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산업체 질문이요

방위산업체 질문이요

작성일 2011.01.12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올해, 만 19세가 되었는데요.

 

이제 군대갈 나이도 됐고, 아버지가 군대 안갈꺼면

 

방위산업체라도 들어가라고 말씀하셨는데요.

 

바로 질문 들어갑니다.

 

1. 방위산업체 아무나 들어갈수 있다는게 아니라는데, 사실인가요?

 

2. 방위산업체 가면 군대보다 힘드나요?

 

3. 방위산업체 출퇴근이 가능하다고 하는데요. 알바같은건 할수 있나요?

 

4. 방위산업체 나오면 남들이 생각하면 쪽팔리다고 생각할수 있나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저는 우선 10만명이 넘는 미필자 카페 운영장인데요.ㅎ 간단한 답변과 기초지식글을

 

조금 올려드리겠습니다 ㅎㅎ

 

 

1. 방위산업체 아무나 들어갈수 있다는게 아니라는데, 사실인가요?

 

 뭐 지원자격이 되고 님을 받아주는 업체를 찾으면 됩니다 .

 

2. 방위산업체 가면 군대보다 힘드나요?

 

 솔직히 군대보다는 아닙니다 . 그런데 군대 왓다고 생각하며 근무를 하지들 않지요.. 그냥 일반인

 

취업이라 생각을 하고 회사에서는 군대 되신 왔으니 조금은 강하게 일을 시키려 하고 하며 마찰이

 

있는 경우가 많아요..

 

3. 방위산업체 출퇴근이 가능하다고 하는데요. 알바같은건 할수 있나요?

 

 산업체는 거의다 잔업이 있어서 알바를 하실 시간이 없을것입니다 법적으로 알바는 가능하기는 합니다

 

하지만 거의 본업만 해도 몸도 힘들것이고요..ㅡㅡ

 

4. 방위산업체 나오면 남들이 생각하면 쪽팔리다고 생각할수 있나요?

 

 글세요.. 저는 34살이고 24살 곧 10년전에 산업체 나왔지만 쪽팔리다고 생각한적 없습니다

 

뭐 때때로는 사회경험이 더 많은것이고 3년이나 장기적으로 근무를 한 내용이 있으니 좋게보는

 

사람들도 있더군요 ㅎㅎ 취업 면접볼때요 ㅎㅎ

 

 

------------------------------

 

 

 산업기능요원[병역특례] 에 대하여 조금더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우선 간단히 단어 정리를 해드리면 산업체는 기업을 의미하며 산업기능요원은 산업체에 근무를 하는

 

사람을 의미하는것입니다 .. 병역특례라는 부분은 이러한 제도의 명칭이라 할수 있습니다 .. 그리고

 

많이들 모르시는 부분이 산업체에서 자기를 무조건 받아주면 되는지에 있어서 인원의 제한이 있습니다..

 

티오(TO) 라는것이 있는데요. 병무청에서 우수하고 안전하다는 판단이 서는 기업에 현역과 보충역에

 

있어 배정인원을 주게 됩니다. 그러면 산업체에서는 그에 맞추어 일을 하고자 하는 산업기능요원을 받을

 

수가 있는것이지요 ^^;;.. 보통 현역은 한회사에 한명 이상은 주지 않습니다. 그래서 쉽게 사람을 쓰지

 

않는것입니다 특히나 기술직은요... 그리고 보충역은 2010년 부터는 지역에 티오(TO)를 줍니다. 예를 들어

 

서울에 보충역 티오 100명을 준다면 해당지역에서 산업체들이 알아서 선착순으로 사람을 쓰겠다고 하여

 

병무청에 신고를 합니다. 그러면 인원이 다 차면 끝나는것입니다 .. 2010년에는 상반기와 후반기에 두번

 

나왔는데 앞으로는 모르겠군요.. 보충역 이신 분들은 님 지역이 티오(TO) 인원을 병무청에 전화해서 물어

 

보는것이 우선은 좋습니다 ..

