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수 문제 질문

촌수 문제 질문

작성일 2013.09.2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촌수에 대해 궁금해서 그러는데 이모의 딸, 그러니까 저와는 사촌지간이죠, 그 딸이 자녀를 낳았는데 저에게 그 자녀들은 "이종질"이라 하던데 그 자녀들은 저를 뭐라 칭해야 옳은건지 궁금합니다. 그냥 누나라고 칭해도 되나 싶었는데 제가 결혼을 하고 자녀를 낳으면 이상해질것 같아서요... (저보다 16살 정도 차이가 납니다.)

 

한 친구 말로는 작은이모가 맞다고 그러고 한 친구는 숙모가 맞다고 그러는데... 우리 다 확실치 않아서요. 우리 다 외국에 거주하고 있는 중이니 그것도 모르냐는 말은 삼가부탁드립니다.

 

아까와도 말했듯이 제가 외국에 거주한지 오래되서 이런 촌수 칭호에 약한데, 알아보기 쉬운 촌수 계보도와 그 각각 사람들이 저를 부르는 칭호 좀 간단하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촌수 계산 문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셍세요?

저는 결혼정보회사를 운영하는데요.

 

이모의 딸의 자녀는 님에게 [아주머니]라고 불러야 합니다.

촌수는 5촌이고요.

엄마의 이종사촌형제여서

편의상 이모라고 할수도 있긴 한데 숙모는 전혀 아닙니다.

 

# 가족관 호칭

현행 민법에는 법률적으로 효력이 있는 친족으로서 첫째, 남자의 8촌 이내의 부계혈족, 둘째, 남자의 4촌 이내의 모계혈족, 셋째, 아내의 부모를 지칭한다.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친족은 고조부모를 같은 직계 조상으로 하는 혈족과 그 배우자를 말한다.

계촌(系寸) 이란 혈연관계의 계통과 그 멀고 가까움을 나타내는 촌수이다.
계통은 혈통의 계통과 친족간에 자기와 상대가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나타낸다.

촌수는 자기와 상대와의 사이에 몇 마디의 분기점(分岐點)
을 이루는가를 나타낸다.

촌수를 계산하는 방법 : 자기와 상대가 누구를 동일 조상으로 하는지 분기점을 기준으로, 자기와 그 분기점까지의 대수(代數) 와 분기점에서 상대까지의 대수를 합해서 촌수로 한다.

관계 명칭

부자간(父子間) : 아버지와 아들

부녀간(父女間) : 아버지와 딸
모자간(母子間) : 어머니와 아들

모녀간(母女間) : 어머니와 딸

구부간(舅婦間) : 시아버지와 며느리

고부간(姑婦間) : 시어머니와 며느리

옹서간(翁壻間) : 장인과 사위

조손간(祖孫間) : 조부모와 손자 · 녀

형제간(兄弟間) : 남자동기끼리

자매간(姉妹間) : 여자동기끼리

남매간(男妹間) : 남자동기와 여자동기
시누이와 올케

처남과 매부

수숙간(嫂叔間) : 남편의 형제와 형제의 아내

동서간(同壻間) : 형제의 아내끼리

동서간(同壻間) : 자매의 남편끼리





친 족 호 칭



현대인이 부르기 쉬운 우리말 호칭을 주로 하고 한문 호칭은 대표적인 것만을 예시한다.

가. 자기에 대한 호칭

저·제 : 웃어른이나 여러 사람에게 말할 때.

나 : 같은 또래나 아랫사람에게 말할 때

우리· 저희 : 자기쪽을 남에게 말할 때

조부(祖父) : 남에게 자기의 할아버지를 말할 때

조부장(祖父丈) : 남에게 그 할아버지를 말할 때

현조고(顯祖考) : 축문이나 지방에 자기의 죽은 할아버지를 남에게 말할 때

조고(祖考)·선조고(先祖考) : 자기의 죽은 할아버지를 남에게 말할 때

왕고장(王考丈) : 남에게 그의 죽은 할아버지를 말할 때 나) 할머
조모(祖母) : 남에게 자기의 할머니를 말할 때 조모(祖母)
님 : 남에게 그 할머니를 말할 때

가) 남편

여보 : 직접 부를 때("여기 보세요."의 준말)

당신 : 부부간의 대화 중에 남편을 지칭하는 말('자기 스스로'라는 말)

사랑 : 시댁에서 남편의 어른에게나 여자 동서간에게 남편을 말할 때("사랑방에 거처하는 사람"이라는 뜻)

서방 : 친정의 자기의 어른에게 남편을 말할 때

남편 : 친척이 아닌 남에게 남편을 말할 때

주인·바깥양반·주인양반 : 모르는 남에게 남편을 말할 때 상대에 따라 골라 쓴다

상대가 부르는 호칭 : 남편이나 자기의 아랫사람에게 남편을 말할 때는 그들이 부르는 호칭으로 말한다(예: 시동생에게는 '형님', 남편의 제자에게는 '선생님')

애비 : 자녀를 둔 경우 어른에게 말할 때 쓰기도 한다.

주인어른·바깥어른·주인양반·바깥양반·부군(夫君)
: 남에게 그의 남편을 말할 때 상대에 따라 골라 쓴다.

현벽 : 죽은 남편을 축문이나 지방에 쓸 때

나·아내 : 남편에게 아내가 자기를 말할 때

나) 아내


여보 : 직접 부를 때

당신 : 대화 중에 아내를 지칭할 때

제댁 : 부모나 장인 장모와 같이 높은 어른에게 아내를 말할 때('저의 집'이라는 뜻)

안 : 같은 서열이나 위계의 연장자나 제수에게 자기의 아내를 말할 때('안방에 거처하는 사람'이라는 뜻)

아내 : 친척이 아닌 남에게 아내를 말할 때

내자(內子) ·안사람·안주인 : 남에게 자기의 아내를 말할 때
상대가 부르는 호칭 : 아내나 자기의 아랫사람에게 아내를 말할 때는 그들이 부르는 호칭으로 말한다.(예: 자녀에게는 '어머니', 동생에게는 '너의 형수')


에미 : 자녀를 둔 경우 어른에게 말할 때 쓰기도 한다.

