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문화

스위스 문화

작성일 2014.11.0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스위스 문화 좀 알려주세용
교육 전통음식 전통옷 결혼 국기등 제발요^^~~


#스위스 문화 #스위스 문화 특징 #스위스 문화유산 #스위스 문화재 #스위스 문화원 #스위스 문화 차이 #스위스 문화 공존 사례 #스위스 문화 공존 #스위스 문화권 #스위스 문화체험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님의 질문에 답변을 합니다.

 

스위스 문화 좀 알려주세용
교육 전통음식 전통옷 결혼 국기등 제발요

 

답변 : 스위스 문화 교육 전통음식 전통의상 결혼 국기 등에 대하여 올려드립니다.

 

 

스위스(Switzerland)에 대()하여

 

1. 스위스(Switzerland) 국기

                

국기의 뜻과 의미

유럽 국가의 국기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에 속한다. 십자는 기독교국가임을 뜻한다. 13세기에 신성로마제국의 황제 프리드리히 2세가 슈비츠(Schwyz)주(州)에 하사하여 자유의 상징으로 삼은 기에서 유래하였다고 하며, 백십자는 14세기 무렵부터 스위스군(軍)의 기치(旗幟)로 쓰여왔다. 국기는 전통적으로 자유, 명예, 충성을 나타내어왔으며, 현대에는 중립성, 민주주의, 평화, 보호도 상징한다. 1815년 22개주가 연방을 이루면서 국기로 사용되었고 1848년 정식 제정하였다. 국제적십자기기는 똑같은 모양에 색깔만 반대이다.  그리고 UN(United Nations:국제연합)이나 올림픽등과 같은 국제무대에서는 3:2비율의 국기를 사용한다. 1815년답변확정 1848년제정

 

 

2. 스위스(SWITZERLAND) 지리(지도)

 

정식명칭은 헬베티아 동맹(Confederation Helvetica)이고, 독일어로 'Schweizerische Eidgenossenschaft', 프랑스어로 'Confederation Suisse', 이탈리아어로 'Confederazione Svizzera'라고 한다. 통상적으로는 스위스연방(Swiss Confederation)이라고 표현한다. 북쪽으로 독일, 동쪽으로 리히텐슈타인·오스트리아, 남쪽으로 이탈리아, 서쪽으로 프랑스에 접한다. 정치적으로는 직접민주주의를 답변확정하여 국민들이 직접 국가 주요 정책에 참여하여 의사결정하는 정치구조이다. 유로존에는 가입하지 않고 독립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행정구역은 26개주(canton)로 이루어진다. 역사적으로는 로마시대부터 이지역이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켈트족의 한 갈래인 헬베티아족이 거친 산악지역을 일구며 거주했다. 중세를 거치면서 프랑크왕국에 이어 신성로마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1291년 스위스연방이 성립되었고 신성로마제국의 막시밀리안 황제의 공격을 물리치고 1499년 바젤조약에 의거하여 스위스는 독립국가로 인정되었다. 1815년 오스트리아빈 회의에서 중립국이 되었으며 1971년이 되어서야 여성에게도 선거권을 부여하였다. 국토의 대부분이 알프스산맥의 능선에 걸쳐있고 고원과 깊은 계곡, 호수가 많다. 이때문에 세계적인 풍광을 자랑하는 관광지가 발달되었으며 세계 최고의 관광산업국가로 평가받는다. 전통적으로 시계, 공구 등 정밀기계 산업이 발달되었으며 낙농업도 세계적인 수준이다.


행정구역

그라우뷘덴주, 글라루스주, 뇌샤텔주, 니트발덴주, 루체른주, 바젤란트주, 바젤슈타트주, 발레주, 베른주, 보주, 샤프하우젠주, 슈비츠주, 아르가우주, 아펜첼아우서로덴주, 아펜첼이너로덴주, 옵발덴주, 우리주, 장크트갈렌주, 제네바주, 졸로투른주, 쥐라주, 추크주, 취리히주, 투르가우주, 티치노주, 프리부르주

주요도시

라우터브루넨, 로잔, 로카르노, 루가노, 루체른, 몽트뢰, 바젤, 베른, 샤프하우젠, 알프스, 인터라켄, 장크트갈렌, 장크트모리츠, 제네바, 체르마트, 취리히, 툰호, 프리부르

 
 
3. 스위스(SWITZERLAND) 
 

스위스(SWITZERLAND) 는 유럽의 중앙부에 있는 나라로, 중세에 프랑크왕국, 신성로마제국의 일부가 되었다가 1291년 스위스 지역의 3인 대표가 국가의 기원이 된 영구동맹을 맺었다. 1648년 베스트팔렌조약에 따라 독립을 승인받았다.

