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의 활용

물의 활용

작성일 2009.04.04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저기여 제가 과학토론대회에 나가거든요

주제가 하필이면 "물의활용"이에요. 물의 활용하면 떠오르는것들

댐, 수력발전, 등등 한 2~3가지 정도를 짧은게 아닌 구체적이게

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내공은 많이 추가됩니다.

꼭 답변 부탁드립니다. 제발요.


#물의 활용 #물의 활용 사례 #물의 활용성 #물의 상태변화 활용 #물의 가치와 활용 #해수 물의 활용 사례 #빙하 물의 활용 사례 #수자원과 물의 활용 #지하수 물의 활용 사례 #지구에서 물의 활용 사례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물 사용에 대하면 대표적으로 댐이 있습니다. 댐은 저수지나 강에 설치되는 시설로, 비가 올 때 물을 받아 홍수를 예방하고 그 물로 가뭄을 해결합니다. 댐은 그냥 보면 아주 고마운 시설입니다. 또한 요즘 같은 물 부족 사태에서는 더더욱 필요한 시설이기도 하지요. 그러나 이 댐을 설치하는 대에는 막강한 대가가 필요합니다. 이 댐 하나 때문에 주위의 환경이 파괴되며, 비용이 많이 들어 경제에 지장을 줄 뿐더러,주위에 살던 사람들도 모두 이 댐 하나 때문에 이사를 가야만 하지요. 그러므로 저 같은 경우는 지금까지 설치되어 있는 댐만으로 만족하고 더 설치하는 것은 반대합니다. 지금까지 많은 희생으로 만들어진 댐이 곳곳에 있는데, 꼭 더 만들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양한 물의 활용 사례를 알려 드릴게요~^^

1. 수력 에너지 : 요즘 각광받고 있는 친환경 에너지의 한 종류이다

2. 수소 에너지 :  마찬가지로 친환경 에너지의 한 종류 이지만, 엄연히 다르다고 알고 있다

3. 댐 : 홍수나 가뭄 등의 자연재해도 막아주고, 전기도 만들고, 여러모로 쓸모가 있다

4. 농업용수 : 농사를 지을 때 물을 사용하는 건 기본! 이  때 사용하는 물을 농업 용수라고 한다

5. 생명 유지 : 모든 생명체는 물이 있어야 살아간다

6. 세척용 : 설거지, 빨래, 청소, 이 모든 것에도 물이 사용된다.


① 생명 유지에 사용, 생명체의 몸에는 거의 대부분이 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수분은 물질대사를 하는데 에 필수적이며 없어서는 안 될 물질입니다.

② 농사를 지을 때 꼭 물을 사용합니다. 이 때 사용하는 물을 농업용수라고 합니다.

③ 세척용으로 사용.  물은 극성분자이고, 서로의 결합력이 강하며 극성 분자끼리 잡아당기는 수소결합의 힘이 강하여 세척능력이 뛰어납니다. 그러기에 청소 등은 거의 물로 하는 것입니다. 물은 요리에서 필수입니다. 수분이 있어야 음식의 맛이 나기 때문입니다.

 

물 [Water]

 

상온에서 색·냄새·맛이 없는 액체.

화학적으로는 산소와 수소의 결합물이며, 천연으로는 도처에 바닷물·강물·지하수·우물물·빗물·온천수·수증기·눈·얼음 등으로 존재한다. 지구의 지각이 형성된 이래 물은 고체·액체·기체의 세 상태로 지구표면에서 매우 중요한 구실을 해왔다.

즉, 지구 표면적의 4분의 3을 바다·빙원()·호소()·하천의 형태로 차지하고 있는데, 이 물을 모두 합하면 약 13억 3000만㎦에 달한다. 또 지구 내부의 흙이나 바위 속에 스며 있거나 지하수의 상태로 약 820만㎦가 존재한다.

이러한 해수()·육수() 등이 태양열을 흡수하여 약 1만 3000㎦에 달하는 수증기가 되어 대기 속에 확산하고, 그 수증기는 응축되고 모여서 구름이나 안개가 되고, 다시 비·눈·우박 등이 되어 지표면에 내린 다음 모여서 하천이 되어 해양·호소로 흘러간다. 이것을 물의 순환이라고 한다. 이렇게 물이 순환하는 사이에 저지()나 호상()을 깎아내고, 강의 흐름을 바꾸고, 흙이나 바위를 멀리 운반하기도 한다.

