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에 대하여

한복에 대하여

작성일 2015.09.15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 한복에 대해서 조사하는데...  한복의 종류나 유래등등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닷!! 시간이 별로 앖어서 빨리 달아주셨으면 합니다~~ 내공 30이여!!


#한복에 대하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한복에 관심이 많은 사람으로서 아는 바대로 알려드리겠습니다.

한복의 역사는 상고시대때부터 시작되었는데요.

우리가 알수있는 고대 한국인들이 어떠한 모양의 한복을 입었는지 알수 있는 방법은

고구려 고분벽화를 통해서 입니다.

고구려 고분벽화를 보면 알수있는데요.

상고시대때는 저고리길이가 허리춤까지 내려오게 길게 입었습니다.

그리고 신분에 따라서 귀족이나 왕족은 소매끝동에 색깔이 다른 천으로 소매끝동을 붙였습니다.

그러니까 당시에는 평민들은 소매끝동에 다른 천으로 넓은 끝동을 붙일 수 없었습니다.

 

고구려시대 초기까지는 한복저고리가 왼쪽여밈이었습니다. 그런데 중국한족의 영향으로

오른쪽 여밈으로 바뀌었고 그후로도 계속 지금까지 한복저고리는 오른쪽 여밈으로 이어져 오고있습니다.

고구려 벽화에서 보면 하인들이 입은 의상이나 무희(춤추는 여인)들의 의상을 보면 바지를 입고 있는데요.

그 당시에는 여자도 바지를 입었음을 추측할수 있는 것입니다.

 

고구려 벽화를 보면 한족의 영향으로 여성들이 치마를 입게 되었습니다.

그 명칭을 "상"이라고 합니다.

통일신라시대 때는 여인들이 바지를 입지 않았고 치마를 입었으며, 고려시대까지는 한복저고리가

허리춤까지 내려왔으며, 저고리에 고름을 매지않았고 태권도복처럼 허리에 끈을 묶었습니다.

고려 후기에 저고리에 고름을 묶기 시작했습니다.

고려시대여자들은 노란색 계통의 치마를 즐겨 입었습니다.

 

고려시대에는 여자들이 바지를 입었습니다.

그러나 조선시대와서는 여자들이 바지를 입지 않았습니다.

 

조선초기까지는 고려시대의 관습이 남아서 저고리길이가 좀 비교적 길었습니다.

 

한가지 설이 더 있는데요. 고려말 조선초에 중국에 명나라가 들어설 무렵, 중국 명나라 황실에서

"짤방"이라고 불리던 의상을 궁중에서 입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고려말부터 중국에 대한 사대주의에 젖었었고, 특히 조선개국때는 명나라를 황제국으로 섬기면서

중국 명나라 측에서 신하국인 조선에게 "짤방"을 따라서 온국민들이 입으라고 명합니다.

그것이 바로 조선시대의 한복이며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한복의 모습입니다.

이것은 설에 불과해서 정확하게 맞는지 아닌지는 알수 없습니다.

 

조선시대에 여자한복은 유행에 따라서 저고리 길이가 길어졌다가 짧아졌다가 하였습니다.

특히 기생들의 경우에는 몸매가 드러나게 팔부분을 타이트 하게  저고리를 타이트하게 입었으며 몸을 움직일 때마다 겨드랑이 속살이 보이게  입기고 했답니다.

 

조선시대에는 여자한복에서 신분을 구분하기위해서 한복치마가 왼쪽여밈은 양반이나 평민이고

오른쪽여밈(오른쪽으로 한복치맛단이 휘감기는 것)은 기생이 하였다고 합니다.

또한 시집가기전에 아가씨들은 노랑저고리에 분홍한복을 입었으며, 시집간 새색시는 초록저고리에

다홍치마를 입었습니다.

시집가서 아들을 낳은 여인만이 옥색저고리에 남색치마를 입었다고 합니다.

시집가서 아들을 낳지 못하면 절대로 옥색저고리에 남색치마를 입지 못하였다고 합니다.

