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레일리아 ,,

오스트레일리아 ,,

작성일 2004.08.18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 숙제를 하다가 아무리 찾아봐도 안나오는게 있어서요,, ;;

답변 해주실때, 앞에다 번호좀 붙여주세요 ;;

그리구, 되도록이면 길지 않고 짧게,, ;;

- 오스트레일리아 -

1. 지형적 특색

2. 기후적 특색

3. 주요 도시 설명

4. 주요 민족

5. 국가 원수

6. 주요 정당

7. 국민 총 생산

8. 1인당 GNP

9. 7번과 8번은 무슨 말이죠??

10. 주요 자원

11. 주요 공산품

12. 주요 농산물

13. 우리 나라와의 관계

14. 주요 도시나, 주요 문화유산 , 산맥과 강, 평야 등,,

내공 많이 걸께요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오스트레일리아 호주 차이 #오스트레일리아 기후 #오스트레일리아 시간 #오스트레일리아 호주 #오스트레일리아 영어로 #오스트레일리아 국기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오스트레일리아 달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오스트레일리아(호주)

수도 : 캔버라
위치 : 오스트레일리아대륙 및 태즈메이니아섬
면적 : 768만 2300㎢
인구 : 1954만 6792(2002)
언어 : 영어
종교 : 카톨릭 영국국교회
통화(환율) : 오스트레일리아달러(A$) 1달러=1.7669A$(2002.11)
주요도시 : 노던 테리토리 뉴 사우스 웨일스주 시드니 퀸즐랜드
테즈메니아 빅토리아
출신인물 : 사라 마벡 카일리 미노그 제프리 러쉬 엘르 맥퍼슨


인구밀도 2.5명/㎢
종교 가톨릭교·영국국교회
통화 오스트레일리아달러(A$)
환율 1달러=1.7669A$(2002.11)
국내총생산 4659억 달러
(2001) 1명당 2만 4000달러 (GNP)
무역수지 수출 688억 달러
(2001) 수입 702억 달러


오스트레일리아대륙 및 태즈메이니아섬을 주요영역으로 하는, 6주 2직할지구로 이루어진 연방. 정식명칭은 오스트레일리아연방(Commonwealth of Australia). 면적 774만 1000㎢. 인구 1933만 8000(2001). 남태평양과 인도양 사이에 있다. 수도는 캔버라.


자연


지형·지질
평균고도가 매우 낮고 평평하며 기복이 적다. 유라시아·아프리카·남북아메리카·남극대륙에 비해 면적은 작고, 평균고도도 330m로 가장 낮다. 해발고도 200m 미만인 저지가 총면적의 39%이며, 해발고도 1000m 이상인 고지가 총면적의 2%이다. 또한 해안선도 단조롭다. 대륙은 서부대지·중앙저지·동부고지의 3개 대지형구(大地形區)로 나누어진다. 서부대지의 대부분은 평탄한 대지·사막·평원이고, 산지나 고원은 대륙 중앙부와 북서부의 일부에 국한된다. 지질적으로는 오스트레일리아순상지 또는 서부순상지라 불리는 선캄브리아층의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고, 지역에 따라 그 위에 고생대 이후의 퇴적층이 덮여 있다. 선캄브리아층은 금속광물자원의 보고로서, 대표적인 광상은 북서부의 철광석광상이다. 마운트아이자 및 브로컨힐의 비철금속광상도 선캄브리아층 지역의 동쪽 끝에 해당한다. 중앙저지(중앙동부저지 또는 내륙저지라고도 한다)의 북반부 대부분은 중생대 이후의 퇴적층이고, 지하수 이용으로 유명한 대찬정분지에 해당한다. 남반부는 주로 신생대 제 3 기의 퇴적층이며, 머리-달링수계의 중·하류유역에 해당하며, 머리-달링분지라고도 한다. 동부고지는 그레이트디바이딩산맥을 중심으로 한 산지 및 고원지대와, 좁은 하곡평야와 해안평야로 이루어져 있다. 지질적으로는 타스만지향사라 불리는 고생대 퇴적층이 중생대 이후에 융기하여 형성된 것으로 서부대지의 선캄브리아층과 마찬가지로 금속광상이 발달한 것을 볼 수 있다. 평탄한 지형과 건조한 기후로 인해 하천과 호소는 발달하지 못했다. 대부분의 하천은 계절하천·간헐하천이고, 호수는 말라버린 염호(鹽湖)의 호상(湖床)이다. 내륙에서 연중 항상 물이 있는 큰 강이나 호수를 볼 수 없는 점이 북아메리카대륙과의 차이점이다.