 

 

 

* 산업기능요원 제도의 목적

 

 산업기능요원의 목적은 일반 젊은 친구들이 군대를 회피할수있게 하기 위하여 만든 부분이

 

아닙니다 아시겠지만 우리나라는 중소기업에 있어 인력난이 심합니다 그래서 해당 부분을 조금

 

이라도 돕고자 하여 산업체에서는 젊은 친구들을 자발적으로 선정을 하여 중소기업에서 해당

 

젊은 인력을 장기가 쓰게하는 그런 중소기업을 위하여 만든 제도입니다 . 그러니 대기업은 없는것

 

이며 종종 대기업이 있다고 하시는 분들이 있으나 그것은 대기업의 자회사나 혹은 협력업체라고

 

할수 있습니다..『  ^.^  』

 

 

 

* [산업기능요원] 지원 절차 혹은 방법

 

 산업체에 들어가시는 절차는 간단히 님을 쓰고자 하는 업체를 구하시면 됩니다 . 보충역이라면 자격증이

 

필요가 없고 현역이라면 학력에 따른 자격증이 있어야 합니다. 현역은 당연히 필수입니다 없이는 갈수가

 

없는것입니다. 업체에서 요구하는 자격증을 소지를 하시면 됩니다 . 그리고 산업체를 구하시면 되는것이

 

지요. 현역만이며 보충역은 자격증하고는 산업체 편입하는것에서는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단 업체에서

 

요구하는 경우를 제외한다면이고 법적으로는 보충역은 없어도 상관없습니다.

 

 

 그리고 연수기간이 있습니다. 기업마다 다른데요 짧게는 일주일 안으로 길게는 3달정도 연수기간을

 

줍니다. 연수기간을 가지는 이유는 병무청에 한번 등록이 되면 회사에서도 인의적으로 님을 자르거나

 

혹은 님도 다른회사를 바로 이직을 할수가 없으므로 서로 테스트 하는 기간을 가지게 되는것입니다.

 

 그후에 알아서 산업체에서 님을 병무청에 산업기능요원으로 편입신청을 해줍니다 .  주의사항을 하나

 

알려 드린다면 . . . 가끔가다가 기업에서 바로 병무청에 연수기간도 없이 산업기능요원으로 바로 신청을

 

해주는 업체들이 있는데요 .. 물론 그런 산업체가 좋은 업체 일수도 있지만 다른곳을 못가게 하려고 바로

 

병무청에 등록을 하는 업체도 종종 있으니 꼭!!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 당연히 연수기간은 복무기간에

 

포함이 되지 않습니다... 현역은 2년 10개월 보충역은 2년 2개월을 근무를 하시게 됩니다 . 

 

 

 그리고 산업기능요원도 4주 훈련을 당연히 갑니다 .. 병무청에 산업기능요원으로 편입이 되시면 일반적

 

으로는 6개월 정도 이후에 가는경우가 많으며 정확하게는 알수없습니다 . 뭐 국방부 사정에 따라서 알아서

 

2~3주정도 전에 4주훈련 소집일정이 나오게 되는것입니다 .. 그 이후는 당연히 남은 복무기간 이수하시면

 

끝입니다 .『  ^.^  』

 

 

 

* 산업기능요원[병역특례]의 종류 혹은 분야

 

 산업체를 가는데 있어 제일 먼저는 님이 가고자 하는 스타일을 먼저 정하셔야 합니다 ... 일반적으로 다들

 

아시겠지만 우선은 거의 단순노무직이라 할수 있으며 보통은 거의다 일반인들이 잘 하지 않는 그런 업무의

 

자리이므로 어렵거나 힘들고 혹은 위험한 일인 경우가 허다하다 할수 있습니다 .. 반대로 공부를 해서

 

어느정도 능력이 할수 있는 기술직이 있다고 할수 있습니다 . 뭐 능력이 있어야 하는것이지만요 . . . 