또 큰 비나 강이 범람하여 산을 깎고, 깊은 골짜기를 만들고, 단단한 바위를 침식한다. 밀려오는 격랑()은 끊임없이 해안선을 침식하여 섬이나 대륙의 형태를 변화시킨다. 물은 또한 지구상의 기후를 좌우하며, 모든 식물이 뿌리를 내리는 토양을 만드는 힘이 되고, 증기나 수력전기()가 되어 근대산업의 근원인 기계를 움직이게도 한다. 더욱이 물은 인류를 비롯한 모든 생물에게 물질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며, 생체()의 주요한 성분이 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인체는 약 70%, 어류는 약 80%, 그 밖에 물 속의 미생물은 약 95%가 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생물의 생명현상도 여러 가지 물질이 물에 녹은 수용액에 의해서 일어나는 화학변화가 복잡하게 얽힌 것이라 말할 수 있다.

:window.open('/slide/image_view.php?image_id=374211', '', 'scrollbars=yes');">

 

:window.open('/slide/image_view.php?image_id=374052', '', 'scrollbars=yes');">

<지구상의 물>

 

:window.open('/slide/image_view.php?image_id=406524', '', 'scrollbars=yes');">

<물의 상태 변화>

 

물의 과학사

물은 생물의 생존에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것으로서 인간의 물에 대한 관심은 깊어, 옛날부터 철학자에게는 중요한 사색()의 대상이었다. BC 6세기경 그리스의 철학자 탈레스는, 물은 우주의 모든 것의 기본적인 원소라고 하는 일원론()을 제창하고, 모든 물질은 물이 형태를 달리한 것이라고 하였다. 이것은 물이 눈·안개·우박·얼음·수증기 등으로 형태가 변하는 것에서 발상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BC 5세기경에 이르러 다시 엠페도클레스는 흙·공기·불과 함께 물을 만유()의 원소라고 하는 사원소설()을 제창하였다. 이와 같이 물을 원소라고 하는 생각은 그 후에도 계속되어, 17세기경까지 남아 있었다. 예를 들면, 공기 속에 탄산가스(이산화탄소)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된 J.B.헬몬트 조차도 식물이 물만으로 생장한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하여 실험을 하였다(식물의 광합성은 그 때까지 알려져 있지 않았다).

물이 원소라고 하는 것에 대하여 부정적인 의견을 가진 사람은 16세기경 독일의 광산가 G.아그리콜라이고, 이것을 확인한 사람은 A.L.라부아지에이다. 1768년에 라부아지에는 유리그릇 속에서 물을 끓여 증발시킨 후에 흙이 남아 있는 것을 보고 정밀한 중량측정을 하여, 이 흙은 유리가 용해한 것임을 증명하였다. 그러나 이 실험은 물이 원소가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였지만, 그 조성()에 대해서는 알 수 없었다.

물의 조성을 처음으로 발견한 사람은 J.프리스틀리이다. 그는 1771년에 수소와 산소(또는 공기)를 혼합하고 전기 스파크를 일으키면 물이 생기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H.캐번디시는 1771년부터 1784년에 걸쳐 정확한 실험을 되풀이하여, 수소 2부피와 산소 1부피에서 물이 생성됨을 확인하였고, 라부아지에도 1775년에 적열()된 철관 속에 물을 통과시키면 수소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고, 물은 수소와 산소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실증하였다(철은 산소에 의해서 산화철이 되었다).

다시 W.니콜슨 등은 볼타전지에 의해서 처음으로 전기분해를 하여, 양극()에 산소가 1부피, 음극에 수소가 2부피 발생하는 것을 알았는데, 이것은 J.L.게이-뤼삭에 의해서 보다 정밀하게 실증되었다. 여기서 물은 수소와 산소로의 결합으부터 생기고, 그 조성은 수소:산소의 비율이 2:1이라는 것이 명백하게 밝혀졌다.