기후
온난·건조하다. 북쪽연안은 열대기후, 동쪽과 남쪽연안 및 태즈메이니아섬은 온대기후에 속한다. 내륙으로부터 북서부에 걸쳐 넓게 펼쳐진 건조기후지역(사막기후·스텝기후)이 총면적의 57%로 가장 넓다. 강수량은 해안에서 내륙으로 들어 갈수록 차츰 감소한다. 연강수량이 500㎜를 넘는 지역은 총면적의 29%이고, 800㎜를 넘는 지역은 11%에 불과하다. 그리고 물의 이용가능성이라는 점에서 본다면, 연강수량의 분포에 관해서 2가지의 제약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로는 강수량의 변동의 정도가 내륙으로 갈수록 크므로 연평균값의 신뢰도가 낮다는 점이다. 따라서 매년 실제 강수량은 연평균값보다 훨씬 낮다. 둘째로는 강수량의 대부분이 증발로 인해 줄어든다는 점이다. 그래서 증발량을 웃도는 <유효> 강수량이 있는 달이 연중에 몇 개월 되는지를 표시한 <작물생육기간>이라는 지표가 자주 쓰인다. 이 기간이 5개월 이상이면 농업이 가능하고, 1∼5개월이면 조방목축만이 잠재적으로 가능하게 되며, 여기에다 토양과 기온 등 다른 자연 조건까지 감안한다면 농업이 가능한 지역은 더더욱 제한된다.


생물상
곤드와나대륙의 일부였던 것이 신생대 제 3 기의 전기 무렵에 분리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그래서 곤드와나대륙계통의 원시적인 동·식물은 물론, 신생대에 아시아 계통의 동·식물이 독자적으로 진화를 하여 다른 대륙과는 다른 생물상을 형성했다. 따라서 식물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구계계(區系界), 동물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구라는 독특한 생물분포구가 설정되었다. 삼림은 연안부에 발달되어 있다. 주요한 것은 남서부와 남동부의 지중해식 기후 아래의 경엽수림(硬葉樹林)과 북부로부터 북동부에 걸친 유카리나무 Eucalyptus(오스트레일리아 사람들은 gum tree라고 부른다)를 주축으로 하는 사바나적 식생이다. 북동연안 일부에는 열대우림도 있다. 남동부연안에는 강수량이 많아 계절우림과 상록활엽수림이 있으며, 일부에서는 고산식생도 자라고 있다. 수목 가운데서 개체수로 90%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나무가 유카리나무이며,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진화했기 때문에 높이가 1m도 안되는 관목부터 90m 이상이나 되는 것까지 약 500종이 있다. 전형적인 풍경의 일부로서 널리 보이는 것은 레드리버검과 쿨리버이다. 아카시아(오스트레일리아 사람들은 wattle이라 부른다)도 유카리나무와 함께 대표적 수목이며, 약 600종이나 된다. 유카리나무가 재목이나 제지원료로 쓰이는 반면, 아카시아는 경제적 이용가치가 거의 없으나 독특한 향기를 내뿜는 꽃을 피우며 연방의 문장(紋章)의 일부로도 쓰이는 등 나라를 상징하는 수목이기도 하다. 서식하는 동물로는 어류 약 2200종, 양서류 약 70종, 파충류 약 360종, 조류 약 800종, 포유류 약 230종이 알려져 있다. 파충류의 대부분은 유린목(有鱗目)인 도마뱀과 뱀이며, 몸길이 2m 이상인 큰도마뱀류(구아나)·비단뱀류를 포함한다. 독사도 20종 가량 있으나 인명에 해를 끼치는 종류는 얼마 안된다. 조류 중 약 530종이 고유종이며, 에뮤나 금조(琴鳥)·흑조(黑鳥) 등이 이에 속한다. 또 약 60종에 이르는 앵무새가 서식한다. 오리너구리와 가시두더지는 가장 원시적인 난생(卵生)의 포유류, 즉 단공류(單孔類)이며, 세계적으로도 가장 진귀한 것 가운데 하나이다. 캥거루와 코알라로 대표되는 유대류는 육상에서 사는 포유동물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유대류는 남아메리카·오스트레일리아·뉴기니의 고유한 원시적 포유류이며, 오늘날에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가장 다양하게 진화되어 있다. 또한 일반 포유류와 마찬가지로 초식성뿐만 아니라 육식성을 포함하는 많은 종류로 나뉘어 있다. 캥거루는 몸길이가 30㎝도 안 되는 것부터 180㎝ 이상인 것까지 약 40종이며, 대부분이 땅 위에서 살고 있다. 쿠스쿠스(어포섬)는 약 40종이 있으며, 대부분은 나무 위에서 살고 있는데, 나무에서 나무로 활공(滑空)할 수 있는 것도 있다. 육식성유대류로는 소형인 주머니쥐 등이 있다. 태반이 있는 고등포유류는 약 100종이 있는데, 쥐나 박쥐종류가 많고, 유럽인이 가지고 들어와 야생화한 혈토(穴兎)·여우·소·양 등의 가축을 제외하면 다른 대륙에서 번영하고 있는 진수류(眞獸類)는 전혀 없다. 유대류 이외의 육식수로는 약 9000년 전에 원주민의 조상과 함께 아시아에서 건너와 야생화한 개라 일컬어지는 딩고가 있다. 딩고는 인간에게 사육된 일이 없는 진짜 야생종으로, 개와는 별개의 종이라는 설도 있다.