 

 무식하게는 어느정도 능력이 없으면 몸으로 때우는것이 맞을수 있습니다 『  ㅡㅡ;.. 』

 

 

 산업기능요원[병역특례]의 분류에 있어서는 고등학교나 대학교에서 처럼 학과가 있드시 직종 스타일에

 

 따라서 나뉘어져 있습니다 . 대표적인 것들로 크게는  전자, 전기, 기계, 건축, 섬유, 화학, 금속.. 등이

 

있으며 기술직에 있어 대표적인 정보처리[it] , 게임 , 건축[캐드] 이 있다고 할수가 있습니다 .

 

 

 이러한 직종 스타일에 맞추어 자격증이 있어야 하는데요 .. 전자계열의 산업체 라면 당연히 대표적인

 

전자기기 혹은 비슷한 계열의 자격증이 있어야 합니다 . 다른 비슷한 자격증이 있어도 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요 . 그것은 전자 회사라고 하여도 회사 내용에 따라서 전기 관련이나 용접 관련으로 업무 파트가

 

있을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 때문에 산업체에서 업무 내용을 병무청에 어느정도 어떻게 승인이 되어

 

있는지에 따라서, 관련분야  업무가 병무청에 등록이 되어 있으면 다른 자격증도 가능한 부분이 생기는

 

것입니다.. 이런 부분을 호환성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 대표급 자격증들은 여러분야의 산업체에 업무는

 

많이 호환이 된다고 할수가 있습니다 ... 흔한 부분이 아닌 자격증들이 있는데 그럴수록 산업체 편입하는

 

데 어려운것은 현실이고요..ㅡㅡ;..

 

 

 주의 하실 부분은 현역인데 자격증이 꼭 있어야 하느냐 문의하시는 분들이 있는데요 . 현역은

 

꼭!! 자격증이 있어야 합니다 없으면 산업기능요원으로써 병무청에 편입 자체가 되지 않습니다 ..

 

노가다 형식에 업무를 한다고 하여도 무조건 병무청에는 해당 자격증 관련 업무를 하는것으로 신고가

 

되는것이니 자격증은 반드시 있어야 하는것입니다 .

 

 

 그리고 또 하나의 주의점 이라고 할수 있는 부분은 학력에 따라서 자격증이 있어야 합니다 . 이를테면

 

4년제 졸업자 이신분들은 산업기능요원으로 병무청에 신고를 하는데 있어 무조건 기사 자격증 이상을

 

취득을 해야 합니다 ㅡ,ㅡ;..

 

 

 

{ 학력에 따른 자격증 }

 

                            [학력]          [기술.기능분야의 자격증 수위]

 * 4년제 대학졸업자

          모든종목 기사 자격증 이상의 수위

 * 2년제 대학졸업자

 * 3~4년제 대학에서 2학년학년을 이수한자

    모든종목 산업기사,기사 자격증 이상의 수위

 * 대학에서 2학년 학년이수를 못한자

 * 고등학교 졸업혹은 그이하의 학력인자

     모든종목 기능사 자격증 혹은 이상의 수위


 

 

 

 위에 관련으로 대학에 학력이 있으면 무조건 학력에 맞추어 가능한 자격증이 있어야 하는것입니다 ..>,<..

 

한가지 예를 든다면 예체능 분야의 4년제 대학을 나오신 분들이 단순업무 산업체를 가려고 한다고 하여도

 

4년제 졸업하신 학력이 있으니 기사 자격증을 취득해야 합니다 . 이것이 병무청 법입니다 .. 그런데 2008년

 

부터 관련학과에 대학을 나온사람이 아니면 기사 자격증을 취득을 할수가 없게 되었습니다 . 그러니 이런

 

애매하신 분들은 기사 자격증을 딸수 없는 부분때문에 어쩔수없이 포기를 하시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자격증 등급에 따라 응시 자격은 아시죠? 모르신다면 기본적인 것만 알려드리죠.