 

원어명 : Schweiz(),Suisse(),Svizzera(),Svizra()

위치 : 유럽 중부 내륙

경위도 : 동경 8° 00', 북위 47° 00'

면적() : 41277

해안선(km) : 0

시간대 : CET (UTC+1) Summer: CEST (UTC+2)

수도 : 베른

종족구성 : 게르만족(65%), 프랑스인(18%), 이탈리아인(10%)

공용어 :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로망슈어

종교 : 로마가톨릭교(41.8%), 개신교(35.3%), 이슬람교(4.3%)

건국일 : 1648 8 1

국가원수/국무총리 도리스 로이타드(Doris Leuthard)

정체 : 연방공화제

통화 : 스위스 프랑(Swiss Franc, CHF)

인구() : 7,925,517(2012)

평균수명() : 80.74(2008)

1인당 명목 GDP($) : 77,840(2012)

수출규모($) : 3,220(2011)

수입규모($) : 3,175(2011)

인구밀도(/) : 193(2011)

1인당 구매력평가기준 : GDP(PPP)($) 45,285(2012)

 

정식명칭 : 헬베티아 동맹(Confederation Helvetica)이고, 독일어로 'Schweizerische Eidgenossenschaft', 프랑스어로 'Confederation Suisse', 이탈리아어로 'Confederazione Svizzera'라고 한다. 통상적으로는 스위스연방(Swiss Confederation)이라고 표현한다. 북쪽으로 독일, 동쪽으로 리히텐슈타인·오스트리아, 남쪽으로 이탈리아, 서쪽으로 프랑스에 접한다. 정치적으로는 직접민주주의를 답변확정하여 국민들이 직접 국가 주요 정책에 참여하여 의사결정하는 정치구조이다. 유로존에는 가입하지 않고 독립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행정구역은 26개주(canton)로 이루어진다. 역사적으로는 로마시대부터 이지역이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켈트족의 한 갈래인 헬베티아족이 거친 산악지역을 일구며 거주했다. 중세를 거치면서 프랑크왕국에 이어 신성로마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1291년 스위스연방이 성립되었고 신성로마제국의 막시밀리안 황제의 공격을 물리치고 1499년 바젤조약에 의거하여 스위스는 독립국가로 인정되었다. 1815년 오스트리아 빈 회의에서 중립국이 되었으며 1971년이 되어서야 여성에게도 선거권을 부여하였다. 국토의 대부분이 알프스산맥의 능선에 걸쳐있고 고원과 깊은 계곡, 호수가 많다. 이때문에 세계적인 풍광을 자랑하는 관광지가 발달되었으며 세계 최고의 관광산업국가로 평가받는다. 전통적으로 시계, 공구 등 정밀기계 산업이 발달되었으며 낙농업도 세계적인 수준이다.

 

 

4. 행정구역

그라우뷘덴주, 글라루스주, 뇌샤텔주, 니트발덴주, 루체른주, 바젤란트주, 바젤슈타트주, 발레주, 베른주, 보주, 샤프하우젠주, 슈비츠주, 아르가우주, 아펜첼아우서로덴주, 아펜첼이너로덴주, 옵발덴주, 우리주, 장크트갈렌주, 제네바주, 졸로투른주, 쥐라주, 추크주, 취리히주, 투르가우주, 티치노주, 프리부르주

 

 

5. 주요도시

라우터브루넨, 로잔, 로카르노, 루가노, 루체른, 몽트뢰, 바젤, 베른, 샤프하우젠, 알프스, 인터라켄, 장크트갈렌, 장크트모리츠, 제네바, 체르마트, 취리히, 툰호, 프리부르

 

 

6. 스위스의 교육 



 

스위스의 교육제도입니다.