부인(夫人)·영부인(令夫人) : 남에게 그 아내를 말할 때, 부인은 자기의 아내를 직접 부를 때도 쓴다.
안양반·안어른 : 모르는 사람에게 그 아내를 말할 때

망실·고실(亡室·故室) : 죽은 아내를 축문이나 지방에 쓸 때
나·남편 : 아내에게 남편이 자기를 말할 때
제수씨 : 동생의 아내를 직접 부를 때.
제수 : 집안 어른에게 동생의 아내를 말할 때.
언니 : 시누이가 오라비의 아내를 부를 때.
올케· 새댁· 자네 : 시누이가 남동생의 아내를 부를 때.
댁 : 집안 어른에게 남동생의 아내를 말할 때.
매부 : 누님의 남편을 부를 때와 자매의 남편을 남에게 말할 때.
자형· 매형 : 누님의 남편을 부를 때와 남에게 말할 때.
서방· 자네 : 누이동생의 남편을 부를 때.
매제 : 누이동생의 남편을 남에게 말할 때.
형부 : 여동생이 여자형의 남편을 부를 때와 말할 때.
서방 : 여자형이 여동생의 남편을 부를 때.
사. 아버지의 형제에 대한 호칭
큰아버지·둘째 아버지·작은아버지 : 아버지의 큰형·둘째 형제·막내 동생을 부를 때
아저씨 : 아버지의 미혼인 동생
백부·중부·숙부·계부(伯·仲·叔·季父) : 남에게 자기의 백숙부를 말할 때(叔은 셋째 이하이고, 季는 막내임)

백부장(丈)·중부장·숙부장·계부장·완장(阮丈) : 남에게 그의 백숙부를 말할 때('완장'은 통털어서 쓰임)
선백부·선백부장(先伯父·先伯父丈) : 자기나 남의 죽은 백숙부는 살아 있는 백숙부의 호칭에 '先'을 붙여서 말함. 큰어머니·둘째 어머니·셋째 어머니·작은어머니 : 백숙모를 직접 부를 때(작은어머니는 막내에게만 쓴다.)

백모·중모·숙모 : 남에게 자기의 백숙모를 말할 때
존백모·존숙모(尊伯母·尊叔母) : 남에게 그의 백숙모를 말할 때
선백모·선백모부인(先伯母·先伯母夫人) : 자기의 죽은 백숙모는 생전시의 칭호에 '先'자를 붙여서 남에게 말하고, 남의 죽은 백숙모는 생존시의 호칭 앞에 '先'을, 뒤에 '夫人'을 붙여서 말한다.

큰아버님·둘째 아버님·숙부주(叔父主)·백모주(伯母主) : 편지에 쓸 때는 우리말 호칭에는 '님', 한문식에는 '主'를 붙여서 쓴다.
아. 기타 친척에 대한 호칭
가) 기타 8촌 이내의 근친
고모·고모님·아주머니 : 아버지의 누이를 직접 부를 때

외숙· 외숙모 : 어머니의 형제와 그 배우자를 부를 때

이모· 이모부 : 어머니의 자매와 그 배우자를 부를 때

아저씨 : 아버지의 4촌 이상 형제들을 부를 때(당숙·재종숙)

아주머니 : 아저씨의 배우자나 아버지의 4촌 이상의 자매들을 부를 때(당숙모·재종숙모·당고모) 언니·형님·누나·누님·-실·-집 : 4촌 이상의 형제자매간의 호칭(伯·仲·舍·季를 쓰지 않는다. ) 큰할아버지·-째 할아버지·큰할머니·-째 할머니 : 아버지의 백숙부모를 부를 때 나)
8촌이 넘는 일가의 호칭



대부(大父)·대모(大母)
: 할아버지와 할머니뻘 되는 어른을 부를 때

아저씨 : 아버지의 형제가 되는 남자 어른을 부를 때

아주머니 : 아버지의 자매나 아저씨의 배우자를 부를 때

언니·형님·누나·누님 : 자기와 형제자매가 되는 사람을 부를 때


며느리와 시댁의 친족관계 호칭



가. 시댁의 계촌과 관계명칭





가) 시댁의 계촌


시댁의 친족관계와 촌수는 남편의 계통과 촌수에 의한다.

즉 아무리 며느리가 나이가 많더라도 남편이 아랫사람이면 며느리도 아랫사람이고,

며느리의 나이가 적더라도 남편이 웃어른이면 그 아내인 며느리도 남편과 같이 웃어른이 된다.



나) 시댁과 며느리의 관계명칭


① 구부간(舅婦)
: 시아버지와 며느리

② 고부간(姑婦)
: 시어머니와 며느리

③ 수숙간(嫂叔)
: 남편의 형제와 형제의 아내

④ 동서간·동시간(同壻間·同媤間)
: 남편 형제들의 아내끼리

⑤ 기타의 관계를 남편과의 관계로 말한다.





나. 시댁과 며느리의 호칭





가) 시댁가족의 호칭


아버님 : 남편의 아버지

어머님 : 남편의 어머니

할아버님·할머님 : 남편의 조부모

아주버님 : 남편의 형

형님 : 남편의 형수와 누님

도련님 : 남편의 미혼 동생

서방님 : 남편의 기혼 동생

작은아씨 : 남편의 미혼 누이동생(기혼의 경우에도 이렇게 부를 수 있다.)

-서방댁 : 남편의 기혼 누이동생

동서·자네·여보게 : 남편의 제수

-서방님 : 남편의 매부

邃?남편의 어른은 남편이 부르는 호칭에 '님'을 붙여 부르고,

어미(語尾)가 '님'을 붙일 수 없는 호칭(아저씨)
은 남이 부르듯이 부른다.

