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키우는 법 좀 알려주세요!!

식물 키우는 법 좀 알려주세요!!

작성일 2010.03.0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이 식물들을 키우는 법 좀 알려주세요ㅠㅠ(좀 많지만..)

관음죽, 염좌, 청페페, 산세베리아, 난, 인삼 벤자민, 성미인, 아이비, 카랑코에

이 식물들을 관리하고 건강하게 키우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빨리요!!!

정확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 욕설, 광고, 비난글 등 올리는 사람은 신고합니다!!!!!!


#식물 키우는 사람 #식물 키우는 방법 #식물 키우는 기계 #식물 키우는 게임 #식물 키우는 꿈 #식물 키우는 취미 #식물 키우는 이유 #식물 키우는 남자 #식물 키우는 여자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야자나무과 열대상록관엽식물인
관음죽(Rhapis excelsa)에 대해 설명입니다.

햇볕 아래서나 반음지에서도 잘 자라는데, 한 여름 따거운 직사광선 아래서는

다소 차광을 해 주면 아름다운 잎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관음죽은 물을 좋아하는 편입니다.

화분은 물빠짐이 좋고 보수력도 있어야 합니다.
화분의 흙이 마르면 밑으로 물이 흘러내릴 정도로 충분히 줍니다.

물을 과다하게 주거나 또 습도가 낮아도 잎끝이 마르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경우는 물을 줄이고 습도를 높이고 상한 잎끝은 그 부분만 가위로 잘라줍니다.

겨울철에는 춥게 관리하는 것이 이듬 해의 성장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베란다에서 월동하거나 거실일 경우는 통풍에 관심을 기울입니다.

잘 설명된 블로그 링크합니다..

http://blog.naver.com/ori2k?Redirect=Log&logNo=150026901882


 

 

 
 
2.7. 염좌, 성미인
 
염좌 - 크라술라오바타(Crassula ovata)
시중에서 화월로 유통되는
크라술라오바타(C. ovata)는 원산지가 남아프리카인 다육식물로
영명은 Jade Plant 또는 Friendship Tree라 부릅니다
 블로그 링크합니다
 
 
성미인 - 파키피툼 오비페룸(Pachyphytum oviferum)

http://blog.naver.com/ori2k/150026822592

 

크라술라나 성미인은 잎장에 많은 수분을 저장한 다육식물로

강한 햇볕을 받으면서 건조한 환경에 적응한 식물이니만큼 물주기와 온도가 중요합니다.

 

[다육식물을 건강하고 예쁘게 잘 키우는 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물주기 : 한달에 두번정도 화분밑으로 물이 흘러 나올만큼 충분히 줍니다.

             다만 장마철에는 일시적으로 단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화분흙 : 잘씻어서 말린 마사토와 일반용토를 5:5정도 배합해서 사용합니다.

             다육식물은 물빠짐이 좋지않을 경우 과습으로 인해 뿌리가 썩고 결국 식물전체가

             물러져 버리는 무름병에 걸리기 쉽기 때문입니다.

 

거름 : 다육식물은 특별한 거름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다만 성장기인  봄,가을에 필요하다면 노란알갱이로 된 아주 작은 영양제가 있는데

          약간씩만 화분위에 올려주면 됩니다.       

          영양제 이름은 "하이코트"로 검색해 보시면 됩니다.

 

 화분의 크기 : 다육식물을 심는 화분은 큰것보다는 식물에 비해 너무 조금 작아 보인다 싶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화분이 너무 클 경우 흙의 양이 많아지고 그로 인해 수분이 오래도록 남아있기 때문에

                      자칫하면 과습의 원인이 될 수 있답니다.

 

기르는 장소 : 햇빛이 잘들고 통풍이 잘되는 곳이면 어디든 괜찮구요.

                     낮과 밤의 기온차이가 심할수록 다육식물은 진하고 예쁜색으로 물이 듭니다.

                    월동온도는 5도정도 입니다.


3.

청페페

페페로미아 오브투시폴리아(Peperomia obtusifolia

밝은 그늘에서 관리합니다. 광이 부족하면 웃자라서 형태가 볼품이 없게 됩니다.
생육적온은 20-25℃이고 겨울에는 10℃이상 유지시켜 주어야 합니다.

분흙은 물빠짐이 좋아야 하고,
분흙이 과습하면 밑부분이 썩기 쉬운데, 특히 잎이 로제트 상태이거나 오래된 것일수록 주의가 필요합니다.