  

스위스인들은 만화 알스프소녀 처럼 푸른 초원을 마구 띄어다니며 자연을 공부하고,

초원에 풀어놓은 동물들과 함께 예체능을 즐기며,

아름다운 환경 아래에서 맑은 공기마시면서  야외학습 할 것 같은...

그런 상상이 자꾸 듭니다.

 

작은 교실안에 4~50명되는 학생들이 꽉 들어차 앉아 열심히 선생님의 수업을 받아적는 한국과는 확연히 다를 거라고 생각됩니다.

  

스위스의 교육제도는 어떤지 한 번 알아볼까요?

 


 

자연에서 나오는 자원이 스위스는 빈곤한 편입니다.

그래서 스위스는 전통적으로 교육과 지식을 중요한 자원으로 간주해왔습니다.

교육에 대한 책임과 권한은 1차적으로 정부가 행사하고,

주별로 교육체제가 다릅니다.

 

하지만 1848년 이전에 스위스는 이미 초등교육제도가 정비되었고,

1874년에는 의무교육제도가 확립되었습니다.

 

무엇보다 의무교육은 8~9년, 7~14세까지 스위스 어디서나 무상교육입니다.

 

 

독일어계 지역 학교는 프랑스어와 이탈리아어를,

프랑스어계 지역에서는 독일어와 이탈리아어를 가리치는 등

초등학교 때부터 4개 공용어를 위한 어학교육이 철저합니다.

 

스위스교육제도에서 제가 가장 부러운 부분은!

 

초등학교의 가장 긴 방학이 여름방학으로 방학기간이 5~9주 라고합니다.

 

(이 기간동안 자녀에게 인성교육, 체험학습, 여행을 하게 하면 정말 좋을것 같네요^^)

  


  

스위스는

 

유치원 = 킨더가튼(Kindergarten)

초,중 학교 = 폴크스슐레(Volksschule)

고등학교 = 김나지움(Gymnasium)

대학교 = 우니버지테트(Universitäten)으로 나뉩니다.

  

참고로 스위스는 주에 따라서 교육제도가 달라서 수업개시 시기와 취학연령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학교 유형이나 학년 구분에서 아주 다양하게 나눠집니다.

  









초,중학교를 졸업하고 바로 고등학교 입학하는 한국과는 달리 스위스는 고등학교 대신 직업훈련 과정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직업훈련 과정을 마치면 실업전문대학교에 진학 할 수도 있습니다.

 


 

정부가 운영하는 대학교는 총 10개교이고, 연방정부에서 직할하는 2개 연방공대의 경우 과학기술 분야에서 최고로 인정을 받고 있습니다.(한국의 카이스트라고 할까요?)

 

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교를 가는 학생 비중이 높은 한국과 달리

스위스는 고등학교 졸업 후 국민 20%정도만 대학을 졸업합니다.

나머지 50%는 실업학교, 30%는 고등학교까지만 졸업 합니다. 

  

스위스는 초등학교때 부터 학생의 재능 발견에 힘을쓰며 그 재능이 발전하도록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스위스는 틀에 짜여진 한국의 교육제도와 확연히 다른것 같습니다.

(스위스 교육제도가 장점만 있는건 아닐테지만...스위스에서 공부를 해보고싶은 생각이...드네요.

  

스위스 교육에 더 관심이 있으시다면,

국내에서 열리는 스위스교욱박람회(Swiss Education Fair Seoul)가 있다고 합니다.

 

 

7. 스위스의 전통음식

 

라클렛 스위스 물가에 비해 그닥 마니 비싸진 않았던것 같아요.


