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컨 질문 드립니다!!

에어컨 질문 드립니다!!

작성일 2010.09.10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글이 깁니다.. 죄송합니다..

 

가게를 운영중입니다..

가게에서 사용하는 제품이 삼성 ap-12000 모델로

83평형 냉온풍기 입니다.

덕트식으로 시공하여 사용중입니다.

대략 2000년도 쯤에 시공하여 현재까지 사용 중입니다.

 

3~4년전 쯤..

냉방이 현저하게 떨어진듯 하여

a/s를 받았습니다.

최초 가스 재 주입 후에 수리가 되지 않아

에바 부분 수리(교체 인지 아닌지는 정확히 기억이 안납니다..) 후에도 개선 안됨으로

에어컨 배관 전체 교체.. 후에도 개선 안되어..

실외기 컴프 교체로 수리 완료 하였습니다.

 

그 후

잘 사용하다가..

올해..

컴프가 기동 함과 동시에 (기동 소리도 끼릭끼릭 하면서 좀 안좋은 소리..)

가게 차단기(배선판에 에어컨 차단기 외에 다른 차단기 포함)가 다 떨어져서

a/s를 받게 되었습니다.

 

최초 진단결과 콤프 고장이라 진단 하여

콤프 교체를 하였습니다.

 

그 후 일주일 가량 문제 없이 사용하다가

다시 콤프레샤가 기동하게 되면 에어컨이 꺼지는 증상이 나타나게 되었습니다.

(전 처럼 차단기는 떨어지지 않으나.. 에어컨이 자동으로 꺼짐)

 

배관이 막힌것으로 최종 진단하고.. 에바를 교체 해야 한다고 하였으나..

삼성 센터에 해당 기종 에바가 없어서.. 부품 수급까지 대략 20일 이상

소요될듯 하다 하여..

 

생업이 달려있는 문제다 보니..

사설 a/s를 불렀습니다.

 

a/s를 와서 이것저것 확인 후.

실외기에서 배전판 처럼 생긴 곳에서(배선들이 있더군요)

작업을 한 후에 에어컨이 정상 작동 되었습니다.

실외기가 돌면 에어컨이 꺼지던 증상이 없어지고 정상 가동 되었습니다.

수리 내역을 문의 하니

실외기에서 압력을 체크하는 부분이 있는데(누전차단기와 비슷한 원리라 설명하더군요)

그 부분을 거치지 않고 그냥 다이렉트로 운영 되게 임시로 손 보았다 하였습니다.

위 부분에 대한 정식 명칭을 모르겠습니다..

 

대략 일주일 후..

사설 a/s에서 다시 방문하여

배관 압력 체크 후 조금 막힌듯 하다고 질소를 이용하여 배관 뚫고

실외기 청소 등 작업을 한 후

최초 작업했던 압력 체크 부분은 원상태로 복구 하였습니다.

정상 가동 되었습니다.

 

다시 일주일 정도 후..

실외기가 가동이 되면 에어컨이 꺼지는 증상이 다시 발생 되어..

사설 a/s를 다시 부름..

처음 했던 압력체크 부분을 다시 삭제..

만약 다시 연결하면.. 실외기작동시 에어컨 꺼지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부분이 꺼름직 하여..

혹시나 압력을 체크 하지 못하고 기계가 계속 작동 하여 폭발하거나.. 하는 큰 문제가

생기는것 아니냐고 문의를 하였으나..

기사님 얘기로는 최악의 상황에는 그냥 멎는데.. 이상 없이 사용할 것이라 함..

 

그 후 한달 가량 이상 없이 사용 하였습니다..

 

헌데 최근.. 실내기 쪽

쭈글쭈글한 부분과 배관 쪽(굵은 배관)에 성애가 꽤 두껍게 끼어서

냉방 효과가 전혀 없다 시피 합니다..

일주일 전쯤에는 1시간 30분 가량 가동시에 성애 발생

2~3일 전에는 1시간 가량 가동시 발생

어제 오늘의 경우에는 20~30분 가동시에 발생 되었습니다.

오늘은.. 성애+얼음도 얼더군요..

 

 

여러모로 찾아보니..

가스부족일 수 있으나..

배관 막힘으로 인한 현상 일 수 있다 하여..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3~4년전 수리 내역은 참고 삼아 말씀 드렸고..

 

질문 드리겠습니다.

 

1. 올해 받은 수리 내역들이.. 배관의 막힘으로 인한 증상일 수 있는지..

(콤프 수리 이후의 정황들이.. 배관의 막힘으로 온 증상들인지..)

 

2. 또한 현재 상황으로 봐서.. 제가 받아야 할 수리는 어떤 것인지..

 

3. 사설 a/s에서 작업한 대로 (압력체크삭제) 사용해도 이상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상황도 복잡하고 글도 길어서.. 죄송합니다..