(대표적 예로 율곡이이의 어머니인 신사임당의 초상화를 보시면 알수 있습니다 .아들을 낳았기에

옥색저고리에 남색치마를 입고 있어요.)

 

금박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금박은 고려시대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원래는 법적으로 왕실에서만 한복에 금박을 할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변질되어서 조선시대에는 사대부가의 여성들도 금박을 하였답니다.

 

금박은 당의, 원삼, 활옷에 하였습니다.

당의 원삼 활옷은 신라시대에 중국 당나라에서 들어왔습니다.

당의는 궁중 소례복으로 사극드라마에서 조선시대 드라마보면 볼수있는 평소에 입는

그 여성한복을 일컫습니다.

(손을 안보이게 가려주는 저고리를 말합니다.)

당의 원삼 활옷 그리고 적의는 조선시대 궁중여성들이 입는 예복입니다.

특히 적의는 중국명나라로 부터 사여받아 입은 옷으로 오직 왕비책봉식에만 입을수 있었습니다.

꿩을 전체면에다가 수를 아름답게 놓았었고, 군데군데 윤화문(輪花紋)을 수놓아서 아주 기품있고

우아한 의상이었습니다.

그러니까 왕비만 왕비책봉식때 입을수 있는것입니다.적의(翟衣)- 꿩:적 , 옷:의

 

당의와 원삼 활옷에는 치맛단에 금박을 하였는데요.

이 치맛단에 금박을 한것을 스란단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스란치마라고 부르지요.

원삼도 황후는 황원삼(노란색) 왕비는(홍원삼) 공주나 옹주는 (초록원삼)을 입었습니다.

참고로 옹주는 왕비가 아닌 후궁의 딸이라는것은 알고 계시죠?

 

치마를 두겹으로 해서 치마긴곳에 금박, 그리고 그 위에 한겹더 짧은 치마에 금박을 한 스란치마는

대란치마라고 부릅니다.

스란치마에 금박을 할때도 신분을 나타내기위해서 왕비는 용무늬, 공주나 옹주는 봉황무늬 , 사대부가의

여성들은 화초무늬를 하였다고 합니다.

당의 같은경우는 궁중의 왕비 공주 옹주 등 왕족여성과 궁녀들이 평소에 입었고요.

일반 평민여성은 당의를 입지 못했습니다.

사대부가의 여성들이 궁중 출입때는 당의를 입고 갔다고 합니다.

 

엄격한 신분시대인 조선시대에도 그나마 인정이 있어서인지, 일반 평민 여성에게 일생에 딱한번

활옷을 입을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고 합니다.

바로 혼례식날입니다. 그날은 도투락댕기에 연지곤지 찍고 화려하게 수가 놓여있고 아름다운 활옷을 일생에 한번 입을수 있도록 하였다고 합니다.

 

조선시대에 일반평민들은 대부분 평소에 흰옷을 입었다고 합니다.

저고리 고름도 유행에 따라서 길이가 짧고 폭이 좁은 것이 유행하다가 길이가 길고 폭이 넓은 고름이 유행할 때도 있었습니다.

조선시대에 저고리 고름은 미혼여성은 흰색으로 하였고 기혼여성은 색깔을 넣었다고 합니다.

지금은 그런 관습 따르지 않고 아이든 아가씨든 아줌마 한복이든 다 고름에 색깔을 넣습니다.

 

좀 얕은 지식이지만, 이상 도움되시기 바랍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한복이란?

한복은 우리의 옷이다. 한복의 역사는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시대로부터 시작되었다. 부족국가시대를 거쳐 삼국시대에 이르면 두루마기를 중심으로 저고리, 바지, 치마, 두루마기를 중심으로 모자, 허리띠, 화 또는 이를 착용하는 고유의 식 양식으로 이루어진다. 우리 옷은 아 한대성 기후로 삼한 사온이 계속되는 자연 조건과 북방 유목민 계통의 문화요소가 결합되어 있다. 그래서 속옷부터 겉옷인 두루마기에 이르기까지 몸을 싸는 형식이다. 또 저고리와 바지가 떨어져있고, 앞이 트여 있는 활동적인 옷이다. 복식이란 사람의 몸위에 표현되는 것이다.