뢰스티(rösti) 

요건 뢰스티 정말 정말 맛나서 눈 깜짝 할 사이에 다 먹었던 기억이

 

뢰스티(rösti)는 감자를 강판에 갈아 둥글게 부친 스위스의 전통 가정식 요리이다. 감자 팬케이크나 해쉬 브라운과도 유사한 이 음식은 스위스 베른(Bern) 지역의 농부들이 전통적으로 먹어 온 아침식사로, 스위스의 독일문화를 상징한 음식이기도 하다. 간단한 재료로 만들 수 있는 이 소박한 음식은 둥근 모양이 특징적이며, 일반적으로 테이블 중앙에 올려놓고 여럿이 스푼으로 각자 먹을 만큼 잘라 먹는다. 양파, 치즈, 햄, 베이컨, 사과, 허브 등의 곁들여지는 식재료들이 뢰스티에 다채로운 풍미를 더한다. 채식주의자들에게 인기이며, 최근에는 다양한 요리의 사이드 디쉬로도 제공되고 있다.

 


요건 라클렛 랍니다.

  

라클렛은 스위스 발레(Valais)지역의 유명한 치즈요리로, 큰 덩어리의 라클렛 치즈를 녹여 감자와 피클을 싸서 먹는 음식이다. 정확한 유래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1874년부터는 라클렛이라는 이름이 공식적으로 사용되었으며, 1970년대 라클렛 치즈를 녹이는 그릴이 등장하면서부터 대중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다. 조리법이 간단하고 식사에 모인 사람들 각자가 자신의 음식을 만들어 먹기 때문에 여럿이 모이는 행사나 파티 요리로 적당하다​.

 

요것도 참 맛났어요.

어디든 여행 가시면

전통 음식 꼭 먹고 오세요.

그나라 음식 먹어 보는 재미도 쏠쏠 한것 같아요.

 

스위스 전통음식 키슈는
스위스사람들이 즐겨먹는 파이 디저트류의 요리입니다.
치즈를 듬뿍 올리기도 하고 햄을 듬뿍 올리기도 하고 레시피가 조금씩 다르지만 보통 중력분에 버터, 슈가파우더 계란을 넣고 파이지를 만든 다음반죽하여 반죽을 얇게 밀어 파이팬에 올리고 가장자리를 움푹하게 만든다음 햄,양파,치즈,브로콜리 등의 재료를 들들 볶아 볶은 재료와 우유,생크림,계란,소금살짝 넣고 섞은 필링을 혼합해 파이 가운데 부어넣고 20-30분정도 구워내서 완성되는 요리입니다.

 

키슈


 
요게 키슈지요. 너무 맛이 있겠지요.

파이 안에 들어가는 속재료는 취향에 따라 조금씩 변화 가능하다고 하네요.


퐁뒤

 

 

긴 꼬챙이 끝에 음식을 끼워 녹인 치즈나 소스에 찍어 먹는 스위스 전통요리. 알프스 지역에서 시작된 음식. 퐁뒤라는 이름은 프랑스어로 '녹이다'라는 뜻 종류로는 치즈,오일,스톡,소스,스위트 퐁뒤등이 있다.

 

퐁뒤는 먹는방법이 독특하기 때문에 파티나 이벤트 음식으로 많이 나옵니다. 퐁뒤를 먹다가 여자가 냄비에 음식을 흘리면 오른쪽남자에게 키스를 하고, 남자가 떨어뜨리면 와인을 사는 풍습이 있습니다.

 

라클렛

 

삶은 감자에 녹인 치즈로 맛을낸 스위스 요리.

  

뢰스티

 

딱히 유명하진 않지만 많이 해먹는다죠.

 

스위스는 국토가 상당부분이 산지여서 감자요리가 발달했습니다.

독일과 맞닿은 부분이 평지라서 요리도 독일에서 영향을 받은것이 많죠.

스위스는 '뢰스티'는 감자를 갈아서 버터나 기름에 반죽한후 빈대떡 모양으로 얇게 튀겨난 요리입니다.

치즈 : 치즈가 유명하죠. 또 우리가 흔희 요플레 라고 하는 발효유도 유명하고요.

 

퐁듀(Fondue)

이 음식은 스위스에서 가장 유명한 퐁듀입니다.빵을 치즈에 찍어 먹는 음식이죠. 

 

스위스 전통음식으로 제일 꼽는 것은 "퐁듀 Fondue"입니다.

치즈(종류는 잘 모름)를 녹여서 거기에 빵을 찍어 먹는 음식이에요.
처음 먹는 사람들은 다들 똥냄새가 난다고 하지만 저는 엄청 좋아합니다. :)

참고로 스위스에는 추석이 없습니다. 대신 크리스마스시즌이 제일 큰 명절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기독교가 바탕인 나라이다보니. 크리스마스와 신정을 포함해 2주 정도는 거의 전체 사람들이 명절처럼 쉽니다.