물주기는 분흙이 마르면 충분히 주고, 동절기에는 내한력을 높이기 위해 약간 건조하게 관리합니다. 시비는 생장기에 월 1회 시행합니다.

번식은 4월 무렵이 좋으며, 줄기삽과 엽삽으로 합니다.
반입 원예품종은 잎꽂이를 하면 무늬가 없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삽목하는데는 산데르시이종과 같이 다육이고도 잎이 큰 종이 좋으며, 이때 잎자루를 붙여서 잘라내 모래나 펄라이트를 넣은 삽목상에, 잎자루 부분을 꽂으면 절단면에서 발근이 되고, 여러 개의 눈이 형성되는데, 이때 작은 분에 이식합니다.

http://blog.naver.com/ori2k/150027818585

청페페와 같은 종류인 홍페페의 모습입니다

잎긑에 붉은색 라인이 있으면 홍페페,없으면 청페페로 유통됩니다.


 

 

4. 산세베리아

 

백합과 여러해살이풀인 산세비에리아(학명:Sansevieria)

시중에서 산세베리아로도 유통되고 있는데
우리 국명은 학명 그대로 산세비에리아 로 부른답니다.
산세비에리아도 종류가 많기 때문에 질문자가 어떤 종류를 가지고 있는지 알 수 없지만
산세비에리아의 관리 방법은 모두 같답니다.

산세비에리아는 물을 아껴야 하는 다육식물입니다.
식물체에 수분을 담고 있어서 물을 자주 주게되면 과습이 되어 썩는답니다.
마치 삶아낸듯 말랑말랑해지면서 잎에서 누런 물이 나오면서 주저 않습니다.
그래서 화분의 물빠짐도 좋아야 하고, 물주기는 화분의 물이 완전히 마른 뒤에
화분에서 물이 흘러나올 정도로 충분히 줍니다.
물을 아끼고....한번 줄 때는 충분히 주라는 이야기입니다.
지금 같은 겨울철에는 한 달에 한 번정도를 기준해서 주세요.

봄과 초여름 한창 자랄무렵에는 1-2번 주면 됩니다.
그 사이에 스프레이로 분무를 해 주어도 안 됩니다.
잎에 먼지가 있어서 닦아주고 싶다면
탈지면에 미지근한 물을 적셔서 물을 꼭 짜내고 닦아주세요..

 햇빛은 충분히, 물은 인색할 정도로 아끼는 것............산세비에리아를 기르는

제일 좋은 방법입니다.
 

http://blog.naver.com/ori2k?Redirect=Log&logNo=150072988418


 

 

5. 난

어떤 종류의 난을 말하는지 몰라 기본적인 관리법 알려 드립니다.

 

햇빛이 적당히(아침)에만 들어오는 밝은 쪽에 두시고
물은 자주 말리세요(1주일에 한번은 꼭 체크해 준다고 생각하시고요)
봄, 가을에는 영양제를 꽂아 두시거나
그 보다 더 편한 완효성 고체 비료(물줄때 마다 조금씩 녹아 내림)를
사셔서 화분위에 올려 놓으세요

그리고 무엇보다 난 종류는 통풍이 아주 중요합니다.

통풍이 잘 되지 않는 곳에서 관리하면 깍지벌레같은 해충이 잘 생긴답니다.

 

 

6. 인삼벤자민

 

대만고무나무(Ficus microcarpa)의 중심줄기 위쪽을 잘라내고 밑둥을 분재처럼

키운것이 바로인삼 벤자민입니다.
잎은 길고 끝이 뾰족합니다...


 

인삼벤자민뿐 아니라 고무나무 종류를 베란다나 실내에서 관리하려면

통풍이 잘 되고 햇빛을 충분히 받을 수 있는 곳곳에 두어야 모양도 아름답고,

병충의 피해도 줄일 수 있습니다.

물주기는 생장기인 봄부터 여름까지는 분흙이 마르기 전에 물을 충분히 주고,
물주기 사이에 물말림이 없도록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잎이 떨어지게 된답니다.

그러나 너무 자주 물을 주면 과습으로 인한 피해가 생기니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동절기에는 내한성이 약하기 때문에 8℃ 이상 되는 실내에서 햇빛을 받도록 합니다.
생장기엔 화분에 고형비료를 올려주거나 한 달에 한 두번 액비를 해 주는 것도 좋습니다.

번식은 꺾꽂이로 합니다.

 

 

 

8. 아이비

 

두릅나무과 상록덩굴식물로
헤데라헬릭스(Hedera helix)가 대부분입니다.
잎의 모양이나 크기도 다양하며 원예종을 개량된 종류까지 합하면 더 많겠지요...