한복의 소재 -

우리 옛조상들은 봄과 가을, 여름, 겨울에 따라 소재를 달리하여 계절에 맞는 옷을 입어왔다. 제철에 맞는 옷감 선택은 한복의 멋과 품위를 살리고, 전통소재들의 아름다움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1. 남자한복

1) 평상복

① 속옷 : 속적삼, 속고의
② 저고리 : 적삼, 겹저고리, 솜저고리
③ 바지 : 고의,잠방이,겹바지,솜바지
④ 조끼,마고자,두루마기

2) 예복

① 평례복 : 평상복위에 두루마기
② 혼례복 : 평상복위에 옥색 두루마기,관복,각대,사모,목화,포선
③ 상례복 : 바지 저고리에 베 중단,굴건제복

부친상(죽장),모친상(모난 동장),행전을 치고 미투리를신는다

3) 전통혼례복

(1) 사모관대
신랑이 입는 옷은 보통 '사모관대'라 일컬어지는 관복 일습인데,
평민 양반의 구별 없이 사모,단령,흉배,각대,목화를 착용했습니다.

2) 사모
사모는 원래 직품을 가진 자가 평상복에 착용하던 것이나,

직품을 갖지 않은 자라도 혼례때에는 이를 쓰는 것이 허용되었습니다.

재료는 검정색 실이며 뒤쪽에 붙은 양쪽 날개에는 구름 무늬를 넣었습니다.

 

3) 단령
단령은 관직자가 평상복으로 입던 옷으로,

작품에 따라 홍색,청색,흑색 등의 비단으로 만들었으며,

혼례 때에 입던 단령은 주로 청색계통이었습니다.
단령에는 흉배를 다는데, 보통 두 마리의 학이나 구름 등의 모양으로 수를 놓았습니다.
단령을 입은 뒤 허리에는 각대를, 신발로는 목화를 착용하였습니다.

 
4) 목화
목화는 원래 조선조 때 문무백관이 평상복에 신던 신발인데, 혼례 때에는 서민들이 신었습니다

2. 여자한복

1) 평상복

① 속옷 : 속저고리,속적삼, 다리속곳,속속곳,바지,단속곳
② 치마

- 모양(통치마,풀치마,스란치마)
- 안감의 유무(홑치마,겹치마)
③ 저고리

- 봄·가을 (물겹저고리, 박이겹저고리)
- 여름 (적삼, 깨끼저고리)
- 겨울 (솜저고리)
④ 마고자,배자,두루마기,버선

2) 예복

① 평례복

- 젊은이(다홍 치마,노란색(연두색) 회장저고리)
- 중년이후(남치마,옥색 회장저고리)
② 소례복 : 당의,화관(족두리)
③ 혼례복 : 원삼(활옷),한삼(흰수건),화관(족두리),용잠,도투락댕기
④ 상례복 : 깃 광목으로 지은 치마,저고리,흰 족두리,짚과 삼으로 엮은 띠,짚신
⑤ 기제사복 : 옥색 치마 저고리

3) 전통혼례복

1) 활옷
원래는 궁중에서 의식이 있을 때에 왕비가 입던 대례복이었으나,

후에는 서민의 혼례복으로도 사용되었습니다.
활옷은 홍색비단에 청색으로 안을 받쳐서 만들었는데

이는 청색(여성)과 홍색(남성)의 화합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2) 원삼

고려시대부터 대례복으로 궁중여인들과 신부의 웃옷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황후는 황색, 왕비는 홍색, 비빈은 자색, 공주나 옹주는 녹색원삼을 입었는데,
그 중에서 녹색원삼이 서민층의 혼례식에 사용되었습니다. 민간 원삼에는 금박을 하지 않았습니다.