그외 "하클렛 Rac lette"이라는 치즈를 녹여서도 먹습니다. 하클렛은 대체적으로 녹인 치즈를 감자위에 올린다음에 후추를 뿌려 먹습니다.
대체적으로 한국인들 입맛에는 퐁듀보다는 하클렛이 더 맞구요.

하클렛 Rac lette

 

 

8. 스위스의 전통 의상

 

정교한 스위스 장식을 단 전통복장은 현재 찾아보기 힘들고 지방 축제나 행진 등에서 만 간혹 볼 수 있을 뿐이다. 그루예레(Gruy e re)지방의 목동들은 푸른색 짧은 재킷을 입고 브레드종(Bredzon)이라 불리는 신발을 신는다.셔츠는 대개 팔꿈치 위까지 접는다.특별한 행사가 있는 경우 이 지방 여인들은 긴 소매 재킷에 크로세 리본을 단 밀짚모자를 쓰고,비단으로 짠 앞치마 를 두른다.세인트갈렌(St.Gallen)지방의 황금 레이스를 단 모자와 운터발덴 (Unterwalden)지방의 은으로 장식한 드레스가 독특하다.알프스산맥에 거주하는 남자 들이 주로 입는 옷은 레더호젠(lederhosen)이라는 반바지로서 질긴 가죽장화를 함께 신는다.

알프스산맥에 거주하는 남자 들이 주로 입는 옷을 레더호젠(Lederhosen)이라고 한다. 바지로서 질긴 가죽장화를 함께 신는다.
레더호젠(L?derhosen)은 스위스는 물론 독일, 오스트라아의 독일인들이 입는 전통의상이다

- 남성용 반바지 (Kurze Lederhose):쿠르츠 레더호젠은 검정색(Schwarz), 갈색(Braun), 회색(Grau) 올리브(Oliv)계열들이 대부분이다.

이 반바지와 함께 트랭거(Trager)를 상의에 걸친다. 트랭거(Trager)는 지역별로 특색을 가진다.
스위스 지역에서는 에델바이스를 주로 사용하고, 독일지역에서는 서로 다른 무늬를 사용한다. 자수를 놓은 것과 가죽에 압착을 가해서 모양을 낸 것들이 있다

-남성용 긴바지 (Kniebund Lederhose)
-여성용 전통의상을 드린딜(Drindl)이라고 한다. 옷감의 무늬나 색상은 다양하지만 보통 면을 소재로하여 제작한 천을 사용한다. 앞치마가 있는 것이 독특하다.

-양말 (Lederhosen-stocking)

 


 

스위스 전통의상의 이름과 사진

정교한 스위스 장식을 단 전통복장은 현재 찾아보기 힘들고 지방 축제나 행진 등에서 만 간혹 볼 수 있을 뿐이다. 그루예레 지방의 목동들은 푸른색 짧은 재킷을 입고 브레드종 이라 불리는 신발을 신는다.셔츠는 대개 팔꿈치 위까지 접는다. 특별한 행사가 있는 경우 이 지방 여인들은 긴 소매 재킷에 크로세 리본을 단 밀짚모자를 쓰고,비단으로 짠 앞치마 를 두른다.세인트갈렌 지방의 황금 레이스를 단 모자와 운터발덴 지방의 은으로 장식한 드레스가 독특하다.알프스산맥에 거주하는 남자 들이 주로 입는 옷은 레더호젠 이라는 반바지로서 질긴 가죽장화를 함께 신는다.레더호젠은 스위스는 물론 독일, 오스트라아의 독일인들이 입는 전통의상이다.남성용 반바지 쿠르츠 레더호젠은 검정색, 갈색, 회색, 올리브 계열들이 대부분이다.
이 반바지와 함께 트랭거를 상의에 걸친다. 트랭거는 지역별로 특색을 가진다. 스위스 지역에서는 에델바이스를 주로 사용하고 자수를 놓은 것과 가죽에 압착을 가해서 모양을 낸 것들이 있다. 여성용 전통의상을 드린딜이라고 한다. 옷감의 무늬나 색상은 다양하지만 보통 면을 소재로하여 제작한 천을 사용한다. 앞치마가 있는 것이 독특하다.