시아버지·시어머니 : 친정에서 시부모를 말할 때 또는 남에게 말할 때 쓰이기도 한다.
시숙(媤叔) : 남편의 형제를 친정에서나 남에게 말할 때
시누이 : 남편의 자매를 친정에서나 남에게 말할 때
시누이 남편 : 남편의 매부를 친정에서나 남에게 말할 때
기타 시댁 가족을 친정에서나 남에게 말할 때는 남편이 그들을 말할 때의 호칭의 머리에 '시'를 붙여서 말한다.

나) 친 정가족의 호칭

아버지·친정아버지 : 시댁의 남편의 어른에게 친정 아버지를 말할 때

어머니·친정어머니 : 시댁의 남편의 어른에게 친정 어머니를 말할 때

제 동생·동생의 댁 : 시댁의 남편의 어른에게 친정 동기간이나 올케를 말할 때
다) 며느리에 대한 호칭


며느리 : 시부모가 며느리를 직접 부르거나 남에게 말할 때

새 아이 : 새 며느리를 시부모가 부를 때

-댁 : 시부모가 며느리를 지칭할 때나 친척에게 말할 때 아들의 이름을 붙여 말한다.
에미·-에미 : 며느리가 아이를 낳으면 시부모나 조부모가 아이의 이름을 붙여 말한다.
제수씨 : 동생의 아내를 부를 때
새댁·올케·-어머니·자네·여보게 : 남편의 누님이 남동생의 아내를 부를 때
아주머니·형수님 : 형님의 아내를 부를 때
언니 : 오빠의 아내를 부를 때
손부·-댁 : 시조부모가 손부를 부를 때
질부 : 시백숙부모나 시고모가 조카의 아내를 부를 때
자부(子婦) : 시부모가 며느리를 남에게 말할 때
며느님·자부님 : 남에게 그 며느리를 말할 때
형수씨 : 자기의 형수를 남에게 말할 때
영형수씨·영제수씨 : 남에게 그 형수, 제수를 말할 때
외가의 계촌법과 호칭
가. 외가의 계촌과 관계명칭
가) 외가의 계촌법

외가(外家)
란 어머니의 친척을 말한다.
친족의 계촌이 자기에게서 아버지로 이어지듯이
외가의 계촌은 자기에게서 어머니를 매개로 하여 외가로 이어진다.
현행 민법에 의하면 외가로는 4촌까지만 친족으로서의 법적 효력이 있다.

나) 외가의 관계명칭
① 표숙질간(表叔姪間)·구생간(舅甥間)
: 어머니의 남자 형제와 누이의 자녀

② 이숙질간(姨叔姪間)
: 어머니의 자매와 자매의 자녀

③ 내외종간(內外從間)
: 외숙의 자녀와 고모의 자녀

④ 이종간(姨從間)
: 어머니 자매의 자녀와 자기
나. 외가의 호칭

가) 외할아버지(어머니의 아버지)

외할아버지 : 직접 부를 때

외조부 : 남에게 말할 때

외조부님 : 남에게 그 외할아버지를 말할 때

나) 외할머니(어머니의 어머니)
외할머니 : 직접 부를 때

외조모 : 남에게 말할 때

외조모님: 남에게 그 외할머니를 말할 때

다) 외숙과 외숙모(어머니의 남자 형제와 그 배우자)

아저씨ㆍ외숙님 : 외숙을 직접 부를 때

아주머니ㆍ외숙모님 : 외숙모를 직접 부를 때

라) 이모와 이모부(어머니의 자매와 그 배우자)

이모ㆍ이모님: 직접 부를 때

이모부님ㆍ이모부 : 이모의 남편을 직접 부를 때
마) 기타의 외가 가족


외숙의 자녀는 '외종'을 붙이고, 이모의 자녀는 '이종'을 붙여 친족 종형제를 부르듯이 한다.

기타의 외족은 친족의 호칭과 같되 머리에 '외'를 붙여 말한다.
처가와 사위의 관계및 호칭

가. 처가와 사위의 관계
전통적인 한국 관습에 의해서 말하면 엄격한 의미에서 사위에게 어른은 아내의 직계의 직근존속인 장인과 장모에 국한된다.

그런 까닭으로 현행 민법에서의 법률적 효력이 있는 처가측 친족은 배우자의 부와 모라고 명시하고 있다. 때문에 처가에서도 사위를 '백년 손님'이라고 말해 어렵고 조심스러운 존재로 여기는 것이 한국의 전통관념이다. 그러나 요사이는 며느리가 시댁의 친족들과 친족관계의 호칭을 쓰듯이 사위와 처가도 나름대로 아내와의 관계에 따른 호칭을 쓰는 경향이 있다.

나. 처가의 계보와 명칭

처가의 계보는 사위와는 관계없는 단순히 아내의 계보이며
사위가 말하는 처족과의 관계 명칭도 친족 명칭에 '처'자를 붙여서 말한다.
① 옹서간(翁壻間)
: 장인과 사위
② 남매간(男妹間)
: 처남과 매부
③ 동서간(同壻間)
: 자매의 남편 사이

다. 처가와 사위의 호칭

가) 장인(아내의 아버지)
장인(丈人)어른, 빙장(聘丈)
어른 : 장인을 직접 부를 때

장인어른 : 자기의 장인을 남에게 말할 때

빙장(聘丈)
:남에게 그의 장인을 말할 때
나) 장모(아내의 어머니)
장모님, 빙모님(丈母, 聘母)
: 직접 부를 때

장모님 : 자기의 장모를 남에게 말할 때

빙모(聘母)
부인 : 남에게 그의 장모를 말할 때
다) 사위(딸의 남편)
너ㆍ이름 : 장인이 사위를 부를 때

-서방 : 장모가 사위를 부를 때

사위ㆍ서아(壻兒)ㆍ여서(女斷)
: 자기의 사위를 남에게 말할 때

서랑(壻郞)
: 남에게 그 사위를 말할 때

-서방 : 처형이나 처제, 손위 처남, 처백숙부모들이 부를 때

매부(妹夫)
: 처남이 매부를 통털어 부를 때

형부(兄夫)
: 처제가 여형의 남편을 부를 때와 남에게 말할 때

제부(弟夫)
: 처형이 여동생의 남편을 남에게 말할 때

고모부(姑母夫)
: 처조카를 부를 때

이모부(姨母夫)
: 처이질이 부를 때
라) 기타 처족의 호칭
직접 부를 때는 사회적 사귐의 호칭으로 하고, 대화 중에 지칭(指稱)
거나 남에게 말할 때는 "촌수보기"에서의 명칭으로 말한다.