 

 

기능사 = 누구나 가능합니다

 

산업기사 = 1번 관련학과 2년제 대학 2학년 재학중이나 졸업한 사람 

          

                2번 4년제 대학에 2학년 이수를 하고 3학년 재학이나 휴학중인자

 

                3번 기능사 취득하고 관련 분야에서 취업을 1년이상 한사람

 

기사 = 1번 4년제 대학에 4학년으로 재학중이나 졸업한 사람

 

          2번 기능사 취득후에 관련 분야에 취업을 3년이상 한사람

 

          3번 산업기사를 취득하고 관련 분야에 취업을 1년이상 한사람

 

 

 나머지도 더 있지만 상당히 기간이 오래걸리며 보통은 군대도 다녀올 기간이라 제외하겠습니다 ^^!

 

--------------------------

 

* 산업기능요원에서 단순노무직과 기술직에 있어 장단점 

 

 

 *단순노무직

 

 산업기능요원 중에서 일반적으로 80% 이상 차지한다고 볼수 있는 단순노무의 경우에는 특별한 능력이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 관련분야 자격증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많이 수월하다고 할수도 있습니다 . .

 

하지만 일반적인 부분에서는 외국인 노동자나 혹은 나이가 조금 있으신 분들이나 혹은 아주머님들하고

 

같이 일하는 경우가 많이 있으며 .. 그중에서도 일반 사람들이 하기 싫어하는 3D업종이라 하는 그런 단순

 

노무 관련 업무가 거의다 비중을 차지 하고 있는것은 어쩔수 없는 현실이라 할수 있습니다 .. 뭐 일이 조금

 

은 힘들거나 고될수 있는 부분에 단점 이 있을수가 있으며 어찌보면 이런 부분에 있어서는 별다른 능력이

 

있어야 하는것이 아니니 운이나 빽등으로 쉽게 갈수 있는 장점이 있을수 있습니다. 음 운이나 빽이 없으면

 

단점일수도 있지만요 ^^;;.. 단순노무의 경우는 자격증 하나면 들어갈수 있는 자격이 있으니 운이나 빽이

 

좋은 사람도 있지만 반대적으로는 지원자가 또 무지 많을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자격증 하나 있는 사람

 

은 공고나 상고 출신 사람들이 모두 다 경쟁 상대라고 할수가 있습니다 ..

 

 그런 사람들도 자격증 하나 정도는 다 있으니 산업체를 원한다면 지원을 많이들 하시겠지요.. 그래서

 

경쟁력이 강하다는 단점이 강하게 있기도 합니다 ...

 

 

 그리고 또한 능력에 상관이 없으니 해당 산업체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아는사람등을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종의 빽으로 간다는 부분이지요 ... 간단하게 예를 들어 님이 해당 단순업무직에 종사를 하시고 있었는데

 

내년에 해당 업체에서 티오가 나온다면 님의 친구중에 한분 부를사람 없겟어요 ?  있겠죠 ㅡㅡ? 그런 형식

 

입니다 . 그런 인맥(빽)이나 등으로 가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 

 

 또 강한 부분이 공고와 상고에서 3학년에 학교에서 2+1 이라는 의무취업이 있잖아요..! 그런곳중에서 학교

 

에서 취업을 하는곳은 거의 다 중소기업이고 방위산업체가 많이 걸리게 됩니다.. 거기서 계속적으로 일하던

 

사람들이 티오를 받아서 영장이 나온분들이 가는 경우도 많이 있고요... 이런 단순노무을 지원하는데 단점

 

들이 있습니다

 

 

* 기술직

 

 산업기능요원에서 사무직 업무,기술직이라 생각을 할수 있는 정보처리 분야와 건축관련의 캐드 분야가

 

있습니다 . 정보처리 분야를 아이티(IT) 분야라 할수 있으며 워드,액셀,하드웨어 같은 기본 문서작성등의

 