3) 대대
홍색 공단에 심을 넣어 만들어 금박무늬를 찍습니다.
활옷이나 원삼을 입은 뒤 앞가슴께에 대대의 중앙이 오도록 대고
양쪽으로 돌려 뒤에서 묶어 늘어뜨립니다.
4) 스란치마/대란치마
스란치마는 소례복에 입고, 대란치마는 대례복에 입던 치마입니다.
금박무늬가 찍힌 천을 덧댄 스란단을 한 층 뭍인 것이 스란치마리고, 두 층 붙인 것이 대란치마입니다.
가례나 길례 때는 속에도 남색 스란치마를 입었습니다.
5) 족두리
원래 몽고에서 여인들이 외출할 때에 쓰던 일종의 모자였으나.
고려말 우리나라에 들어온 뒤로 모양이 왜소해져 머리장식품으로 변하였습니다.
영조 때의 가발금지령에 따라 왕비나 세자빈이 칠보족두리를 쓰면서부터
널리 보급되기 시작했는데.궁중이나 양반집에서 의식용으로 소례복에 족두리를 썼습니다

한복에 대하여

한복에 대하여 좀 써주세여 선생님께서 그냥 한복에 대하여 조사해오라고 해서 간단하지만 중요한건 빠지지않고 아주 간단하게는 말고 잘 써주세여 내일 까지 내야 하니까...

한복에 대하여

... 제 숙제로 한복에 대하여 조사 하여야 하거든요... 이것들만 알려 주시면 내공 100 겁니다 1 한복의 유래 2 한복의 특징 3. 한복의종류 한복이란? 한복은 우리의 옷이다. 한복의...

한복에 대하여~급해욧~

한복에 대하여 아주 자세히~~~~~~~섬세하게 가르쳐주셨으면합니다 내공 겁니다!~ ◈ 한복의 모든 것 ◐ 한복이란? 한복은 우리의 옷이다. 한복의 역사는 고구려, 백제, 신라의...

한복,한복에 대하여!!

... 그래서 한복에 대하여 답 좀 해 주세요~ 1.옛날 신분에 따라 어떤 한복을 입었나요? 2.한복은 언제 만들어 졌나요? 3.한복은 무슨 재료로 만드나요? 4.한복의 종류가...

한복에 대하여~

한복에 대하여 알려주세요!~ 논술 숙제를 해야 하는데................................... 네공은 별로 없어서 30 드립니다! 한복의 정의와 유래 한복은 한국인들이 오랜 기간 착용해 온...

한복에 대하여

... 5시까지 한복에대하여 소개하는 글 좀 올려 주세요. 출처도 밝혀 주시고 처음 가운데 끝으로 해주세요. 처음에는 대충 예를 들어 한복에 대하여 알고있나요? 등등 으로 해...

한복에 대하여...

제가 한복에 대하여 광고처럼 하려고 하는데요. 한복에 대한 자료가 부족해서요. 장점과 단점 그런것도 해주시고 간단하게 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사진이나 그림도...

전통 한복에 대하여...

우리나라 전통 한복에 대하여 조사하려고 하는데 아래것들좀 가르쳐 주세요~~(내공 30) 1.전통 한복의 기능 2.전통 한복의 종류 3.전통 한복 종류별 명칭 4. 그 밖의 전통 한복에...

한복의 옷 에 대하여

저히 선생님이 축석 숙제로 내 주셨는데 한복에 대하여 알아오래요 여러가지 기본 명칭 남자 명칭 여자 명칭 이요 14일까지 알려주세요 * 한복이란? 한복은 우리의 옷이다....

더위에 대비한 한복에 대하여

더위에 대비한 한복에 대하여..... 아는 것은 다 올려주시고 죄송하지만 외부수집은 안됍니다...ㅠㅠ 글구 내공 20!!!!!!!!!!!! 와우~ 4월 1일 마감합니다. 빨리 빨리 여름철 한복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