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축농증 해결 방안!

만성 축농증 해결 방안!

작성일 2023.12.08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여동생이 만성 축농증이라 코가 매일
헐어있어요 가끔은 고열까지 유발해서
병원 까지 가고 두통도 심해져요
가래가 매일 껴 있어서 괴로워 하는데
병원에서는 약 처방만 해줄 뿐
그 이상 기대하기는 힘든데요
얘가 또 가래 뱉는 법을 몰라서 코 푸는 것만으로
해결을 보려는데
가래가 잘 안나와서 더 힘들어 하거든요
방법 없을까요
가래 뱉는 방법을 터득하면
좀 덜 할까요?
축농증 해결 방안 아시는 분 도움 주세요


#만성 축농증 증상 #만성 축농증 #만성 축농증 치료 #만성 축농증 원인 #만성 축농증 수술 #만성 축농증 민간요법 #만성 축농증 치료법 #만성 축농증 관리 #만성 축농증 두통 #만성 축농증 치료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가래는 코가 목 뒤로 넘어가면서 후비루로 인해 생기는 것인데 제일 중요한 것은 부비동염의 염증을 제거하는 것이고, 이에 의해 후비루의 양이 감소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이는 항생제를 통해 치료가 가능합니다.

또한 동시에 코세척 등을 교육받아서 같이 치료받으시면 효과가 더 좋습니다.

증상

급성기에는 권태감, 두통, 미열과 함께 코 막힘, 콧물과 안면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만성기에는 코막힘, 지속적인 누런 콧물, 코 뒤로 넘어가는 콧물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질환이 더 진행되면, 후각 감퇴, 두통, 집중력 감퇴 등의 증상이 발생합니다.

어린이에게 발생하는 부비동염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10~14일 이상 지속되는 감기(때로는 열이 동반됨)

② 끈적끈적한 황록색의 비강 분비물

③ 코가 목뒤로 넘어감, 인후통, 기침, 구역, 구토

④ 두통(6세 이하에서는 드문 증상임)

⑤ 보채거나 축 늘어짐

⑥ 눈 주변에 나타나는 부종

치료

만성 부비동염의 치료 방법은 내과적인 치료와 외과적인 치료(수술)로 구분됩니다.

① 내과적 치료

약물 치료에는 주로 경구용 항생제를 사용합니다. 부가적으로 비강 점막의 부종을 감소시키는 혈관수축제를 사용합니다. 혈관수축제는 만성 부비동염으로 인해 좁아진 부비동 자연공을 넓혀서 부비동의 환기와 배액을 용이하게 해 줍니다. 스테로이드제제는 부비동 자연공의 염증 반응을 억제하여 부종을 감소시킴으로써 그 입구를 넓힙니다. 보조 치료 방법으로 생리 식염수를 이용한 비강 세척법이 있습니다. 이는 분비물에 의한 가피 형성을 억제해 줍니다.

② 외과적 치료(수술)

내과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만성 부비동염의 경우 수술 치료가 필요합니다. 수술 치료의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자연공을 통한 부비동의 배액과 환기 유지입니다. 둘째, 발병의 선행 요인인 비강 내 구조적 이상을 제거하거나 교정하는 것입니다. 셋째, 부비동 점막의 병변이 비가역적이라면, 부비동 점막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부비동 내시경 수술을 시행합니다. 일부 환자에게는 풍선카테터 부비동 수술을 시행합니다. 수술 전에 부비동의 염증을 치료함으로써 분비물의 배액을 막는 자연공의 점막 부종을 줄이고, 부비동에 저류된 분비물의 배액을 촉진합니다. 섬모의 기능을 촉진하고 치료 중이나 치료 후에 자연공의 소통을 유지시킬 수 있는 내과적인 치료를 선행해야 합니다.

경과

부비동염의 합병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기관지염, 천식

② 안면부 봉와직염, 안와 주위 봉와직염, 안와 주위 농양, 시신경염, 실명, 안와 농양, 해면정맥동혈전 등의 안와 내 합병증

③ 뇌수막염, 경막하농양, 경막외농양, 뇌농양 등의 두개 내 합병증

④ 골수염

주의사항

감기나 알레르기 발작이 일어날 때 부비동염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부비동을 청결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① 경구 혈관수축제를 사용하거나, 짧은 기간 동안 비강 혈관수축제 스프레이를 사용합니다.