나이 차이가 10년 이내인 손위 처남이나 동서, 기타 아내의 친척은 서로가 사회적 사귐으로 친구같이 지낸다. 그러나 요사이는 아내의 서열에 따라 손위 동서나 손위 처남을 '형님'이라고 부르는 예가 흔하다.
처남댁 : 처남의 아내
처형 : 아내의 여형
처제 : 아내의 여동생
부인들에 대해서는 이렇게 부르는 것이 무난하다.
사돈간의 호칭
가. 사돈관계의 정의

사돈(査頓)이란 서로 혼인한 남자와 여자측의 가족간을 말한다. 피와 살이 섞이지 않았기 때문에 분명히 남이지만 아들과 딸을 주고받은 특수한 관계에 있다. 그래서 사돈끼리도 혈친관계와 같이 세대(世代)의 위계가 분명해야 하고, 그 위계를 사행(査行)이라고 한다. 딸을 시집보낸 부모의 위치에서 보면 딸의 시부모는 같은 항렬(세대)
이지만 딸의 시조부모는 아버지와 같은 항렬이 된다. 이와 같이 사돈간의 호칭에는 사행이 중시되고 같은 사행에서는 사회적 사귐과 같이 나이로 따지면 된다.
나. 양쪽 부모끼리의 호칭
가) 바깥사돈간
완전한 사회적 사귐이면서도 자녀를 주고받았기 때문에 친밀한 관계이다. 원칙적으로 나이 차이가 10년 이내이면 벗을 터서 친구같이 하고, 15년까지는 '노형' '소제'라 하며, 15년이 넘으면 '존장'과 '시생'이다.
사돈 : 남에게 말할 때
이름ㆍ호ㆍ자네 : 10년 이내의 사돈을 직접 부를 때
노형ㆍ형 : 10년이 넘는 사돈을 직접 부를 때
사돈어른 : 15년이 넘는 사돈을 직접 부를 때
자네 사돈 : 남의 사돈을 말할 때
나) 안사돈끼리
양쪽의 어머니끼리는 서로가 극진히 대접한다.
사돈 : 남에게 말할 때와 친숙해진 사돈끼리 부를 때 또는 연하의 사돈을 직접 부를 때
사돈어른 : 일반적으로 안사돈끼리는 이렇게 부른다.
댁의 사돈 : 남의 사돈을 말할 때
다) 이성 사돈간의 호칭
무척 조심스러운 관계로서 서로가 극진히 존대한다.
사돈어른 : 남녀가 모두 상대를 '사돈어른'이라고 부른다
사부인 마님 : 안사돈이 나이가 많을 때 이렇게 부르기도 한다.
라) 사행이 높은 사돈의 호칭
딸이나 며느리의 조부모는 또는 형수나 누이의 윗대 어른 등 사행이 위인 사돈은 '사장어른'이라고 부른다.
사장어른 : 동성 이성을 막론하고 사행이 위인 사돈을 직접 부를 때
사장 : 사장어른을 남에게 말할 때
라. 사행이 낮은 사돈의 호칭
딸이나 며느리의 형제자매는 자녀와 같은 처지이므로 낮춰서 부른다.

여보게ㆍ자네ㆍ군ㆍ양 : 며느리나 딸의 형제자매나 그 아래 사람으로서 성년인 경우에 직접 부르는 호칭이다.
상대가 미성년이면 이름을 부르지만 이성인 경우는 깍듯이 대한다.

사돈 아가씨 : 사돈인 처녀 사돈 도령 : 사돈인 총각
마. 직계존비속ㆍ형제자매가 아닌 사돈
딸이나 아들, 며느리나 사위의 직계존비속이나 형제자매가 아닌 사람은 남에게 말할 때는 '사돈'이라고도 하지만 직접 대화나 부를 때는 사회적 사귐으로 한다.

 

#

남자(直系)



5촌
현조부
(玄祖父)
|
4촌
6촌
고조부
(高祖父)
종고조
(從高祖)
|
|
3촌
5촌
7촌
증조부
(曾祖父)
종증조
(從曾祖)
재종증조
(再從曾祖)
|
|
|
2촌
4촌
6촌
8촌
조부
(祖父)
종조
(從祖)
재종조
(再從祖)
3종조
(三從祖)
|
|
|
|
1촌
3촌
5촌
7촌
9촌

(父)
백숙부
(伯叔父)
종백숙부
(從伯叔父)
재종백숙부
(再從伯叔父)
3종백숙부
(三從伯叔父)
|
|
|
|
|

0촌

2촌
4촌
6촌
8촌
10촌

(己)
형,제
(兄,弟)
종형제
(從兄弟)
재종형제
(再從兄弟)
3종형제
(三從兄弟)
4종형제
(四從兄弟)
|
|
|
|
|
|
1촌
3촌
5촌
7촌
9촌
11촌
아들
(子)

(姪)
종질
(從姪)
재종질
(再從姪)
3종질
(三從姪)
4종질
(四從姪)
|
|
|
|
|
2촌
4촌
6촌
8촌
10촌
손자
(孫)
종손
(從孫)
재종손
(從孫)
3종손
(三從孫)
4종손
(四從孫)