역사

첫 이주자는 원주민 애버리진의 조상일 것이다. 시기와 경로는 3만 8000년 이전에 동남아시아방면에서 이주해왔다고 보고 있다. 농경·가축·금속을 알지 못하고, 채집·사냥·고기잡이에 의존해서 해안지대와 일부 내륙 하천연변에서 살고 있었다. 유럽인 입식(入植) 이전의 원주민인구는 약 30만으로 짐작된다.


정치


정치제도
성문헌법에 바탕을 둔 의회제민주주의 국가이다. 영국국왕 엘리자베스 2세가 동시에 오스트레일리아국왕으로 되어 있다. 헌법상 국가원수는 연방총독이고, 의회 소집과 해산·각료 임면 등 최고의 권한을 가진다. 그러나 연방총독의 국사행위(國事行爲)는 관례적으로 내각의 <조언(助言)>에 따른 명목적인 것에 불과하며, 총독 자신도 사실상 내각이 인선하는데, 통례적으로 원로정치가가 뽑힌다. 연방의회는 양원제이다. 하원은 148의석이고, 인구분포에 따른 소선거구에서 선출되며 임기 3년이다. 상원은 각 주 12명, 각 직할지구 2명으로 모두 76의석이며 임기 6년이나, 반수는 3년마다 교체된다. 그러나 직할지구 의원은 임기 3년이며, 하원의원 임기와 일치해야 한다. 선거구는 하원이 1구 1의석의 소선거구이며, 상원은 주 또는 직할지구가 1선거구로 되어 있다. 내각책임제를 취하고 있고, 하원의 다수당에서 수상이 선출된다. 의회를 해산할 경우 상하 양원을 동시에 해산할 수도 있다. 주요 정당은 노동당(1891년 결성)·국민당(옛 地方黨, 1918년 결성)·자유당(1944년 결성) 등이다. 노동당은 노조운동 과정에서 탄생했으며, 자유당과 국민당은 보수당으로 간주된다. 1976∼83년 자유당과 국민당이 연립정부를 구성하였으며, 그 뒤 노동당이 집권하였다. 96년 3월 총선에서 자유당·국민당 연합이 승리하여 J. 하워드 내각이 성립되었다. 1856∼79년 여러 식민지에서 세계 최초로 기호식 무기명투표제를 채용했다. 현재도 이 투표제는 <오스트레일리아식 투표제(Australian ballot)>라고 불린다. 18세 이상의 남녀에게 선거권이 있으며, 후보자 성명이 인쇄된 투표용지에다 우선순위를 최하위까지 기입하여 투표한다. 투표는 의무이며, 기권하면 벌금이 부과된다. 연방정부의 권한은 헌법에 의하여 외교·국방·이민·관세·소득세·외국무역·주간통상(州間通商)·통신·화폐·사회보장 및 2개 주 이상에 걸치는 노동중재 등 특정분야에 한정되어 있으며, 그 밖의 행정분야는 주정부의 소관으로 되어 있다. 각 주는 자치식민지 이래의 오랜 전통을 배경으로 연방과 마찬가지로 총독·의회·정부를 두고 있다. 주의회·주정부의 권한과 책임은 연방의회·연방정부에 속하지 않는 모든 입법·행정기능에 미치기 때문에 매우 넓다. 예컨대 대학을 포함하여 공립학교는 주립이고, 철도도 원칙적으로는 주에서 경영한다. 교통법규나 주류판매규제 등도 주에 따라서 다르고, 지방자치제도도 주에 따라서 다소 차이가 있다.

