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작성일 2024.05.2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책을 보다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책에서 은행은 다른 사람에게서 받은 돈의 일부를 나에게 주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예금한 돈의 일부를 컴퓨터 상에서 내 통장에 찍히게 함으로 돈을 "창조" 한다고 나와 있습니다. 그러나 같은 책에서 만일 모든 사람들이 한꺼번에 예금을 찾는다면 은행은 줄 돈이 없어 파산하게 된다고 나와있습니다. 하지만 책의 첫번째 주장처럼 은행이 나에게서 받은 돈을 다른 사람에게 실제로 주는 것이 아니라 전산상의 일이라면 은행은 그 돈을 그대로 가지고 있어야 하지 않나요?


#ebs 다큐프라임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ebs 다큐프라임 다시보기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요약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pdf #ebs 다큐프라임 돈의 얼굴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책 #ebs 다큐프라임 1부 제국의 황제 - 진시황 #ebs 다큐프라임 예고편 #ebs 다큐프라임 민주주의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아닙니다.

그 돈은 전산상ㆍ장부상으로만 존재할 뿐 실제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것은 "예금자는 갑자기 모든 예금을 인출하지는 않더라" 는 경험칙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시스템입니다.

즉, 예금 인출에 대비하기 위해 법정지급준비금(최소한의 지급준비금)을 남기고 나머지를 대출하고, 대출이자의 일부를 예금자에게 예금에 대한 이자로 지급합니다.

즉, "예금의 일부분만 남겨놓고 대출을 하고, 그 대출금의 일부는 다시 예금 되고 그 예금은 또 대출금이되고..."라는 시스템을 통해 장부상 돈의 액수는 실제 존재하는 예금액보다 훨씬 크게 됩니다.

이것을 화폐창조기능 이라고 합니다.

은행의 이러한 시스템은 "신용" 을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만일 은행의 지급준비금과 관련하여 아무 문제도 없는데, 예금자들의 일부가 집단으로 문제가 있다고 잘못 판단하는 경우, 이들은 갑자기 모든 예금을 인출해버립니다. 이 때, 실제로 은행의 지급준비금은 점차 고갈되어 가므로, 은행은 망해갑니다.

잘못된 예측이 현실화 되어 은행이 정말로 망하고 있으므로, 잘못된 판단을 하지않았던 예금주들도 인출을 시도하며 은행은 파산하게 됩니다.

이를 뱅크런이라고 합니다.

즉, 은행이 망할이유가 전혀 없는데, 망할것이라고 (잘못된) 예측을 하면, 은행이 파산할 확률이 높아지고, 멀쩡했던 은행에 진짜로 큰 문제가 발생하며 잘못된 예측을 하지 않았던 예금주들도 예금인출을 시도하며 망해버리게 됩니다.

경제학에서는 이처럼 단순히 "기대" 즉 "생각" 만 하더라도 그것이 실제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꽤 있습니다. 이를 보통 자기실현적 기대 라고 부릅니다.

Ebs 다큐 프라임자본주의 질문

... 『자본주의』는 자본주의를 쉽게 풀어낸 방송, ‘EBS 다큐프라임자본주의》 5부작’을 책으로 엮은 것이다. 지갑 속 돈과 통장, 매달 갚아야 할 대출금과 이자, 살고 있는...

밀리의 서재

EBS다큐프라임 자본주의 보도 섀퍼- 돈 바빌론 부자들의 돈 버는 지혜 부자의 그릇 (소설) 똥글이-돈은 좋지만 재테크는 겁나는 너에게 (에세이) 위 도서 중에 밀리의 서재에...

31살 남자 문의

31살 남자 앞으로 사회생활 면에서 도움되는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자기계발,나이대에 맡는 취미,생각 등) 이 책들 좋아요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저자 E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