4촌
고조
(高祖)
|
3촌
5촌
증조
(曾祖)
증대고모
(曾大姑母)
|
|
2촌
4촌
6촌

(祖)
대고모
(大姑母)
내재종조
(內再從祖)
|
|
|
1촌
3촌
5촌
7촌

(父)
고모
(姑母)
내종숙
(內從叔)
내재종숙
(內再從叔)
|
|
|
|

0촌

2촌
4촌
6촌
8촌

(己)
자매
(姉妹)
내종형제
(內從兄弟)
내재종형제
(內再從兄弟)
내3종형제
(內三從兄弟)
|
|
|
|
|
1촌
3촌
5촌
7촌
9촌

(女)
생질
(甥姪)
내종질
(內從姪)
내재종질
(內再從姪)
내3종질
(內三從姪)
|
|
|
|
|
2촌
4촌
6촌
8촌
10촌
손녀
(孫女)
이손
(離孫)
내재종손
(內再從孫)


내3종손
(內三從孫)
내4종손
(內四從孫)


4촌
외고조
(外高祖)
|
3촌
5촌
외증조
(外曾祖)
외종증조
(外從曾祖)
|
|
2촌
4촌
6촌
외조
(外祖)
외종조
(外從祖)
외재종조
(外再從祖)
|
|
|
3촌
1촌
3촌
5촌
7촌
이모
(姨母)

(母)
외숙
(外叔)
외종숙
(外從叔)
외재종숙
(外再從叔)
|
|
|
|
|
4촌
0촌
4촌
6촌
8촌
이종형제
(姨母)

(己)
외종형제
(外從兄弟)
외재종형제
(外再從兄弟)
외3종형제
(外三從兄弟)
|
|
|
|
5촌
5촌
7촌
9촌
이종질
(姨從姪)
외종질
(外從姪)
외재종질
(外再從姪)
외3종질
(外三從姪)

# 친인척 호칭

 

1. 호칭 예절

무릇 사물에는 다 각기 이름이 있다. 그 중에서도 직접 부르는 데 쓰이는 명칭을 호칭어라고 한다.
호칭어 가운데서도 사람과 사람사이, 그 중에서 특별히 친척 사이의 호칭이 문제가 된다.
가정 구성원의 단위는 부부로부터 시작하여 종으로는 직계(直系) 와 방계(傍系)의 친족을 이루고, 횡으로는 혼인으로 맺어진 인척 (姻戚)을 형성한다.
그런데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만큼 친·인척의 계보를 명문화하여 분명히 따지는 나라도 드물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호칭어 자체도 매우 체계화되어 있고 세분화되어 있어 다른 나라에 비해 다소 복잡하다. 이런 까닭으로 많은 사람들이 친·인척간이나 직장에서 상대방의 호칭을 어떻게 써야 할지 잘 몰라 어떤 기준을 세울 필요가 있었다.


2. 가족 및 친척에 대한 호칭

1) 내외간의 호칭
남편에 대한 호칭
① 신혼 초: 여봐요, 여보, ○○씨
* 흔히 쓰이고 있는 '자기'는 일종의 유행어적 성격을 띠고 있어 인정하지 않기로 한다.
② 자녀가 있을 때: 여보, ○○아버지
* '아빠'는 공식어로 인정하지 않기로 한다.


아내에 대한 호칭
① 신혼 초: 여봐요, 여보, ○○씨
② 자녀 있을 때: 여보, ○○엄마(어머니)
③ 장노년: 여보, 임자, ○○할머니


2) 시부모에 대한 호칭
① 시아버지에 대한 호칭: 아버님
② 시어머니에 대한 호칭: 어머님, 어머니
* '어머니'는 고부간에 친딸처럼 가까워졌을 때 쓸 수 있겠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어머님'을 쓰는 것이 좋다.
아들의 경우 자기 부모를 '아버님, 어머님'이라 하지 않고 '아버지, 어머니'로 부르고, 며느리는 시부모를 '아버님, 어머님'이라 하고 친
부모를 '아버지, 어머니'라 구분해서 부르도록 기준을 세운 점에 비추어서도 그러하다.

3) 며느리에 대한 호칭
① 신혼 초: 아가, 새 아가
② 자녀가 있을 때: 어미야, ○○어미야
* 일상 대화 때 흔히 쓰는 '에미'는 일종의 공통어 성격을 띠고 있는 말이다.

4) 처부모에 대한 호칭
① 장인에 대한 호칭: 장인 어른, 아버님
② 장모에 대한 호칭: 장모님, 어머님

5) 사위에 대한 호칭
○ 서방, 여보게, ○○이

6) 내외의 동기와 그 배우자에 대한 호칭

<남편의 동기와 그 배우자의 경우>
① 남편의 형(媤叔): 아주버님
② 남편의 아우(媤同生): 도련님
③ 남편의 누나(시누이): 형님
④ 남편의 누이동생(손아래 시누이): 아가씨, 아기씨
⑤ 남편의 형의 아내(손위 同壻): 형님
⑥ 남편의 아우의 아내(손아래 同壻): 동서
⑦ 남편의 누나의 남편(손위 시누이남편): 아주버님, 서방님
* '시누이남편'의 호칭은 '아저씨'라고 하는 예도 있다.
⑧ 남편의 누이동생의 남편(손아래 시누이남편): 서방님
* '서방님'은 시동생의 호칭과 혼동이 되어 좋지 않다. 손위 시누이남편이 '아저씨'라면 '아제' 정도로 고려할 만하겠다.