경제·산업


구조적 특징
국내경제구조에서는 공업국적 특징, 수출구성에서는 1차산품 수출국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국내경제구조를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각 산업의 구성비에 따라 살펴보면, 그 중점이 농림수산업에서 공업과 제 3 차산업으로 옮겨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노동력 구성에서도 대체로 같은 경향이 나타나는데, 농림수산업 취업자는 약 5.1%(1995)에 불과하고 도시인구율(인구 1000명 이상)이 85%라는 사실에서 잘 나타난다. 수출의 산업별 구성에서는 농림수산업 비율이 저하되고 광업 및 공업 비율이 상승하고 있지만, 공업제품 수출에서 농산·광산가공품에 대한 의존도가 여전히 높다. <자원의 개발과 보전>자원적 가치는 수자원의 부족, 토양조건, 시장으로부터의 거리제약에 따라 면적에 비하여 매우 낮다. 경작지 및 개량목초지는 총면적의 5.7%에 불과하고 토지생산성은 높지 않다. 토지의 자원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 관개, 토양침식대책, 시비(過酸化燐酸비료 등)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 수자원의 경우는 토지에 있는 잠재적인 자원량을 유출량으로 본다면 3427억㎥이며, 그 중 실제로 이용되고 있는 지표수는 266억㎥이다. 삼림(천연림)면적은 국토의 5.6%인데, 그 중 경제적으로 개발가능한 삼림은 약 1/3 정도이다. 토지·물·삼림과는 대조적으로 광물과 에너지자원은 풍부하다. 19세기 이래 금·석탄·구리·납·아연·철광석 등이 개발되었고 특히 1960년대 이후로는 철광석·석탄·보크사이트·니켈·원유·천연가스가 대규모로 개발되고 있다. 원유 생산량은 2161천조줄(1997)이고, 많은 광산물이 수출된다.


농림수산업
중심은 농목업으로, 생산액의 약 95%이다. 농장수는 약 17만 6000개이고 종사자수는 약 37만 7000명이나, 감소추세에 있다. 주요 농축산물은 밀·쇠고기·양털·과일·야채·우유·사탕수수이고 임업에서의 소재생산은 주로 유카리나무이다. 목재의 자급률은 85%이다. 수산업의 중심은 참새우·왕새우 등의 갑각류인데, 수산업 생산액의 약 60%, 수출액의 80%를 차지한다. 그 밖에 다랑어 등의 어류와 굴 등의 조개류가 풍부하며 양식진주 등도 있다.


광공업
가공하지 않은 채로 광산물을 수출할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제련·가공을 거침으로써 공업생산과 수출에도 기여하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비철금속은 국내에서 제련·가공된 뒤에 공업제품으로 수출된다. 공업은 자원을 가공하여 수출하는 형태와, 국내시장을 겨냥한 수입대체 형태의 2가지 성격을 지닌다.