 

좋은 하루 되시고.. 항상 행복하세요..


#에어컨 질문 #삼성 에어컨 질문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중대형에어컨을 냉온풍기로 사용하신다면   난방운전시  온풍은  전기히터로  작동이 되겠네요.

그 만큼  전기료가  발생이 되었겠구요.

요즘의 중대형냉난방기는  히트펌프기능으로  난방시에  보조히터10kw ( 구형은 40kw이상 ) 사용합니다.

 

중대형에어컨은  전면토출형일텐데  덕트식이라면  2000년도 당시에는  덕트용 에어컨이 없었기에

많이들 사용하였습니다.  그러나 정식 덕트용이 아니기 때문에  제품에  상당한 무리가  있었을 겁니다.

 

또한 제품이  2000년식이면  현재 10년이 되었구요.  서비스부품 보증기한이 넘은 상황입니다.

 

답변이  길어질것 같은데,  간단히 말씀드리면 종합적으로는  개인적인 생각엔  제품교체를  검토하셔야

할 듯 합니다.

노후된 성능으로 냉난방능력도 떨어지며  열교환기,콤프 등의 부품이  여기저기에서 고장이 나면서

비용만 축내게 됩니다.  그리고  실내기이건 실외기이건  제품에 하자가 발생되었는데  배관을 손봐서

A/S비용이 드는건 ,,, 이해하기가 어렵구요. 

 

질문과 다른방향의 답변이지만,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에어컨이 작동이 안되어 고민이신것 같은데요..

과거에 비슷한 경험이 있어서 답변드립니다.

 

제가 에어컨 설치하는 곳에 일을 하였을 때인데요. 냉난방기이고 여름에 시원한 바람이 안나온다하여 수리하러 갔습니다.

가장먼저 실외기 압력을 체크할려고 하였는데 실외기의 저압(큰)배관이 얼어있었습니다.

보통 배관이 얼면 가스를 보충을 해야되서 압력체크를 해봤는데, 역시나 압력이 부족했습니다.

그래서 에어컨 가스를 보충하였는데, 가스의 양이 1kg 이상 들어갈정도로 가스넣었는데 압력이 올라가지 않는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콤프레샤 문제인줄 알고 포기할려고 하였는데, 실내기 바람소리를 들어보니 평소와는 조금 다른게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실내기를 다 분해해서보니, 열교환기의 윗부분은 깨끗했는데, 아랫부분(팬과 열교환기 사이)쪽의 열교환기에 먼지가 1cm이상 끼어있는 것이었습니다.

 

먼지를 제거하니깐, 압력게이지가 한계를 향해가고있었읍니다. 빨리 가스를 뺏지요. 가스를 보충한만큼 빼냈습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1. 위의 내용이 원인의 한가지 일수 있습니다.

만약 배관이 막힌게 원인이라면 배관이 막힌상태로 계속 사용을 한다면 콤프 고장의 원인이 될수 있습니다.

 

2. 만약 매일 에어컨 필터청소만 했다면, 내부청소도 해보세요.

손재주가 있으시면 혼자하셔도 되고, 부담되신다고 생각되면 기사불러서 도와주라고 하세요

 

3. 제 생각에 질문자의 경우에는 압력체크가 작동하는 이유가 압력이 너무 낮아서 작동을 하는 것 같습니다.

배관이 어는 경우는 대부분 압력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보통의 경우에는 압력체크하는 부분을 삭제할경우 배관 압력에 문제가 생겨도 정지를 안하므로 실외기 고장의 원인이 될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질문자께서 걱정하신 압력으로 인해 터지는 경우보다 콤프레샤가 열받아서 먼저 고낭나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아무튼 길 질문에 대해서 확실한 답변을 못해드린것 같은데요, 혹시나 이런경우에도 그럴수 있어서 답변드립니다.

 

아무튼 잘 해결되었으면 좋겠네요..

 

lg에어컨 질문드립니다.

집천장에 달려있는 시스템 에어컨이 정속형인지 인버터인지 궁금한데 리모컨뒤에도 에어컨에도 모델넘버가... 에어컨은 생활가전입니다. 가입해 두셨다가 에어컨에...

에어컨 질문드립니다.

이사가는집에 삼성 에어컨있습니다. 침실에 에어컨 1개더 설치하고 싶은데 가능할까요? 에어컨 모델명은 모르고 실외기 사진 올립니다. 7평형 에어컨으로 아쉽게도...

투인원에어컨 질문드립니다.

... LG투인원에어컨을 하이마트에서 샀는데(살때 일부러 제일좋은거 샀어요350만원) 거실에서 에어컨을틀면 시원한바람이 잘나오는데 문제는 안방과 같이켜면 벽걸이 에어컨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