<아내의 동기와 그 배우자의 경우>
① 아내의 오빠(妻男): 처남, 형님
* 처남은 10년 이상의 연장자가 아니면 '형님' 이라 하지 않고 그냥 '처남'이라 부르면서 트고 지낸다.
10년 연장이면 형이라 하는 것은 가령 성년이 20살일 때 "나이가 배가 위면 아버지로 섬기고 (年長以培則父事之), 10년이 위면 형으로
섬기고(十年以長則兄事 之), 5년이 위면 어깨동무를 하고 따라다닌다(五年以長則肩隨之)." 는 말에 근거를 둔 것이다.
이 말은 본시 예기(禮記)」'곡례 (曲禮)' 편에 들어 있는 것을 「소학(小學)」에서 인용하고, 중종 때 박세무(朴世茂)가 동몽선습(童蒙
先習)」을 엮으면서 빌어 쓴 것이다.
② 아내의 남동생(손아래 妻男):l 처남, ○○(이름)
③ 아내의 언니(妻兄): 처형
④ 아내의 여동생(妻弟): 처제
⑤ 아내의 오빠의 부인(妻男의 댁): 아주머니
⑥ 아내의 남동생의 부인(손아래 妻男의 댁): 처남의 댁
⑦ 아내의 언니의 남편(손위 同壻): 형님, 동서
⑧ 아내의 여동생의 남편(손아래 同壻): 동서, 서방

7) 동기와 그 배우자의 호칭
<남자의 경우>
① 형(兄): 형, 형님
② 형의 아내(兄嫂): 아주머님, 형수님
③ 남동생: ○○(이름), 아우, 동생
④ 남동생의 아내(弟嫂): 제수씨, 계수씨
⑤ 누나: 누나, 누님
⑥ 누나의 남편(妹夫): 매부, 매형(妹兄)
* 손위 누이의 남편을 자형(姉兄)이라고도 하나, 아직 보편적으로 표준을 삼기는 이르다고 여겨져 취하지 않는다.
⑦ 여동생: ○○(이름), 동생, ○○어머니(엄마)
⑧ 여동생의 남편: 매부, ○서방


<여자의 경우>
① 오빠: 오빠, 오라버니(님)
② 오빠의 아내: (새)언니
③ 남동생: ○○(이름), 동생, ○○아버지(아빠)
④ 남동생의 아내: 올케, ○○어머니(엄마)
⑤ 언니: 언니
⑥ 언니의 남편: 형부(兄夫)
⑦ 여동생: ○○(이름), 동생, ○○어머니(엄마)
⑧ 여동생의 남편: ○서방, ○○아버지(아빠)

8) 숙질간의 호칭
① 아버지의 형(伯父): 큰아버지
② 아버지의 형의 아내(伯母): 큰어머니
③ 아버지의 남동생(叔父): 미혼 - 삼촌, 아저씨, 기혼 - 작은 아버지
④ 아버지의 동생의 아내(叔母): 작은 어머니
⑤ 아버지의 누이(姑母): 고모, 아주머니
⑥ 아버지의 누이의 남편(姑母夫): 고모부
⑦ 어머니의 남자 형제(外叔): 외삼촌, 아저씨
⑧ 어머니의 남자 형제의 아내(外叔母): 외숙모, 아주머니
⑨ 어머니의 자매(姨母): 이모, 아주머니
⑩ 어머니의 자매의 남편(姨母夫): 이모부, 아저씨
⑪ 남형제의 아들(姪): 미성년 - ○○(이름) 성 년 - 조카, ○○아범, ○○아비
⑫ 남형제의 아들의 배우자(姪婦): (새)아가, ○○어멈, ○○어미
⑬ 남형제의 딸(姪女): 미성년 - ○○(이름) 성 년 - 조카, ○○어멈, ○○어미

9) 사촌간의 호칭
① 아버지 남형제의 자녀(四寸): 형님, 누님, 동생
② 아버지 여형제의 자녀(姑從): 고종, 고종사촌, 내종, 내종사촌(형님, 누님, 동생)
③ 어머니 여형제의 자녀(姨從): 이종, 이종사촌(형님, 누님, 동생)

10) 사돈간의 호칭
사돈끼리
① 바깥사돈끼리: 사돈
② 안사돈끼리: 사부인(査夫人), 사돈
③ 바깥사돈→안사돈: 사부인
④ 안사돈→바깥사돈: 사돈어른

위 항렬에게: 사장어른

아래 항렬에게 또는 아래 항렬끼리
① 남자에게: 사돈, 사돈도령, 사돈총각
② 여자에게: 사돈, 사돈아가씨, 사돈처녀

11) 직장 내 호칭
동료끼리: ○○○(○○)씨, 선생님, ○선생(님), ○○○선생(님), ○선배, (○○)언니, ○(○○○)여사
상사
① 직함이 있을 때: 부장님, ○부장님, (총무)부장님
② 직함이 없을 때: (○)선생님, ○선배님, ○여사, (○○)언니

아래 직원
① 직함이 있을 때: ○과장, (총무)과장, ○○○씨, ○형, ○선생(님), ○○○선생(님)
② 직함이 없을 때: ○○씨, ○형, ○선생, ○○○선생, ○여사, ○군, ○양

직장 상사의 가족
① 부인: 사모님, 아주머니(님)
② 남편: (○, ○○○)선생님, (○, ○○○)과장님
③ 자녀: ○○(이름), ○○○씨, (○)과장(님)

직장 동료 및 아랫사람의 가족
① 부인: 아주머니(님), 부인

② 남편: (○, ○○○)선생(님), (○, ○○○)과장(님)
③ 자녀: ○○(이름), ○○○씨, (○)과장(님)

12) 일상 생활에서의 호칭
친구의 아내: 아주머니, (○)○○씨, ○○어머니, 부인, ○여사
친구의 남편: (○)○○씨, ○○아버지, (○)과장님, (○)선생님
남편의 친구: (○)○○씨, ○○아버지, (○)과장님, (○, ○○○)선생님
아내의 친구: (○)○○씨, ○○어머니, 아주머니, ○선생(님), ○과장(님), ○여사(님)
아버지의 친구: ① 어린이말: (지역이름) 아저씨, ○○아버지
② 어 른 말: (지역이름) 아저씨, 어르신, 선생님, (○)과장님
어머니의 친구: ① 어린이말: (지역 이름) 아주머니, ○○어머니(엄마)
② 어 른 말: (지역 이름) 아주머니, ○○어머니
친구의 아버지: ① 어린이말: ○○아버지, (지역 이름) 아저씨
② 어 른 말: (○○)아버님, 어르신, ○○할아버지
친구의 어머니: ① 어린이말: ○○어머니(엄마), (지역 이름) 아주머니
② 어 른 말: ○○어머님, 아주머님, ○○할머니
남선생님의 아내: 사모님
여선생님의 남편: 사부님, (○, ○○○)선생님, (○)과장님