수출입
무역의존도는 수출 16.4%, 수입 17.8%(1996)로서 미국·일본보다 높으나 선진공업국 중에서는 낮고, 식료·원료를 수출하고 공업제품을 수입한다. 1960년대 이후 수출에서 양모 비중이 낮아지고 광산물 수출이 급증하는 변화는 있었으나, 지금도 식료·원료·연료가 수출액의 약 3/4을 차지하고 있다. <금융·재정> 무역수지는 계속 흑자였으나 1980년대 초에 악화되었다. 무역외수지가 적자이기 때문에 경상수지가 대체로 적자인데, 외국자본유입 등에 의한 자본수지의 흑자로 메우고 있다. 은행 외에도 보험회사·증권회사·금융회사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재정의 특색은 주정부의 권한과 책임이 상대적으로 큰 데 비해 세입면에서는 연방정부가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연방정부가 소득세(개인 및 법인) 징수와 기채(起債) 권한을 가지는 것을 비롯하여 세입 기반이 강한 것과는 달리 주정부의 세수원(稅收源)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교통
1960∼70년대를 통해서 국내여객 및 국내화물 수송량은 경제성장을 웃돌 만큼 크게 증가했다. 국내여객 수송량의 90% 이상은 도로수송(주로 승용차)이 차지한다. 철도여객 수송량은 상대적·절대적으로 감소추세에 있는 반면, 항공여객 수송량은 급속히 증가하여 철도여객 수송량을 웃돌고 있다. 특히 소형비행기에 의한 벽지의 로컬선수송 및 자가용 비행기의 이용이 늘어나고 있다. 국제 정기여객 수송에서는 칸타스항공(국영)과 안세트항공이 해외노선을 개설하였다. 도로 총연장은 약 82만㎞이고, 그 중 포장도로는 약 24만㎞이다. 해운은 국내화물 수송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사회


주민
제2차세계대전 후의 이민정책 결과, 남유럽·동유럽·아시아계 주민이 지속적으로 늘어나 다양화되고 있다. 1901년 이래 <백호주의적(白濠主義的)> 이민정책은 66년 이래 급속히 수정되었다가, 73년에 폐지되었다. 현행 이민정책에 의하면, 일정한 객관적 조건에 합치되는 한 어떠한 차별도 하지 않는 것이 명확히 규정되어 있다. 아시아계 주민의 비율은 미국·캐나다·브라질 등에 비해 상당히 높으며, 최근의 신규 이민유입에서는 아시아계 이민이 1/4∼1/3을 차지하고 있다. 영어 이외 언어로도 신문·잡지가 발행되고 있으며 텔레비전방송도 이루어지고 있다. 원주민에 대한 법률·제도상의 형식적 차별은 없어졌지만, 실질적인 지위향상을 꾀하는 일이 중요 과제로 남아 있다.

국민생활
연평균 인구증가율은 출생률의 저하, 경제정세에 따른 순이민 유입의 감소로 1970년대로 들어서면서 크게 떨어졌다. 1960년대까지는 물가상승률이 연간 2∼3%였는데, 70년대부터는 점차 높아져 73∼83년에는 10% 안팎의 고율이 계속되었다. 임금수준은 어느 정도 물가상승을 따라가고 있지만, 실질임금 상승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실업률도 1974년 2% 이하였으나, 75∼82년 5∼6%, 89∼90년 6.2%, 97년 8.6%로 높아졌다. 노동조합은 주로 직능별조합으로, 긴 역사적 전통을 자랑하며 조직률도 높다. 주요 노조는 오스트레일리아노동조합평의회(ACTU) 산하로 조직되어 있으며, 금속산업연합이 97년 9월 발족한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정사원 고용은 과거 7년간 증가하지 않고 있다. 또한 노사분쟁이 발생했을 경우에 동맹파업에 이르는 경우는 드물고 노사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강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 중재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교육
원칙적으로 주정부 책임이며, 교육제도는 주에 따라 다르다. 초등학교 교육은 6∼7년제, 중등학교 교육은 5∼6년제로 합쳐서 12년간이며, 의무교육기간은 10년간이다. 19개 종합대학교와 47개 단과대학, 약 270개 기술교육기관이 있다.


복지
1909년 노령연금 발족 이후 세계에서 가장 일찍 다종다양한 사회보장·복지제도를 발달시켜 왔다. 그 중심은 정부 재원에 의한 무갹출(無醵出)·직접지급방식에 의한 연금·급여이다. 그러나 개인소득세 부담도 그에 비례해서 많아 고복지·고부담사회이다. 75년 7월 발족한 의료비 무료화(국고 부담)제도는 재원난으로 즉시 실행이 어려워졌고, 76년 10월 갹출제의 일반적 의료보험제도로 전환되었다. 정부에 의한 직접적인 사회보장·복지행정만이 아니라 정부 보조를 받는 민간단체의 사업도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문화

국민성
국민성에 관련하여 자주 쓰이는 말이 <평등주의> <동료의식>이다. 이 말은 반(反)엘리트적·반권력적·약자보호적인 상호부조정신이라 말할 수 있으며, 이 나라의 민주정치·노동조합운동·사회보장제도 등의 발달도 이같은 평등주의적 전통에 뒷받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실업자급부금·질병급부·과부연금 등 각종 수당으로 사회적인 계층이나 입장 차이를 느끼지 않도록 배려한다. 호텔과 레스토랑에서도 원칙적으로 팁이 없는 것이 이 나라 특징의 하나이다.