기술직을 떠나서 서버(운영체제) , 웹디자인 , 프로그래밍 (C,자바), 네트워크(ccna,ccnp), 데이터베이스

 

(ocp,sql)..등의 해당업무의 전문적인 능력을 어느정도 익혀야 합니다. 이는 관련파트의 업무이고 자리가

 

어느정도 한정이 되어 있어 일종의 취업란이라 할수가 있으며 관심이 있는분들에게는 미래 지행적이라

 

할수 있습니다 . 간단히 건축분야는 자리가 그리 없고 또한 경력등을 중시하여 아주 까다로우니 간단히

 

줄이겠습니다..

 

 

 정보처리 분야는 2007년에 연예인과 상류층등의 비리적인 부분이 많이 걸려서 2008년 부터는 지원

 

자격이 강화 되었습니다 . 그래서 전공관련으로 학교를 어느정도 이수를 하신 분들만 지원이 가능하게

 

변경이 되었습니다... 

 

 

 ( 정보처리(IT) 분야 지원자격 )

 

ㅁ 고등학교에서 컴퓨터 관련학과 졸업자

 

ㅁ 대학에서 컴퓨터 관련학과 2년 이상 이수한 사람 or 학점인정등에 관한법률에 따라 동등한 학력 이수자

  (학점은행제,독학사...)을 인정받은 사람 (국외대학의 학과는 국내대학의 분류기준에 준함)

 

ㅁ 정보처리[IT] 관련분야 이며 기술훈련 과정을 2년 이상 한번에 이수한 사람

 

ㅁ 정보처리 직무분야에서 실무경력으로 2년 이상 종사자 (병무청장 사전승인)

 

 

(관련학과는 조금이라도 정보처리 컴퓨터 관련의 공부가 있으시면 거의 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 『  ^.^  』 -------------

 

 

 조금 정리를 한다면 대표적인 산업체 지원에 있어서 단점이라고 한다면 정보처리 분야에서는 어느정도

 

공부를 해야 한다는 점과 관련 전공이 있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고 할수있습니다 .

 

장점에 있어서는 아시겠지만 기술직은 장점이 많이 있겠지요. 어떤 산업체이던지 들어가시게 된다면

 

님이 하기 싫어도 2년이상 3년정도는 하시게 될것입니다 . 그정도 경력이 생기게 된다면 요즘 세상에서는

 

좋은 대학을 나온것 보다도 훨씬더 좋은 대우를 받을테니까요 ..  한분야의 전문 기술직으로 2~3년 정도의

 

경력이 생기면 나중에 님이 무엇을 다시 하다가도 돌아올수 있는 기술이 생기는것이고 인생에 있어 보험이

 

하나 생기는것이라 할수 있습니다 . 들어가는 부분에 있어서 지원자격이나 실력이 있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반대로는 지원자격이 있어야 하므로 제대로된 지원자가 별로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어느정도

 

공부나 실무능력이 있어야 하므로 지원률이 단순노무직 분야 보다도 훨씬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지원

 

자격이 있고 능력이 뒷받침 되어야 하니까요. 

 

 

 개인적으로 저의 생각을 얘기드리겠습니다.. 님들의 미래를 우선 생각을 하시길 바랍니다 . 임용고시

 

관련이나 공무원 시험등이나 기타 다른 부분에 생각하시는 것이 있어 공부를 하셔야 하는 분들이나 혹은

 

님의 미래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듯한데 그냥 군대 회피용으로 생각을 하시는 분들 . 관심도 없지만

 

집안사정상 꼭 가셔야 하는 분들이 여러분야가 있지만 님의 미래에 도움이 되는 부분으로 선택을 하시길

 

바랍니다 ..

 

 

 산업기능요원을 생각하여 지원을 하시는분들에  있어 성공을 하지 못하면 시간을 더 버리게 될수도

 

있으며 절대 갈수 있다는 보장이 없으므로 그냥 현역이나 공익근무요원 혹은 사회 복무제도를 생각하시는

 

것이 더 좋을수 있습니다 . 그러니 후회없는 결정을 내리시길 바랍니다 ..