② 부드럽게 코를 푼 다음, 한쪽 코를 막고 반대쪽 코를 풉니다. 반대로 하여 똑같이 시행합니다.

③ 비강 분비물을 엷게 하기 위해 충분히 수분을 섭취합니다.

④ 항공 여행을 피합니다. 불가피하게 항공 여행을 해야 한다면, 비상 혈관수축제 스프레이를 사용합니다. 이 스프레이는 이륙 전에 부비동이 막히는 것을 막고, 점액이 잘 배출되도록 도와줍니다.

⑤ 알레르기 발작을 자극할 수 있는 물질을 피합니다. 만약 피할 수 없다면 알레르기 발작을 조절할 수 있는 항히스타민제나 비강 스프레이를 사용해야 합니다. 알레르기 검사는 알레르기를 발생시키는 물질에 대한 환자의 내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FAQ

Q. 축농증으로 수술을 받았는데 비강 세척을 하라고 합니다. 비강 세척을 꼭 해야 하나요? 만약 그렇다면 세척 방법을 알려 주세요.

A. 부비동 및 비강 내 수술 후, 점막이 재생되기까지는 대략 2개월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이때는 비강 점막이 부어 있습니다. 초기에는 많은 양의 가피(딱지)가 생기고 끈적거리는 점액성 분비물이 발생합니다. 이 때문에 코가 막히고 점막이 잘 재생되지 않습니다. 수술 후 환자 스스로 부비동 및 비강을 세척한다면, 청결한 비강 환경을 유지하고 점막의 재생을 촉진하여 수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축농증 수술은 수술 후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 참고 : 비강 세척 방법

세척 시 생리식염수(1리터)와 50cc 세정용 주사기가 필요합니다. 생리식염수와 세정용 주사기는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비강 세척은 1일 2회(아침, 저녁) 이상 하는 것이 좋고, 보통 2개월 정도 시행합니다. 의사의 지시에 따라 시행합니다.

주사기에 생리식염수를 담아 세면대에서 고개를 숙인 상태로 코 한쪽에 100cc(50cc 주사기로 2회)를 분사합니다. 주사기 끝이 비강 점막에 닿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세척한 지 5~10분이 지나면 딱지가 불어나는데, 이때 코를 풀어서 딱지나 점액성 분비물을 배출시킵니다. 양쪽 코를 동시에 막고, 코를 세게 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Q. 소아 부비동염도 수술해야 하나요?

A. 소아 부비동염의 치료 과정에는 항생제 투여, 비강 내 비루를 배출시키기 위한 코 풀기 훈련, 보호자의 이해 및 이를 위한 교육이 함께 이루어집니다. 소아 부비동염은 어른의 경우와 달리 약물 요법을 원칙으로 합니다. 3주 정도 약물 요법을 지속하여 치료합니다. 근치술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아데노이드 증식으로 비인강이 폐쇄된다면, 아데노이드 절제술이 필요합니다.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고 반복적으로 부비동염이 재발하면, 풍선카테터 부비동 수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30

만성축농증 이제는 해결하고 싶습니다.

... 사실 인터넷에 만성축농증 해결방안들이 많긴 한데 어떤 것을 해야할지 모르겠어요. 만성축농증 해결 방안 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하이닥-네이버 지식iN 상담의 이상덕...

만성 축농증 걸린 사람은 감기에...

제가 만성 축농증이 있어서 1년 365일 한쪽 코가 막혀있거든요 근데 엄청 추운 날씨에... 해결방안 같은거 없을까요..ㅠㅠ 한쪽만이라도 코로 숨쉬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하이닥...

만성 축농증 치료해야할까요?

... 코염증이 해결안되면 허구헌날 항생제에.. 축농증이 오는거고,,, 그게 계속되면 만성으로 눈도 아프고 두통도 오게... 코막힐 때 방안이 살짝 눅눅하다싶을정도로 해두어도...

비염 과 눈간지러움해결방안

... 소아 때부터 발병하는 경우가 흔하며, 잘치료하지 않아 오래되면, 코는항상 막혀있게 되고 만성부비동염(축농증), 비용종(물혹), 중이염 등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이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