 

물의 조성

물은 수소 2, 산소 1로 되어 있는 물질이며, 화학식은 H2O이다. 천연의 물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정제한 증류수는 이 화학식과 일치한다. 물은 우리의 주변에 다량으로 존재하며 정제하기 쉬우므로, 옛날부터 여러 가지 표준으로 사용되었다.

예를 들면, 물의 끓는점녹는점을 온도의 표준으로 정하여, 이 사이를 100등분하여 섭씨온도로 하고, 또 4℃의 물 1cm3의 무게를 1 g으로 하였다. 그러나 물리적 측정이 정밀해짐에 따라 순수한 물의 조성이 문제가 되어, 수소의 동위원소() 1H, D와 산소의 동위원소 16O, 17O, 18O이 확인되었으며, 천연의 물은 이들의 각종 혼합물임이 알려졌다. 이중에서 D216O은 순수하게 분리된다. 또 바닷물과 같은 물은중수농도()가 보통의 천연수보다 약간 높다.

 

물의 정제

순수한 물을 얻는 데도 보통 물을 증류하거나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양이온 및 음이온을 제거하는 방법이 취해진다. 증류에 의한 방법은 이것을 몇 번 반복함으로써 대개 순수한 물을 얻을 수 있으나, 물은 많은 물질을 용해시키기 쉬워서 이때 사용되는 용기를 용해시키기 때문에 보통 석영용기() 등을 사용하여 이것을 방지한다.

천연수를 음료수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토사()·진애()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모래와 자갈 등에 통과시켜 여과하고, 콜로이드상 물질은 백반() 등에 의하여 침강시키고 표백분·염소·자외선 등으로 살균한다. 천연수를 적당히 처리하여 인공적 목적에 사용하기 위하여 행하는 분석을 물분석이라 하는데, 최근에는 음료수의 수원오탁()이 문제가 되고 있어 많이 시행되고 있다.

물의 활용사례

물의 활용 사례 뜻이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물을 활용(이용)하여서 할 수 있는 일들이... 댐을 만들어서 물의 낙차를 이용해서 전기에너지를 생산 이런 물을 활용한 사례들입니다.

버섯 삶은 활용

... 물로 활용할수있다고 나왔던걸로 기억해요. 그래서 버섯... 네, 버섯을 삶은 물을 활용하여 다양한 음식을 만들 수... 요리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버섯으로 사용하는 종류에...

물의 활용사례

물의 활용사례에 대해서 잘 써주세요.. 제가 급히 써먹을 때가 있어서... 성실히 해주시면 내공팍팍 드릴께요! 제발 부탁이에요.. 물 사용에 대하면 대표적으로 댐이 있습니다....

물의 활용사례

... 1.물의 활용사례에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오기 2.우리가 왜 물 부족 국가가 되었는지 알아오기 입니다. 이상한글 올리면 신고!! 물 사용에 대하면 대표적으로 댐이...

물의 활용사례 내공 15 겁니다

... - 부족 국가인 우리 나라는 댐을 많이 건설할 수록 수자원의 효율적인 활용 면에서 이득이 된다. 2. 댐 건설로 인한 피해 <댐의 영향> - 자연 환경이 파괴되고...

물의 활용사례

... 추가로 다른나라의 활용사례도 부탁드립니다..그리고 내공냠냠 사절이염. 하면ㅅㅣ 신고함.. 사용에 대하면 대표적으로 댐이 있습니다. 댐은 저수지나 강에 설치되는...

물의 활용사례

... 물 김남석 | 안수용 옮김 예림당 2005.11.30 . 과학 탐구대회 숙제 인데요 물의 활용사례좀 알려 주세요 1.옛날 사람들의 활용사례 2.중세시대 사람들의 활용사례 3....

물의활용사례

안녕하세요 저는5학년학생입니다 물의활용사례를조사아여야합니다 꼭답변바랍니다... 10.눈 녹은 물 눈 녹은 물은 눈을 녹인 물로서 이 물은 생물에게 주면 더 잘자라고...

물의 활용사례좀..

... 물의 활용사례에 대한거라서.. 4월10일까지부탁드릴게요..ㅜㅜ 내공냠냠신고하구요... 10.눈 녹은 물 눈 녹은 물은 눈을 녹인 물로서 이 물은 생물에게 주면 더 잘자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