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조 현상

적조 현상

작성일 2008.04.23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적조현상이 일어나는 이유와 장단점 해결법을 가르쳐 주세요..

적조현상이 플랑크톤 수가 많아져 빨갛게 보인다는 건 아는뎀..

잘 모르겠어요..왜 초록색,노랑색등을 놔두고 하필 적조죠??

그런 것들이 궁금해요..


#적조 현상 #적조 현상 해결 방안 #적조 현상 원인 #적조 현상 황토 #적조 현상 플랑크톤 #적조 현상 의미 #적조 현상 종류 #적조 녹조 현상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적조란?

적조현상이란 식물플랑크톤이 대량 증식하여 바닷물의 색깔이 붉게 변하는 것을 말한다고 한다.

식물플랑크톤은 주변 환경이 좋아지면 빠른 속도로 분열하는데, 적조생물들이 가지고 있는 색조는 바닷물의 색깔을 변하게 만든다.

플랑크톤(plankton)은 그리스 어의 plagkt՜n(뜬 것)에 유래하는 낱말이며, 스스로의 운동력이 전혀 없으므로, 있어도 극히 약하여 물의 움직임에 역행하는 행동할 수 없고, 파도에 뜨는 것을 총칭하여, 1887년 독일의 생물학자 V.Hensen이 명명한 것이다.

 

적조현상이 발생하는 이유
적조현상은 질소,인 등의 영양염류가 물속에 풍부하게 용존되어 있고, 일사량, 수온, 염분등 환경조건이 적당하면 플랑크톤이 대량번식하여 발생하며, 특히 바람이나 조류에 의하여 집적되면 고밀도 적조가 발생한다. 특히 생활하수가 다량유입되고 저층에 퇴적된 영양물질이 용출되는 곳으로서 폐쇄성의 내만이나 연안에서는 상습적으로 발생한다.

 

적조와 녹조
영양염류가 풍부한 바다에 발생하는 조류는 붉은색을띠고, 독성이 강하며,

염분이 없는 호소 등에서는 녹조류가 번성합니다. 즉 서식환경에 따라 적조 또는 녹조가 발생합니다.

그러나, 적조의 독성이 강하여 양식어류의 폐사원인이 문제가 됩니다.

 

적조 해결방법

1) 부영양화 억제
적조는 적조생물의 증식에 필요한 물질들이 많이 녹아있는 부영양 수역에서 자주 발생하므로, 어장에 부영양화가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영양염류나 증식촉진물질을 많이 함유한 산업배수나 가정하수의 유입을 억제하기 위하여 하수 폐수처리시설의 건설 및 운영을 철저히 하고 적정 양식으로 양식장에 살포되는 먹이에 의한 자가오염을 방지한다.

2) 어장환경 개선
육상과 양식장의 모든 폐기물과 오염물질은 저층에 퇴적되어 부패 분해되면서 용존산소를 소비하고 각종 유독성물질을 생성하므로 이들 저질을 준설하거나, 갈아주거나, 폭기시켜 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어장 환경개선 방법이다.

3) 황토의 살포
 황토가 동물성 플랑크톤의 일종인  적조생물이 황토입자에 흡착해 가라앉는 효과가 있으며 황토내의 알루미늄의 성분은 적조생물의 세포를 파괴, 황토살포 30분 후엔 약 78%의 적조생물이 제거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황토 살포는 근본적인 대책이 아니라 적조 현상이 일어 난 다음에 그 문제를 완화시키는 정도 밖에 안 되고 있는 실정이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적조현상의 원인 및 대책

원인 :호소나 바다에 영양염류가 과도하게 유입되어 부영양화가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적조 미생물(조류)들이 과도하게 번식하여 물이 붉게 모이는 현상으로 이들 조류(Algae)에 의하여 독성물질을 배출시키거나 사멸하여 분해되면서 용존산소를 고갈시키고 또한 조류 자체가 어류의 아가미를 폐색시켜 사멸을 초래한다.

 

 

 

 

 

적조현상(Red Tide)  우리 나라 남해안 일대에 7월∼9월 사이에 장마철이나 비가 온 뒤에는 바

 

 

 

다의 색깔이 적갈색으로 변하여 바다에 살고 있는 굴, 조개, 홍합 등의 양식자원을 모두 죽게 하고

 

 

 

때로는 물고기까지 죽게 한다. 그 원인으로는 바람, 밀물, 강우량, 하구의 유입량, 한류, 일조량,

 

 

 

증발량, 기온, 수온, 염분 등의 독자적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고 하는 물리적인

 

 

 

설이 있는가 하면, 식물성 플랑크톤이 이상적으로 번식하여 해소 1L당 플랑크톤의 수가 50만∼

 

 

 

100만에 달하기 때문에 생긴다는 플랑크톤 증식설이 있다.  