 

햇빛 아래서나(한여름 강한 직사광선은 피함) 반그늘에서 잘 자랍니다.

적정온도는 15∼20℃ 정도이고 생장을 위해서는 16℃ 정도 유지되어야 한다.
내한력이 강해 월동온도는 0℃ 이상.


유기질이 풍부한 양토에서 잘 자라므로, 깻묵이나 알비료, 액비를 1개월에 2∼3회의 비율로 준다.

물주기는 건조에는 약하므로 여름에는 아침, 저녁으로 2회 듬뿍 준다.
겨울에는 분흙이 마르는듯 하면 오전을 택해서 주며 분토가 마르지 않도록 관리합니다.


번식은 줄기 삽목으로 4∼5월경, 기근이 나와 있는 줄기를 잎 2매 정도 붙여서 잘라. 모래 등의 삽목용용토에 심는는다. 3개월이 지나면 작은 분에서 감상할 수 있지만 뿌리를 내리고 활발하게 자라려면 몇 개월이 걸린다.

고온건조한 환경에서는 거미응애가 많이 발생하며 진딧물과 깍지벌레도 가끔 피해를 준다,
다습하고 환기가 원활하지 않으면 밑둥의 줄기 썩음병, 세균성 점무늬병, 잎 뒷면의 수침상 반점 등이 발생한다.

 

잘 설명된 블로그 링크합니다.
http://blog.naver.com/ori2k.do?Redirect=Log&logNo=150049142913
 



 

 

9. 카랑코에

 

칼랑코에(Kalanchoe blossfeldiana)라고 합니다.


아프리카의 마다가스카르 지역이 원산지인 돌나물과 다육식물이랍니다.  

영명으로는 Flaming Katy, Christmas Kalanchoe, Florist Kalanchoe로 부르구요
키우기도 쉽고 꽃색깔도 다양하여 실내원예에 인기가 높은 종류랍니다.


칼랑코에는 건조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줄기나 잎에 양분을 저장하고 있는 다육식물입니다.

강한 햇볕을 받으면서 건조한 환경에 적응한  식물이니만큼 물주기와 온도가 중요합니다.

실내에서는 항상 햇볕을 받을 수 있는 밝은 장소에서 관리해야 
웃자라지 않아 모양도 좋고 꽃도 풍성하게 달립니다.

물주기는 봄,가을에는 1주일에 한번 주는 정도, 한 여름이라면 2-3일에 한번정도 주어야겠지요.

겨울에는 2-3주에 한 번 정도를 기준으로 합니다.  
그러나 물주기는 각자의 관리 환경과 관리 장소, 화분의 상태에 따라 탄력성있게 조절해야 합니다.
칼랑코에와 같은 다육식물은 물을 자주 주는 것보다는 부족한듯 해야 잘 자란답니다.
물을 한동안 주지 않아도 바로 죽지 않으니까 가늠이 어려울 경우라면
약간 시들하다 싶으면 듬뿍주면 틀립없답니다.

대체로 우리 환경에 잘 적응한 식물이지만, 
겨울철에는 최저 10도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냉해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꽃이 피어있는 기간이 길기 때문에 꽃이 핀 뒤에는 영양분을 소모해 버려서 몸살을 앓게 됩니다.
꽃대를 잘라주고 약간 큰 화분으로 옮겨심는 것이 좋은데,
시기를 놓친다면 적어도 2년에 한번씩은 옮겨주어야 합니다.


http://blog.naver.com/ori2k?Redirect=Log&logNo=150031225217
http://blog.naver.com/ori2k.do?Redirect=Log&logNo=150017324482


 

 

 

식물이름과 키우는법

식물의 이름과 키우는 법알려주세요. 칼라데아 프레디 / 밝은 반양지 통풍 잘 되는 곳 / 물 겉흙 마르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5~6일 정도 경과 후 / 온도 20~28℃ 올리브나무...

식물키우는법좀알려주세요 (내공 20)

... 각각의 식물마다 1.키우는법 2.햇빛쬐기 ( 실내, 밖,음지,양지 등) 3.물주는법 (주기, 양) 을 알려주세요 1. 키우는법 화초를 키우실때는 세가지 조건을 잘 ??주셔야 합니다....

식물이름이랑 키우는법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선물받은 식물키우고있습니다. 근데 이름도모르고 정확히 키우는법을 몰라서 문의드립니다. 물은 일주일에 몇번줘야하는지 주의할점등등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