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의 불법행위

법인의 불법행위

작성일 2024.04.2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법인의 불법행위가 너무 헷갈려서 여러 번 재정리중입니다. 
혹시라도 틀린 부분이 있다면 지적을 받고 싶어 질문을 올립니다... 부탁드립니다.

1. 대표권 내 옳은 행위 : 유효함 (34조), 불법이 아님.

2. 대표권 내 이지만, 대표기관이 자신이나 제 3자의 이익을 추구한 경우 
: 우선 유효하며 상대방이 선의가 아닌 악의였다면 취소주장이 가능하거나 무효가 됨, 불법행위 아님.

3. 직무와 관련된 행위위며 대표기관이 한 행위이며 불법 행위 : 
법인의 불법행위로 성립함 (제 35조 제 1항), 법인은 대표기관에게 구상권 행사 가능 (부진정연대)

4. 직무와 관련된 행위이며 대표기관이 한 행위이며 대표기관이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고자 대표권 밖에서 한 행위 
: 법인의 불법행위로 성립되며 제 126조가 적용되며 법인은 대표기관에게 구상권 행사 가능(부진정연대)

5. 피용자가 가해행위를 한 경우 (이사의 복임권)
: 법인의 불법행위로 성립할 수 없으며 법인은 사용자로서 책임을 지긴 해야함. (제 756조)

6. 정관 기재 목적 범위 외의 행위 
: 법인의 불법행위로 성립할 수 없으며 대표자, 사원등이 연대책임을 짐(제 35조 제 2항)

7. 정관 기재 목적 범위 외의 행위로 대표기관이 심각한 불법행위를 한 경우
: 제 750조 적용으로 대표기관 단독으로 책임을 짐.


#법인의 불법행위책임 #법인의 불법행위능력 #법인의 불법행위능력 민법

횡령, 사문서 위조에 대한 직원 불법행위

... * 회사 직원(소장)의 불법행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회사 법인카드 1,000만원 결제하여 상품권 전환 2) 근무중인 건물 회사(이하 B회사 라고 함)의 법인도장을 위조하여...

법인 대표이사의 불법행위와 개인재산에...

... 다만, 불법행위(사기,등)시 법인 대표이사 개인 재산에 책임이 부과되어 소송걸 수 있는지 여부가 궁금합니다. 걸 수 있다면 어떤식으로 할 수 있는지 상세하게 답변 부탁...

민법 법인의 불법행위책임 관련...

... 다음, 대표권 남용에 있어서 선의, 무과실의 인식대상은 대표권 남용 의사(배임적 대리행위-자기 또는 제3자의 이익을 위한 의사)이고, 법인의 불법행위책임에서 외형이론의...

법인의 불법행위책임, 계약책임

법인의 불법행위책임이랑 계약책임의 차이가 뭔가요? 민법을 처음 보는 거라 구분이 잘 안 되어 헷갈립니다... 법인의 대표기관이 법인을 위해(법인의 이름으로) 체결한...

[민법질문]법인의 불법행위책임

... 제35조에서 법인의 불법행위책임과 관련 대표기관이 한 법률행위였던 것도 추후에 제 35 조에 의거, 법인이 불법행위책임을 질 수 있다는 식의 내용이 있던것 같습니다....

법인의 불법행위

... 결국 법인의 행위로서의 성질을 가지게 되므로 간접적으로 법인에게 그 효과가 귀속됩니다. 제62조(이사의 대리인 선임) 이사는 정관 또는 총회의 결의로 금지하지 아니한...

[민법]법인의 불법행위 능력에서..

[민법] 법인의 불법행위 능력에서요 피용자가 제3자에 대해서 불법행위를 한경우에요 제3자는 피용자에대해서 750조에 근거한 불법행위 책임을 물을 수 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