 

 

 

 

 적조라는 말은 바다 물이 불그스레한  

 

 

 

 

색을 띤다고 해서 Red를 사용하며 그원인이 되는 조류가 대체적으로 붉은색을 띄기 때문에 바다

 

 

 

 

물이 붉으스럼하게 변하기 때문에 적조현상이라고 부르는데 실제로는 Brown water, Green water,

 

 

 

 

 Yellow water가 되는경우도 있다.

 

 

 

 

적조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되는 생물로는 규조토, 와편조류, 남조류, 황록색 조류,

 

 

 

갈색 편조류가 있다.

 

 

 

 

 생물을 죽게 하는 직접적인 원인은 와편조류의 독소에 의하여 일어나는 경우

 

 

 

가 있고, 물 속에 녹아있는 산소의 결핍에 의하여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 해양생물의 환경조건  수중에 살고 있는 생물들은 육상생물과는 현저하게 다른 환경에서 살

 

 

 

 

고있다. 따라서 물 속의 환경요인을 살펴보면, 

 

 

 

 

1) 광선  해양 환경 요인 중 가장 중요한 것이 햇빛이다.

 

 

 

 

  햇빛이 바다 밑까지 투과하는 깊이는 상당히 깊으나 해수는 광선이 선택적으로 흡수한다. 관선

 

 

 

 

이 해수 중에서 투입되면 파장이 긴 빨강과 주황의 부분은 우선 상층부에서 흡수되며, 파장이 짧

 

 

 

은 노랑, 초록, 파랑 및 보라의 부분은 훨씬 깊은 곳까지 투입된다. 빛은 식물의 광합성에 중요하

 

 

 

 

며 심해 어류의 먹이를 찾기에 중요한 구실을 한다.  빛이 부족한 곳에 사는 심해어에는 자체에서

 

 

 

 

발광기가 있어 먹이를 찾아 야한다.  빛은 바다 밑 175m까지 침투한다.

 

 2) 온도  해양에서 수온의 변화는 비교적 적으며 최고온도와 최저온도의 차이는 5℃ 불과하다. 대부분의 해양 생물은 수온 변화에 대하여 큰 반응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찬 수온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해산 포유류나 조류를 제외하고는 해양동물은 변온동물이기 때문에 온도에 큰 영향을 받지 않으나 플랑크톤은 온도의 영향을 받는다. 

 3) 산소  모든 생물은 산소가 필요하다. 몇 종류의 해저 박테리아를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해산생물은 산소를 필요로 한다. 육지보다는 산소의 양이 적으나 거의 모든 바다의 물 속에는 어디든지 산소가 있다. 흑해의 심층부에는 산소가 없는 곳이 있으며 이곳에는 동물이 살지 못한다.

 

 4) 압력  해양생물이 육지 생물보다 더 큰 고역은 압력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압력이 많을수록 해양생물들은 그 압력에 견디기 위해서 몸에 특수한 기관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물고기의 부레와 갈조류의 공기주머니가 바로 이런 기관이다. 물에 떠 있게 하려면  몸 속에 공기주머니가 있어야 한다.

 

대책 : 적조현상의 원인은 부영양화에 있으며 호소와 해양에 질소(N)와 인(P)의 유입을 억제시켜야 한다.

육상에서는 농지에 살포하는 비료와 목초지의 가축 분변등 비점오염 관리를 철저히 하여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해야 하고 하수처리시설을 질소.인의 제거 효율이 높은 고도처리 시설로 개선하여야 한다.

또한 해양에서는 선박에서 배출되는 오폐수의 처리를 완벽히 처리하여 해양오염을 최소화 시켜야 한다.