13) 올바른 호칭법
☆ 남 앞에서 남편을 부를 때
'그이', '그 사람'이라는 호칭이 무난하며, 가까이 옆에 있을 때는 '이이', '이 사람', 떨어져 있을 때는 '저이', '저 사람'으로 바꾸어 부른
다.
남 앞에서 남편을 소개하거나 지칭할 경우에는 '제 남편', '우리남편' 등으로 '남편'을 써야 옳다.

☆ 남 앞에서 아내를 부를 때
'집사람', '안사람'이 적절한 호칭이다. 윗분 앞에서는 '제 아내', '제 처'로, 아랫사람이나 평교간에는 '내 아내'가 적절하다.
'마누라'는 신혼 초에는 어색하겠으나, 나이가 들어서는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을 담아 쓰는 호칭이다.


☆ '미스'와 '양'
보통 20세 전후의 여성에게 '미스'와 '양'을 붙여 부르나, 요즈음은 대부분의 여성들이 '○○○씨'라 불러 주기를 바라므로 이름 뒤에
'씨'를 붙여 부르는 추세이다. 직장에서는 기혼 여성에게도 '미스', '양', '씨'로 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사모님'과 '부인'
'사모님'이라는 호칭은 본래 자기가 직접 배운 선생님의 아내를 이를 때만 쓸 수 있으나, 10세 이상 연상이나 사회적으로 스승의 자리에
앉을 만한 분의 아내에게도 쓴다.
'부인'은 자기보다 아래 나이의 여성이나 대여섯 위의 여성에 게 쓴다.

☆ '씨'라는 호칭
동년배이거나 나이 차가 아래위로 10년을 넘지 않을 때 쓰는 것이 좋다. 이·삼십대의 연령층이 사·오십대의 연령층에 '씨'자를 붙여 쓰는
것은 삼가야 한다.
나이 차가 10세 이상 나면 '○○○선생님' 정도가 무난하다.

☆ '형'이라는 호칭
'박형', '최형' 식의 '형'이라는 호칭은 아래위로 나이 차가 5년을 넘지 않을 때 사용하는 것이 좋다. 5년 차 이상이 나는 연하자가 연장자
에게 쓸 때는 조심해 써야 한다.
이 경우는 '○○선배님'으로 부르는 것이 무난하다.

☆ '자기'라는 호칭
우리가 흔히 쓰는 '자기'라는 호칭은 일종의 유행어적 성격을 띤 말이므로 일반 호칭어로는 배제한다. 이성간의 호칭으로는 어느 자리에
서나 쓸 수 있는 '○○씨' 정도가 무난한 표현이라고 본다.

☆ 자네'라는 호칭
'자네'는 나이든 어른이 가까운 젊은이를 대접해서 부르는 호칭이며, 초면의 사람과 친하지 않으면 쓸 수 없다.
나이든 장인. 장모는 사위를 '자네'라고 불러도 무방하나 되도록 '○서방'으로 부르는 것이 좋다.

14) 문답 풀이
문) 처남은 친구, 형님이 아니다.
아내의 오빠가 저보다 나이가 적습니다. 주위에서는 아내의 형이니까 저도 '형님'이라고 해야 한답니다. 나이 적은 사람을 어떻게 '형
님'이라 합니까?
답) 여자는 시댁의 손위 동서가 나이가 적어도 남편의 서열에 따라 '형님'이라 합니다. 그러니까 남자도 처가의 가족은 아내의 서열에 따
라야 한다고 생각해서는 안됩니다.
출가외인(出嫁外人), 즉 여자는 시집가면 친정과 인연이 끊어집니다. 그러므로 남편이 처가의 가족에게 아내의 서열을 따지지 않습니다.
처가 가족은 아내의 직계존속(장인·장모)만 인척으로서의 위계가 있고 기타는 나이에 따라 사회적 사귐으로 대접하는 것입니다.
귀하의 경우 아내인 오빠인 처남과 서로 말을 놓아 '하게'를 쓰며 친숙하게 지내는 친구간입니다. 이름을 부르고 벗을 하십시오.

문) 代와 世를 쓰는데 代와 世가 어 떻게 다릅니까?
답) 代와 世를 혼동하는데 엄격히 다른 것입니다.
代는 아버지와 나는 1代이고 할아버지와 나는 2代가 되어 상대와 나, 시작과 끝의 사이(간격)를 말하고, 世는 아버지와 나는 2世 , 할아버
지와 나는 3世인 것과 같이 상대와 나 시작과 끝을 모두 합해서 말하는 것입니다. 또 上代下世라고 해서 윗대 조상을 말할 때 는 代를 쓰고
아랫대 자손을 말할 때는 世를 쓰기도 합니다만 자칫 혼동하기 쉬워 엄격히 구분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족보에서 世라고 할 때는 始祖를 1世로 해서 몇 世孫이라고 말하기도 하기 때문에 上代下世라고 말하기도 하나 자손을 말할 때에
도 몇 世孫이라고 하는 경우를 잊어서는 안됩니다.
代는 사이(격간)이고 世는 上下를 모두 말하는 것은 엄격히 쓰여지고 있습니다.

