월 15일 : 건설교통부 (현 국토교통부)

※ 이정문 시장

• 2002년 8월 31일 : 교통개발연구원 사업계획평가 완료

• 2002년 9월 27일 : 용인시와 교통개발연구원 간에 협상의뢰에 따른 업무협약서 체결

• 2003년 12월 9일 : 우선협상대상자 캐나다 봄바디어 컨소시엄 선정, 발표

• 2004년 7월 27일 : 용인시 경량전철 건설사업 협약체결 (2008년 12월 완공 목표)

• 2005년 12월 17일 : 착공

※ 서정석 시장

• 2007년 3월 27일 : 용인시 지명위원회, 용인경전철 역명 결정

• 2010년 4월 21일 : 2개 역명 변경 고시 - 구갈역에서 구갈역 (백남준아트센터)로, 수포역에서둔전역

※ 김학규 시장

• 2010년 6월 : 완공

• 2011년 1월 11일 : 사업시행자 해지 통지

• 2011년 2월 18일 : 용인 경전철(주) 국제상업회의소에 국제중재 신청

• 2011년 12월 28일 : 분당선 죽전 - 기흥 구간 개통과 함께 개통 예정이었으나 무기한 연기

• 2013년 4월 17일 : 1개 역명 변경 고시 - 구갈역 (백남준아트센터)에서 기흥역 (백남준아트센터)로 변경

• 2013년 4월 19일 : 용인경전철 정상화 양해각서 체결 {용인시-용인경전철(주) (MRG부분 삭제)}

• 2013년 4월 26일 : 개통 및 무임 운송(4월 28일까지)

• 2013년 4월 29일 : 운임지수 개시

• 2013년 7월 25일 : 용인경량전철(주)의 용인경전철(주)(봄바디어 투자)의 사업시행자 지위 및 관리운영권 인수, 용인시와 용인경량전철(주) 간 변경실시협약 체결

• 2014년 1월 9일 : 기흥역 환승통로 개통(분당선과 연결)

※ 정찬민 시장

• 2014년 9월 20일 : 수도권 전철 연락운송 체계로의 편입(별도 추가 운임 200원) 및 통합환승할인 적용

인천 1호선 1999년 10월 6일(인천메트로운영)

• 1993년 7월 5일 : 착공

• 1999년 10월 6일: 박촌 - 동막 구간 개통 및 부평역 환승 개통 (수도권 전철 1호선)

• 1999년 12월 7일: 귤현 - 박촌 구간 개통

• 2003년 12월 15일: 인천교대역을 경인교대입구역

• 2007년 3월 16일: 계양 - 귤현 구간 개통

• 2007년 3월 23일: 계양역 환승 개통 (인천국제공항철도)

• 2009년 6월 1일: 동막 - 국제업무지구 구간 연장개통

• 2009년 10월 10일: 수도권 통합요금제 확대 적용

• 2012년 6월 30일: 원인재역 환승 개통 (수도권 전철 수인선

• 2012년 10월 27일: 부평구청역 환승 개통

인천 2호선 2016년 3월 개통 예정(인천메트로운영)

• 1992년 9월 : 건설교통부

• 1998년 5월 : 인천광역시

• 2006년 9월 : 한국개발연구원

• 2007년 7월 : 인천광역시

• 2007년 12월 : 인천광역시

• 2008년 8월 : 한국개발연구원

• 2009년 6월 26일 : 착공

• 2010년 4월 12일 : 사업 계획 승인 (사업 기간 ~ 2014년)

• 2013년 3월 20일 : 사업 기간 연장 ( ~ 2016년)

의정부경전철 2012년 7월 1일(인천메트로운영)

• 사업성격 : 민간투자시설사업(BTO)

• 소유권자 : 의정부시

• 사업시행자 : 의정부경전철 주식회사관리

• 운영자 : 인천교통공사 의정부 경전철 사업단

• 사업구간 : 발곡~탑석

• 영업거리 : 10.600㎞

• 운행방식 : 고무차륜 경전철(AGT ; 무인자동운전)

• 개통일자 : 2012년 7월 1일





나름 힘들게 썼습니다. 특히 1호선이 더 힘들었습니다.

좋은 답변이면 좋겠습니다.

이상입니다.

인천지하철 역 이름의 역사

인천지하철 역 이름의 역사요! 빨리 부탁드려요 \ㅠㅠㅠㅠ 내공55겁니다 네이버... ▶ 지명의 유래와 역사에 대해.. 1. 계양역 계양동은 본래 고려(1018년)시대부터 지방제도...

지하철역사와 연결된 다중이용시설...

지하철역사와 연결된 다중이용시설들이 야간 당직인원 3명으로 정해져 있다하는데 어떤 법령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지하철역과 연결된 다중이용시설의 야간 당직 인원은 해당...

지하철 교통카드

... 카드의 지하철 이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께요. [토스뱅크 카드의 지하철 이용... 2) 토스 앱, 편의점, 지하철 역사 내 교통카드 충전기, ATM에서 현금으로 직접 충전할...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지하철역사좀...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지하철역사를 연표로알려주세요 예:20XX년 99호선개통... 수도권지하철 4호선 안산선 상행 구간에 대해 급행열차 운행 (1일 3회) 2010년 01월...

지하철 역사 계단에서 발목을 접질러...

지하철 계단에서 발목을 접질러 구르지는 않았고... 사고지점의 역사 사무실에서 접수요청 하실수 있습니다. 1.... 지급항목에 대해 아래와 같이 안내 드립니다. ▣ 부상...

지하철성추행 당했어요

지하철성추행을 당했어요 어떻게 해야 하죠??... 바로 역사에 알려서 CCTV를 통해 가해자가 수상한 거동을... 그러니 더더욱 사건 내용에 대해 자세히, 논리적으로 정리해 두고...

우리나라 지하철 역사

... 이 문서에서는 대한민국의 광역권 별로 존재하고 있는 도시 철도들에 대해... 목차 [숨기기] 1 역사 2 수도권 전철 2.1 서울 지하철 [3] 2.2 인천 도시철도 3 부산 도시철도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