한국과의 관계
1961년 10월 수교합의를 하고 각기 상주대사관을 설치했으며, 무역협정·문화협정·어업협정·핵협정 등을 맺었다. 1948년 유엔한국임시위원단에 임원을 파견했으며, 49년 8월 한국을 승인하였다. 또 6·25전쟁 중에는 2만 명의 병력이 참전했으며, 캔버라 전쟁기념관에는 한국기념관이 있다. 67년 4월 오스트레일리아 총리가 방한한 이후 상호 정상 방문으로 양국의 협력기반이 다져졌다. 70년 한국이 항구 준설공사를 맡은 뒤, 한국 회사들이 건설공사에 참여하고 있다. 2000년 대한수출 59억 5870만 달러, 대한수입 26억 624만 달러를 기록했다. 교민은 2000년 4만 48334명이며, 체류자는 1만 219명이다. 앞으로 한국과는 정치·외교적으로 한층 긴밀하게 될 전망이나, 경제면에서는 자원개발 참여의 제한과, 한국상품에 대한 덤핑제재 등으로 인한 마찰도 예상된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윗분께서 설명이 너무 자세해서 덧붙일말이 없다고봅니다.

윗분께서 살짝 빠뜨린 내용!!!이 있어서 이렇게 글을 끄적입니다.

궁금증 해결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됬다면 감사드립니다!

 

7. 국민 총 생산 - 국민들이 총 생산해내는 소득을 뜻합니다.

8. 1인당 GNP - 1인당 벌어들이는 소득을 뜻합니다.

오스트레일리아 사막

오스트레일리아 동부는 무역풍의 영향으로 비가 와 건조하지 않은 건가요? 서부는... 오스트레일리아 사막 오스트레일리아 동부는 무역풍의 영향으로 비가 와 건조하지 않은...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는 구대륙인가요 신대륙인가요 우리가 흔히 4대 문명이 시작된 지역... 즉 아메리카와 오세아니아 즉 오스트레일리아를 신대륙이라고 말합니다.

남극과 오스트레일리아는 멀어지고 있나요?

... 때 오스트레일리아와 남극은 서로 멀어지고 있나요? 가까워지고 있나요? 남극과 오스트레일리아 이야기가 나와서... 오스트레일리아와 남극 사이의 관계를 보면, 이 둘은...

오세아니아 vs 오스트레일리아

... 대륙이고 오스트레일리아가 포함된다는데 아무리... 오스트레일리아가 하나의 대륙 아닌가요?? 오세아니아가 대륙이라면 어디부터 어디까지 인지, 오스트레일리아가...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영국의...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영국의 시민지에요? 다음은... 오스트레일리아: 1788년 영국의 식민지로 건설되었습니다. 1901년에 오스트레일리아 연방이 성립되어 자치령이...

오스트리아와 오스트레일리아

... 있는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는 서로 멀리 떨어진... 오스트레일리아 연방(영어: Commonwealth of Australia), 줄여서 오스트레일리아, 혹은 호주는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1912년 오스트레일리아

1912년 오스트레일리아의 경제적인 측면을 이야기해주세요 이왕이면 조금 길게 써주세요.. 1912년 오스트레일리아는... 오스트레일리아는 석탄, 철광석, 금 등 다양한 광물...

오스트레일리아 무비자 허용 하지 않는...

오스트레일리아 무비자 허용 하지 않는 이유가 뭐에요? 오스트레일리아가 무비자를 허용하지 않는 이유는... 1.출입국 관리: 오스트레일리아는 불법 이민자와 테러리스트 등의...

캐나다에서 오스트레일리아까지 걸리는

캐나다에서 오스트레일리아까지 걸리는 시간은 얼마나 되나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러시아까지 걸리는 시간은 얼마나 되나요? 캐나다에서 오스트레일리아까지 걸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