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정승인 신문공고 후 절차 질문

한정승인 신문공고 후 절차 질문

작성일 2023.05.14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아버지의 망으로 제가 법원으로부터 한정승인 결정을 득하였습니다.

법원의 결정문을 송달 받은 후 신문공고를 거재 완료하였고

채권자들에게 결정문 내용을 포함하여 내용증명으로 발송 완료하였습니다.


공고 거재기간은 2달 완료되었고 장례비용이 분배 우선순위로 알고 있는데

재산 400만원, 장례비용 700만원, 채권액 200만원 (국세청 세금 포함) 입니다.

그럼 제 입장에서는 채권자들에게 대한 통지도 완료하였으니 상황이 종료된 것인가요?

나머지 재산은 사용해도 되는것인지.. 상속재산 청산절차 별도로 진행 해야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한정승인 신문공고 #한정승인 신문공고 비용 #한정승인 신문공고 방법 #한정승인 신문공고 이후 #한정승인 신문공고 기간 #한정승인 신문공고 안하면 #한정승인 신문공고 조회 #한정승인 신문공고 대행 #한정승인 신문공고 2개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채권신고를 한 상속채권자 및 알고 있는 상속채권자에 대해

공고 기간이 지난 후 상속재산으로 우선순위에 따라 변제하면 끝납니다.

민법 제1032조 이하의 절차를 밟으면 됩니다.

상속재산의 내역이 위와 같다면

장례비용이 상속재산을 초과하여 변제할 재산이 없음을 알리고

절차를 종료하면 됩니다.

[민법]

제1032조(채권자에 대한 공고, 최고)

① 한정승인자는 한정승인을 한 날로부터 5일내에 일반상속채권자와 유증받은 자에 대하여 한정승인의 사실과 일정한 기간 내에 그 채권 또는 수증을 신고할 것을 공고하여야 한다. 그 기간은 2월 이상이어야 한다.

② 제88조 제2항, 제3항과 제89조의 규정은 전항의 경우에 준용한다.

제1033조(최고기간 중의 변제거절)

한정승인자는 전조 제1항의 기간만료 전에는 상속채권의 변제를 거절할 수 있다.

제1034조(배당변제)

① 한정승인자는 제1032조 제1항의 기간만료 후에 상속재산으로서 그 기간 내에 신고한 채권자와 한정승인자가 알고 있는 채권자에 대하여 각 채권액의 비율로 변제하여야 한다. 그러나 우선권있는 채권자의 권리를 해하지 못한다.

② 제1019조 제3항 또는 제4항에 따라 한정승인을 한 경우에는 그 상속인은 상속재산 중에서 남아있는 상속재산과 함께 이미 처분한 재산의 가액을 합하여 제1항의 변제를 하여야 한다. 다만, 한정승인을 하기 전에 상속채권자나 유증받은 자에 대하여 변제한 가액은 이미 처분한 재산의 가액에서 제외한다.

제1035조(변제기전의 채무 등의 변제)

① 한정승인자는 변제기에 이르지 아니한 채권에 대하여도 전조의 규정에 의하여 변제하여야 한다.

② 조건있는 채권이나 존속기간의 불확정한 채권은 법원의 선임한 감정인의 평가에 의하여 변제하여야 한다.

제1036조(수증자에의 변제)

한정승인자는 전2조의 규정에 의하여 상속채권자에 대한 변제를 완료한 후가 아니면 유증받은 자에게 변제하지 못한다.

제1037조(상속재산의 경매)

전3조의 규정에 의한 변제를 하기 위하여 상속재산의 전부나 일부를 매각할 필요가 있는 때에는 민사집행법에 의하여 경매하여야 한다.

제1038조(부당변제 등으로 인한 책임)

① 한정승인자가 제1032조의 규정에 의한 공고나 최고를 해태하거나 제1033조 내지 제1036조의 규정에 위반하여 어느 상속채권자나 유증받은 자에게 변제함으로 인하여 다른 상속채권자나 유증받은 자에 대하여 변제할 수 없게 된 때에는 한정승인자는 그 손해를 배상하여야 한다. 제1019조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한정승인을 한 경우 그 이전에 상속채무가 상속재산을 초과함을 알지 못한 데 과실이 있는 상속인이 상속채권자나 유증받은 자에게 변제한 때에도 또한 같다.

② 제1항 전단의 경우에 변제를 받지 못한 상속채권자나 유증받은 자는 그 사정을 알고 변제를 받은 상속채권자나 유증받은 자에 대하여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다. 제1019조제3항 또는 제4항에 따라 한정승인을 한 경우 그 이전에 상속채무가 상속재산을 초과함을 알고 변제받은 상속채권자나 유증받은 자가 있는 때에도 또한 같다.

③ 제766조의 규정은 제1항 및 제2항의 경우에 준용한다.

제1039조(신고하지 않은 채권자 등)

제1032조 제1항의 기간내에 신고하지 아니한 상속채권자 및 유증받은 자로서 한정승인자가 알지 못한 자는 상속재산의 잔여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그 변제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상속재산에 대하여 특별담보권있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한정승인 신문공고 후

한정승인 신문공고 진행중입니다. 혹시모를 일을 대비해서 한정승인 한거라서 내용증명 관련된 일은 안해도 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두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1. 법원에...

한정승인 신문공고 후

... 돌아가셔서 한정승인 신청을 하였는데, 오늘 심판서가 날아와서 담당 법무소 찾아가서 신문공고를 할 예정일 거... 배당절차 진행이 가능합니다. 답변이 귀하분의 질문에...

한정승인 신문공고후 절차

... 한정승인 결정후 신문공고와 우편물상 채무에 대해 내용증명도 발송했고 별다른 특이사항없이 두달이 지났습니다. 망인의 적극재산(백육십만원정도)보다 장례비...

특별한정승인 신문공고 후 절차

특별한정승인을 진행중입니다, 신문공고 후에 우편이랑 다... 지난 배당변제하세요 서초동에 위치한 법무법인 포럼입니다. 더 궁금한 부분이 있으면 추가 질문이나 전화...

한정승인신문공고 필요한가요??

... 신문공고는 법원으로부터 한정승인 판결문을 받은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하는 절차로, 5일 이내로 법원이 지정한 신문사에 공고가 진행되어야 하며, 2개월간 지속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