 

 

부영양화현상의 원인과 대책

http://myhome.donga.ac.kr/kyunghun/overneu.htm

원인 :1. 정의

   부영양화는 조류가 대량 발생한 상태인데 수서 환경에서 조류는 기초생산자이며 광합성을 하기에 충분한 빛의 강도가 있는 표층 가까이의 좁은 투광대에서 생장한다. 조류의 생산성은 주로 빛의 강도와 무기 영양원의 양에 의해 달라진다. 과다한 질소와 인이 조류의 과다한 생장의 가장 보편적인 원인이다. 부영양화라는 용어는 "영양분이 풍부하게 공급되었다"라고 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하천이나 호소에 있어 영양염류가 적은 빈영양상태에서 각종오염물질의 유입으로 영양염류가 많아지게 되어 조류(algae)가 많아지게 되고 투명도가 낮아지게 되는데 이와 같이 빈영양에서 부영양으로 변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부영양화란 물의 이용에 방해가 될 정도로 부착성 또는 부유성 수중식물이 성장하는 현상을 말한다. 호수, 연안해역, 하천 등의 정체된 수역에 생활하수나 공장폐수 또는 비료나 유기물질 등 에 의해서 물속에 영양염류(암모니아, 아질산염, 질산염, 유기질소화합물, 무기인산염, 유기 인산염, 규산염 등이 있다), 특히 인산염이 많을 경우 식물성 플랑크톤이 과잉 증식하여 물속에 있는 산소를 감소시키고, 그 경로가 수질이 나빠지며 결국에는 산소결핍으로 어패류 가 죽기까지 하는 현상을  말한다.

   수중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영양분을 공급받는다. 주요한 원인으로는 질소(N)나 인(P)과 같은 영양분의 과잉을 들 수 있다. 최근 생활하수, 공장폐수, 농경지나 도시지표면의 우수유출로 인하여 이러한 문제가 매우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호소에 있어서 영양염류가 적은 곳은 플랑크톤이 적고 투명도가 높은데 이와 같은 수역을 빈영양이라고 하는 반면 영양염류가 많은 곳에서는 조류가 많이 발생하여 투명도가 낮은데 이와 같은 수역을 부영양이라고 한다. 특히 호소, 해안 등지에서 각종 오염이나 기타의 원인으로 빈영양에서 부영양으로 변화하는 현상을 부영양화라 한다. 인위적인 영향을 거의 볼 수 없는 호소에서도 극히 오랜 시간 에 걸쳐서 부영양화가 일어나지만 체류시간이 긴 호수나 해역(정체수역)에 유기성공장폐수, 농업배수(질소비료, 인산비료), 가정하수 중의 질산염, 인산염의 유입으로 조류의 영양분인 질소(N), 인(P), 탄소(C) 등의 증가로 일어난다.

   장기간에 걸친 저수 결과 유기성 오염물이 분해제거 된다 하더라도 수중 미생물의 번식에 영양소가 될 무기물은 축적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인체에 질 병을 일으키거나 수중에 맛과 냄새를 초래하는 각종 조류가 번식하게 되며 이들 조 류가 죽게 되면 저수지의 바닥에 침전되어 다른 미생물에 의해서 분해되고 그 결과 생기는 물질은 다시 다른 조류의 번식을 초래할 수 있는 영양소가 된다. 이러한 순환 을 거듭하게 되며 저수지의 수질은 점점 악화되어 나중에는 쓸모 없는 늪모양으로 변하게 된다.

   호소는 부영양화가 진행됨에 따라 호소의 수질이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특성이 변하게 된다. 부영양화의 특성으로는 영양염류의 농도가 높아서 질산염이 0.2∼0.3mg/ℓ 인산염이 0.01∼0.02mg/ℓ 이상이다.

   1차 생산량이 많아 조류의 양이 0.015mg/ℓ 이상이 된다. 조류가 성장함에 따라 투명도가 감소하고 호소바닥에 생물의 사체나 현탁물이 침전하므로 수심이 낮아지고 유기물의 분해작용으로 바닥에서는 산소 결핍현상이 일어나고 표면에서는 광 합성작용으로 산소 과포화 현상이 발생한다.

   생물종의 다양성은 줄어들고 개체수는 증가하며 우점종도 바뀐다. 이와 같이 생물상이 변화하므로 먹이 연쇄과정도 변하게 된다. 호소에 부영양화가 발생하면 생활용수가 공업용수로 이용하기 곤란하거나 수 처리비용이 많이 들어 경제적 손실을 가져 올 뿐만 아니라 수산용수, 농업용수로도 그 가치가 떨어지게 된다.

   조류의 영향을 살펴보면 조류가 번성하면 물에서 나쁜 냄새가 나고 물에 산소가 부족하게 되어 물고기가 죽게된다. 많은 종류의 조류가 독소를 생산한다.