 

  

 

  


 

9. 스위스의 전통 결혼풍습

스위스

스위스 특유의 결혼풍습은 결혼식을 올리기 위해서는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신문과 방송에 배우자의 이름을 알리고 7일간 공고를 붙입니다. 그 기간 동안에 주민의 이의가 없어야만 그 결혼이 성립될 수 있습니다.

오늘 간만에 꽃 포스팅을 하게 되었네요.
특별히 스위스에서 오신 신랑분의 특별한 플라워 액자 주문이 있었어요.
웨딩 포토테이블 대신에 두분의 결혼 사진 액자 장식 이였는데요.

한국인 신부님과 스위스 신랑님 커플은 작년에 스위스에서 결혼식을 하시고 한국에 계신 가족들을 위해 전통혼례를 하러 오셨었답니다.




그래서 사진은 이렇게 두분이 스위스에서 하신 결혼식 사진이네요.

너무 행복해 보이는 커플이예여!

신랑님이 가구 디자이너 이셔서 매우 꼼꼼해 깜짝 놀랐어요!
꽃에두 관심이 많으시구!


사진 속에서 스위스에서 하신 독특한 본식 부케를 엿볼수가 있네요.
우리나라에선 언제쯤?? 

꽃은 아이비를 베이스로! 페이션스 장미랑 작은 핑크색 장미 그리구 자연스러운 느낌을 강조하셔서
네추럴하게 클레마티스로 장식 해봤어요.

또 제가 좋아하기도 하지만 전통혼례에도 잘 어울리는 호접란을 살짝씩 포인트로....

수국이랑 애정목 열매도 살짝씩 가미 해줬구요.

꽃꽂이 참 즐거워요.

클레마티스 아직 피지 않아 더 네추럴해 보여요.
너무 예쁜 클레마티스....

[ 백과사전] 인용

 

 

 

끝으로 님의 건강과 행복이 충만 하시기를 빌겠습니다.


 

스위스에서 꼭 알아두어야할 문화에대해...

... 알아야 할 스위스 문화의 몇 가지 측면은 다음과 같습니다. 다국어 사용: 스위스는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로망슈어의 4개 공식 언어를 사용하는 다국어 국가입니다....

스위스 음식 문화

유명한 음식들 몇가지랑 스위스만의 음식 문화가 있나요? 참고하면 도움이 될 듯하며... 스위스 대표적인 음식에는... - 치즈 퐁듀(Cheese fondue) - 라클렛...

독일,오스트리아,스위스 문화차이

독일,오스트리아,스위스 문화차이 있나요? 네.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는 모두 독일어를 사용하는 국가들이지만, 각기 독특한 문화와 전통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세나라의...

스위스 문화정책

스위스 문화 정책 알려주세요 스위스의 김치, 퐁뒤(Fondue) 프랑스의 "fondre(=녹이다)"에서 유래된 말로 꼬챙이 끝에 음식을 꿴 후 그것을 녹인 치즈, 초콜렛 그리고 소스 등에...

스위스 문화와 한국 문화의 차이점 알

스위스 문화와 한국 문화의 차이점 알려주세요 1.스위스와 한국의 예절 차이로 인한 차이 => 한국에서는 연장자에 예절을 깎듯이 지키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데 스위스는 나이...

스위스 문화

... <스위스 종교 문화> : 스위스인들은 기독교, 가톨릭을 주요 종교로 믿어왔으나 현대 스위스인들은 세속적으로 변해 대답은 종교가 있다고 하지만 성당이나 교회에 가는...

스위스의 산지지형 때문에 생겨난 문화는?

... 스위스의 산지지형 문화 소개 및 이유 산지 지형은 스위스 문화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 지형은 높은 산과 계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지형은 스위스 문화에...

스위스 문화

도덕 수행평가로 스위스문화 ppt 만들려고 하는데 스위스의 문화에 대해 알려주세요 내공 100 문화를 소개하는 이유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제가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