 

 

 단순노무직 분야를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뭐 어찌보면 산업체를 가고자 하여 준비를 하시는

 

시간과 복무기간으로 2년 10개월 이상을 쓰시는것 보다는 육군현역이나 공익근무의 경우에는 짧게 2년

 

미만이니 군대를 가는것도 나쁘지는 않을듯하니 잘 생각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

 

 

 정보처리[IT] 분야 기술직 분야를 생각하시는 분들이라면 어차피 관심분야의 도전이라면 해 보시길

 

바랍니다. 준비를 하시는 시간이나 과정도 미래에 있어서도 쓸수있는 공부를 하시는 것이니 나쁘지는

 

않으실것이며 최소한 기술특기병은 아주 쉽게 갈수 있으며 해당부분도 경력으로 님들 미래에 도움이

 

되실것입니다 ..

 

 아이티 분야의 제일좋은 장점이라면 2~3년 정도의 경력이 생기면 연봉이 경력직으로 3000만원 정도

 

상은 일반적으로 받는 추세이며 향후 5~7년 정도의 경력자가 되시면 프로젝트 팀장이나 혹은 프리렌서

 

전향을 하여 미래를 만드신다면 연봉은 정말로 5000~7000 만원은 정도는 쉽게 벌수도 있으니까요..

 

미래 지향적으로 산업기능요원을 생각하시면 아주 좋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정보처리 교육관련 교육원 공부에 관심이 있는 분들도 프로필 카페에 오시면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0^

 

 

 도움이 되셨나요.^^?  참고하시고 저는 [미필자군대문제] 대표카페를 운영하는데요.

 

대략 10만 여명이 넘는 인원이 서로 얘기를 나누기에 많은 분들이 서로 재검이나 생계유지사유나 산업체..

 

재검이나 재원증명서 등의 입영연기 방법이나 방위산업체 (병역특례) 에 대하여 정보공유를 하므로 많은

 

지식과 정보를 아시게 될것입니다 .ㅋ 카페 검색으로 입영연기 혹은 병역특례 , 병역감면 등을

 

치시면 맨위 1위 카페입니다 .  밑에 보시면 저의 프로필에 걸려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 10 만명 이상 함께 운영하는  카페이니 저희 카페를 참고하시는 것도 좋을것입니다ㅎ >

 

 

[↓↓↓↓↓ 바로 밑에 저의 프로필 대표카페가 링크되어 있으니 클릭하시면 나옵니다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산업기능요원으로 복무를 마친 사람입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하네요

 

1.아무나 들어 갈수있습니다.

현역이나 보충역이나 다 가능한데

현역에 경우에는 산업인력공단에서 주최하는 기능사 자격증이 필요합니다.

 

2.힘든곳도 있고 아뉜곳도 있죠

군대처럼은 압박이나 구속은 덜하겠죠

직장생활과 똑같아여

 

3. 방위산업체 근무하면서 알바 할수 없죠

아마 산업체에서 잔업이나 주야 2교대 작업시 아르바이트는 무리가 있겠죠

 

4.쪽팔리는건 없어요 남들 군대 이야기 할때 조용하면 되요 ㅎㅎ

그래도 훈련소 4주는 갔다와요 ㅎㅎ

근데 중요 한건 2년간 군대에서 배운거를 사회 생활에 적용하기가 힘든경우가 있죠

복무기간동안 기술을 터득해서 군에 갔다온 사람보다 경력이 쌓이는거죠

돈도 많이 벌어요 전 연봉 2800정도 받았으니깐

결국 전 차도 끌고 다니는데 친구들은 취업 준비로 바뿌죠 ㅎㅎ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자격조건만 되면 지원자격은 됩니다. 아무나 못간다는말은..