15) 친척관계
부자간: 아버지와 아들
부녀간: 아버지와 딸

모자간: 어머니와 아들
모녀간: 어머니와 딸
구부간: 시아버지와 며느리
고부간: 시어머니와 며느리
옹서간: 장인장모와 사위
조손간: 조부모와 손자. 손녀
형제간: 남자동기끼리
자매간: 여자동기끼리
남매간: 남자동기와 여자동기
수숙간: 남편의 형제와 형제의 아내
동서간: 형제의 아내 및 자매의 남편끼리
숙질간: 아버지의 형제자매와 형제자녀의 자녀
종형제, 자매, 남매간: 4촌끼리
당·종숙질간: 아버지의 종형제자매와 종형제자매의 자녀
재종형제. 자매. 남매간: 6촌끼리
재종·당숙질간: 아버지의 6촌 형제자매와 6촌 종형제자매의 자녀
삼종형제. 자매. 남매간: 8촌끼리
구생간: 외숙과 생질
내외종간: 외숙의 자녀와 고모의 자녀
이숙질간: 이모와 이질
이종간: 자매의 자녀끼리
고숙질간: 고모와 친정조카
외종: 외숙의 자녀
고.내종: 고모의 자녀
이종: 이모의 자녀
처질: 아내의 친정조카
생질: 남자자매의 자녀
이질: 여자자매의 자녀
처이질: 아내의 이질

▣ 친인척 호칭법, 자녀에게 쉽게 가르쳐 줍시다.

아이들이 어려워하는 친·인·외척의 호칭. 아이를 중심으로 가계도를 그리거나 족보로 설명하면 쉽다.

▼ 사촌 이내: 자, 아들아, 촌수를 배워볼까. 아버지와 네가 일촌간이고 너와 동생이 이촌간이야. 부자간이 일촌, 형제간이 이촌으로 촌수
의 기본이지. 할아버지와 너는 이촌간이야. 남에게 할아버지를 말할 때는 '저의 할아버지’나 '조부'라고 한단다.
큰아버지 작은아버지, 고모는 알지. 아버지의 형제자매로 너한테 촌수로는 삼촌이야.
아버지의 형제자매가 많은 집에서는 대개 아버지보다 형이면 '큰아버지, 아버지의 동생이면‘작은아버지'라고 부른단다. 그러나 아버지
의 맏형만 '큰아버지'라고 하고 다음부터‘둘째아버지’셋째아버지’라고 부르는 것이 원칙이지. 남에게는 '백부', '숙부'로 말한단다.

▼ 다음은 사촌: 아버지 형제의 자녀가 너와는 친(親)사촌이다.
고모 딸이 네게는 고종(내종)사촌.
외가 쪽을 볼까. 엄마의 부모가 '외할아버지', '외할머니', 엄마의 오빠와 남동생이 '외삼촌(외숙)', '외삼촌의 부인'이 '외숙모'인 것은 알
지. 또 엄마의 언니와 여동생이 '이모'고 이모의 남편이 '이모부'인 것도. 이모의 자녀는 '이종사촌'이야.
◈ '외삼촌의 자녀'는 네게는 '외사촌'.

▼ 5∼8촌: 아버지의 사촌형제가 너한테는 오촌으로 당숙이고 부를 때는 '아저씨' 하면 돼. 당숙의 자녀는 너하고 '재종간'이야. 육촌이지.
육촌끼리는 '증조할아버지'가 같으니 가까운 편이지.
나이에 따라 형 누나로 부르면 돼. 아버지의 육촌형제가 너한테는 칠촌 재종숙으로 역시‘아저씨'라고 부르면 돼.

촌수의 계산에서의 인척

촌수의 계산을 할 때, 인척도 포함한다고 하는데, 인척의... 많은 질문이, ‘변호사를 선임해야 하는지’에 관한... 따라서 증거 관계가 분명하거나 절차상 문제가 없을...

촌수문제질문 내공100

... 외삼촌의 부인은 외숙모이며 외숙모의 언니나 동생은 질문자분과는 친척이 아니기에 촌수가 없습니다. 외숙모의 언니나 동생은은 사돈이 됩니다. 질문자분 입장에서...

가족촌수 질문입니다.

촌수 질문입니다.. 현재 저희 아버지가 큰집 장손이라 저또한 큰집의 장손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작은아버지의 친척누나가 저보다 3살 위 입니다. 결혼하는 사람은...

진주강씨 촌수질문

... 알고있습니다 촌수계산이 가능할까요? 혹시나 결혼 문제때문에 그러는데~ 몇촌쯤 될가요 ㅠ 님의 질문에 답변을 드립니다. 저는 진주강씨 구자돌림이구 박사공파...

촌수 질문

... 질문1. 나랑 딸이랑의 촌수는 몇촌이나 되나요? (나의 엄마의 엄마의 자매의 딸의 딸)... 지정하였으나 후에 남녀차별 등의 문제로 인해 부계,모계 모두 8촌으로 개정하였습니다.

조선왕조 태조와 마지막 순종의 촌수를...

... 두번째 질문인 태조의 종손과 순종과의 촌수 문제는 일단 종손의 정의가 잘못되었네요. 왕실의 종손은 바로 왕위 계승권자들입니다. 그러므로 순종이 종손이지요....

촌수 문제...

촌수문제때문에 질문을 합니다..... 저는 남자입니다... 저의 어머니의 언니(이모)의 자식(여자)이 딸을 낳았습니다... 저랑 관계가 어떻게 되는건가요? 딸의 입장에서 보면...

촌수질문입니다~빨리도와주세요...

촌수관계문젠데요 ㅜㅜ 시간이없어요 우선 . 1.여동생이 오빠의 아내를 부를 때 2.주보가 자녀에게 자기를 지칭할때 3.할아버지나 할머니가 손자. 손녀에게 그 부모를...

촌수따지기와호칭예절에관한문제[급해요]

... 문제촌수따지는게 도덕시험에 나온다는건데 선생님이 수업시간에 프린트 답을... 먼저 부모에대한 호칭예절에 대한 질문입니다. 프린터에는 1) 애비, 에미 / 아범,어멈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