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외부효과)질문이요!!

경제학(외부효과)질문이요!!

작성일 2016.08.0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공공재의 경우에 무임승차 유인이 존재하므로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수준보다 작게 생간되는 경향이 있다.'

이 문장이 맞다고 하는데 저는 잘 이해가 안됩니다.

무임승차라는 것은 소비의 측면이니까 소비의 외부 비경제라고 생각 되어,
사회적편익이 사적편익보다 작다고 생각했습니다.
(SMB=PMB-MEC)
이를 토대로 그림을 그려보니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그래도니 저는 오히려 과다 공급 중이라고 나오던데...
어느 부분이 잘못된 건가요?ㅠㅠ
도와주세요 고수님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공공재의 경우는 외부효과의 그래프와는 조금 다릅니다.

공공재의 가장 중요한 성질인 비경합성과 비배제성으로 인해 일반적인 사적재화와는 다른 수요곡선이 도출되기 때문이죠.

일반적인 사적재화의 경우, 시장전체의 수요곡선은 개별소비자 수요곡선의 수평합으로 이루어집니다.

개별소비자의 수요곡선이 특정 가격에서 얼마만큼의 양을 소비할 것인지를 나타내고 있고(수직축으로부터의 거리), 배제성으로 인해 해당 재화를 본인만 소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P*의 수준에서 A의 소비자가 a만큼 소비할 계획이고, B가 b만큼 소비할 계획이라면 시장 전체의 수요는 P*에서 a+b만큼이 됩니다. 즉 개별소비자의 수요곡선의 수평합입니다.

그런데 공공재의 경우에는 비배제성과 비경합성으로 인해 어떤 사람이 한 재화를 소비하면 다른 사람도 그것을 무제한 소비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수요곡선의 높이(수평축으로부터의 거리)를 한계편익이라고 생각해볼때 시장에서 Q*만큼 소비되고 있을 때의 시장, 전체 한계편익은 A와 B의 한계편익의 합입니다.

따라서 공공재의 시장수요곡선은 개별소비자의 수요곡선의 수직합이 되는 것입니다.

결국 그림을 그려보시면 공공재일 때의 시장수요곡선보다 사적재화일 때의 시장수요곡선이 더 많은 수요량을 갖고 있기 때문에 공급곡선과 만나는 점을 표시해보면 공공재는 사적재일때보다 과소생산됨을 알 수 있습니다.

이해안가시는 부분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

경제학질문 외부효과

... 외부경제다” 이게 틀린 이유가 의도성이 있기 때문이다라는 것을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 교육산업은 외부경제... 증진시킨다면 외부경제이다” 이 두개는 외부경제가...

경제학 외부효과 질문

... 그 중 하나가 질문자께서 올려주신 외부효과(긍정적 외부효과) 입니다. 긍정적 외부효과라도 결론적으로는 과일 생산량이 원래의 사회적 최적생산량보다 적게 생산될 수...

경제학원론 외부효과 질문입니다.

외부효과관련된 문제인데요. 재화 x는 정(+)의 외부효과를 갖는다. 이때, 시장가격이... 맞으면 왜 맞는디 틀리면 왜 틀린지 경제학고수님들 ㅠㅠ 꼭 알려주세요 이건 그래프...

경제학원론 외부효과에 대한 질문입니다

... 위의 질문의 연장선상에 있는 질문인데, 소비자가 외부효과를 어떻게 인식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다시 말해서, 균형수량이 B점이 아니라 A점인 것은 소비자가 느끼는...

공공재 , 외부효과 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맨큐의 경제학에 나오는 거래비용 , 공공재 , 외부효과 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경제... 일대일 질문을 해주셨으니 최대한 도움이 되도록 답변해 보겠습니다. 미리 말씀드리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