 

산업기능요원제도는 군복무를 다른방식으로 이행하는 대체복무제도인데요.

이런 제도는 군복무해야하는 인원을 일부 가져와서 복무시키는 그런 제도입니다.

기본적으로 군복무가 주 가 되어야하고 일부인원수만큼만 산업기능요원으로 대체복무할수있기때문에

선발인원수가 제한이 되어있습니다. 지원자는 많은데 비해서 선발인원은 적다보니깐 아무나 못간다는 말이

나온겁니다. 거기다 일부 아는 사람빽으로 들어가는 경우도 있고 뭐 그렇거든요..

 

2. 군대랑 직접 비교하긴 힘들지만 편한곳도 있고, 정말 힘든곳도 많이 있습니다.

군대든 산업기능요원이든 가장 크게 힘들게하는건 사람입니다.

군대도 선임병들이 갈굼이 심하면 군생활 꼬이는것처럼, 산업기능요원도 직장상사중 개같은놈 만나면

고달픕니다. 산업기능요원끼리 계급나뉘고 그런건 없습니다만, 직장상사들중에는 산업기능요원들을 노예처럼 부릴려고하고 막대하고 하는 사람들 간혹 있거든요.. 이런사람들있는회사가면 그야말로 고달프죠.

 

또 업무자체가 빡세게 돌아가는회사가면 그만큼 힘들겠죠.

주간야간 교대로 근무하고 잔업 특근이라고해서 일을 더하게되는데 업체에따라서 주말에도 출근해서

일을 해야하거나 하는경우가 있어요. 돈을 떠나서 하기싫어도 토,일 출근해서 일할려고하면 짜증나죠.

 

3.출퇴근이 기본입니다. 뭐 출퇴근거리가 멀고, 회사에 기숙사가 있다면 기숙사생활도 가능하구요.

알바같은건... 글쎄요. 원칙적으로 겸직하면 안될겁니다. 알바가 절대 산업기능요원 복무하는데 방해되면

안되고, 뭐 걸리지만 않으면.. 상관은 없겠죠.. 하지만 산업기능요원 자체로도 월급 받으니깐요.

알바를 굳이 할필요있나요..

 

4.그런거 없습니다. 현역나온사람들중 일부가 뭐라고해야할까 지들 뺑이칠때 널널하게 했다고 생각해서

배아파서 막무시하고 그런사람 있긴한데요. 요새 군대를 현역나오든 공익나오든 산업체나오든 상관없습니다. 쪽팔릴것도 없고, 정당하게 근무한거기때문에 부끄러워할것없습니다.

 

 

방위산업체 관련 질문인데, 꼭...

... 그러다가 우연히 방위산업체에 관해 듣게 되었습니다. 방위산업체로 들어가면 군... 다만, 질문자가 4급 보충역 판정을 받았다면, 병역 지정 업체 가운데 자체적으로 특정...

방위산업체 대체복무 전남편 양육비

방위산업체 중에는 양육비를 청구해도 받을 수가 없나요? 양육비 미지급은 직장으로... 있어서 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네이버 법률과 함께 지식iN 법률상담을 진행하고 있는...

방위산업체 업종 추천

... 그리고 스포츠에 관련된 방위산업체 있을까요? 질문자가 말하는 방위신업체가, 병역 의무를 대체 하는 산업기능요원으로 의무 복무를 할 수 있는 병역 지정 업체를 말하는...

방위산업체 질문이요ㅠ_

... 하는데요, 방위 산업체에 대해서 아는것이 잘없어서요, 몇가지 좀 여쭤볼게요 ㅠㅠ 1번째 질문으로 구분 학력에 따른 필요 자격증 등급 고졸 기능사 (고등학교/중학교 중퇴...

방위산업체 질문이요!내용100

... 제가 1월 초쯤에 바로 신체검사받으러가서 방위산업체를할려고하는데요. 지금아무것도몰라서요 국가기술자격증[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CNC,선반)합친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