   조류가 생산하는 독소는 맹독성인 Botulism 독소에 맞먹을 정도로 독성이 큰 것도 있다. 남조류(blue green algae)는 독소를 생성할 뿐 아니라 음용수의 곰팡이 맛 과 냄새에도 관련이 있다. 이 조류를 포함하고 있는 저수지의 물은 소량이라도 불쾌한 냄새를 내며 남조류의 Symploa muscorum과 Oscillatoria tenuis는 제오스민이라 는 하는 흙냄새가 나는 유기화합물을 만들어 낸다. 나쁜 맛과 냄새를 제공하는 다른 남조류로는 Anabaena, Aphaniz omenon, Syura가 있다. 규조류인 Asterionella는 음용수에 종종 존재하는데 이것도 불쾌한 맛을 제공한다.냄새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물질의 양은 ppm 또는 ppb 단위로 측정된다. 음료수의 맛과 냄새를 내는 가장 일반적인 화학물질이 있다. 몇 ppb의 화학물질도 음용 수에 아주 나쁜 냄새를 제공한다. 아민류, 인돌류, 스카돌류, 유기산류는 맛과 냄새를 나게 한다.  맛과 냄새를 내는 화학물질은 물을 활성탄으로 처리하여 흡착시킴으로써 물로부터 어느 정도까지는 제거할 수 있으나 냄새나 맛을 완전히 제거시킨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호소의 부영양화 방지방안은 제한요소인 질소, 인의 유입을 막아야 한다. 질소와 인은 도시하수를 2차 처리하여도 질소 50%, 인 30%정도를 제거하여 보통 처리 수중에 10∼30ppm의 질소와 5∼20ppm의 인을 함유한다. 특히 가정하수중 인의 60%가 세제의 사용에서 온다. 그러므로, 호소에 유입되는 하수 및 폐수는 고도처리(3 차 처리)를 하여야 하며, 인의 함량이 적은 세제의 사용도 고려되어야 한다. 또 적극 적인 방법으로 조류의 번식을 방지하기위해 CuSO4나 활성탄을 살포하거나 공기 주입법, 강제혼합법 등에 의해 자정능력을 촉진시키는 방법도 강구되고 있으나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다.

   강이나 바다, 호수 등에 유기물이 들어오면 물속에 있는 미생물이 이를 분해하며, 분해산물은 자연 생태계의 물질순환의 사이클(생산 - 주로 녹색 식물에 의한 광합성, 소비 - 동물, 분해 - 박테리아)내에서 교환된다. 이 사이 클이 순조로우면 자연은 균형이 잡혀, 소위 자연의 자정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셈이 된다. 그러나 예컨대 이 자정능력을 넘는 유기물이나 염류가 강과 바다로 흘러 들어가면 위에서 말 한 사이클이 완료되지 않고, 수역은 분해산물 또는 2차 생성물 등의 영양염류가 풍부해지며 특정생물(적조 플랑크톤등)이 비정상적으로 발생한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영양염류가 들어오는 것을 막는 것이 중요하지만 그것과 아울러 계획적으로 영양염류를 제거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작은 연못에서 조류의 과도한 생장을 막을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수단은 황산구리(CuSO4)를 투여하는 것이다. 많은 양의 조류가 나타나기 전인 이른 봄철에 황산구리를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류의 사멸은 조류의 세포내 독소의 방출의 결과로 또는 조류의 유기물질을 분해하기 위하여 미생물이 증식하면서 이에 따라 산소 가 결핍되는 결과로 일어난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적색깔 플랑크톤이 많이생겨서요........

해결은 황토뿌리는걸로 하는데

 

일시적인거에요~~

해양의 적조현상, 지구 시스템과 상호작용

해양의 적조현상을 지구 시스템과 상호작용과 연관해서 설명해주세요 적조현상은 해양과 지구 시스템 간의... 하며, 적조현상은 이러한 해양과 지구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적조현상이 뭔가요?

적조현상이 뭔가요? 즉 원생동물의 쌍편모조류가... 적조현상은 난류에서 전세계적으로 발생한다. 자연적인... 대량번식하여 적조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적조현상의 결과는...

적조현상이 뭔가요?

적조현상이 뭔가요? 적조현상이란! 종종 여름철만 되면 적조가 발생하여 물고기들이... 이럴때....바다에 황토를 뿌리면 적조 현상을 어느 정도 없앨 수 있습니다. 미세한 황토에...

적조현상에 대하여.

수질관리 레포트를 써야하는데요 적조현상에 대하여... 국내 적조현상의 발생과 대응방안 1. 적조란 1) 적조의 정의 적조현상(red-tide)이란 식물 플랑크톤의 대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