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문제

경제 문제

작성일 2015.04.28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경제문제가 일어나는 이유로 글을 써야 하는데

경제문제가 왜 일어나고 어떤 일들이 있는지 알려주세요!


#경제 문제 #경제 문제집 #경제 문제집 추천 #경제 문제 예시 #경제 문제집 pdf #경제 문제 기사 #경제 문제 종류 #경제 문제 풀어주는 사이트 #경제 문제 해결방안 #경제 문제 뉴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경제 문제는 왜 나타나는가 - 희소성의 법칙

경제 문제가 나타나는 이유는 희소성(稀少性, scarcity) 때문이다. 무한한 인간의 욕망과는 달리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자원은 한정되어 상대적으로 부족한 현상을 희소성이라고 하는데 이로 인해서 경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희소성의 문제가 없다면, 즉 인간에게 필요한 모든 자원이 얼마든지 있다면 누구나 원하는 것을 가질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른 경제 문제는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우리가 살아가는 데 필요한 산소는 희소성이 없다. 누구나 마음껏 호흡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하기 때문에 산소에 대한 경제 문제는 일어나지 않는다. 만약 산소가 모자라서 희소성이 생긴다면 산소를 생산하고 분배하고 소비하는 등의 경제 문제가 발생하게 될 것이다. 결국 경제 문제가 일어나는 근본적인 이유는 한정된 자원으로 인한 희소성 때문이며 이러한 단순한 원리가 경제학의 시작이 된다. 

경제에 대한 3가지 문제

자원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정해진 자원으로는 사람들이 원하는 모든 경제 활동을 할 수 없다. 결국 이러한 희소성에 의해 경제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사람들은 주어진 자원으로 최고의 만족을 얻기 위한 선택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효율적인 경제 활동을 위해서 다음의 3가지를 고려해야 한다.

무엇을 얼마나 만들 것인가
경제 활동을 위한 자원은 한정되어 있다. 한정된 자원으로 모든 것을 만들 수 없기 때문에 자원을 무엇에 사용해야 할지, 얼마나 만들어야 할지 결정해야 한다. 즉 생산물의 종류와 수량 등을 선택해야 하는데 만약 가죽을 가지고 있다면 옷을 만들지, 가방을 만들지, 구두를 만들지, 얼마나 만들어야 할지 결정해야 하는 것이다.

어떻게 만들 것인가
생산에 관한 문제이다. 자동화된 생산 시설을 도입하여 자본집약적으로 생산할 것인지, 큰 돈이 들어가는 시설을 도입하지 않고 일꾼을 많이 써서 노동집약적으로 생산할 것인지 등과 같이 어떤 방법으로 만들어낼 것인지 선택해야 한다.

누구를 위하여 만들 것인가
재화나 용역이 만들어지면 이것을 갖고자 하는 욕망이 있는 사람들에게 나누어주어야 한다. 즉 재화나 용역을 누구에게 어떻게 분배할 것인지 선택해야 한다.


선택의 기준이 되는 기회비용과 반드시 잊어야 하는 매몰비용

희소성은 선택을 낳는다. 어떤 사람이 포도 1kg을 가지고 있을 때 이것으로 포도잼을 만들면 포도주스는 만들지 못하고, 어떤 사람이 1만 원을 가지고 영화를 보면 연극을 볼 수 없다. 한정된 자원으로 무엇인가 생산하려고 한다면 다른 것을 생산하지 못하고, 어떤 목적으로 자원을 소비하려고 한다면 다른 목적으로는 소비할 수가 없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어떤 재화를 생산이나 소비할 수도 있지만 반대로 생산이나 소비를 희생하거나 포기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게 되므로 가장 효율적인 곳에 자원을 이용하려는 선택이 따르게 된다. 

어떤 재화나 용역을 선택함으로써 포기해야만 하는 재화나 용역의 가치를 기회비용(opportunity cost)이라고 한다. 즉 기회비용은 무엇을 선택했을 때 버려야 하는 다른 것에 대한 희생의 가치이므로 이러한 희생의 가치는 작을수록 좋다. 

월급 100만 원을 받고 직장에 다니는 어떤 사람이 돈을 더 벌어보겠다고 분식집을 하려고 생각하고 있다. 분식집을 알아보고 예상 수입을 계산해보니 한 달에 80만 원을 벌 수 있을 것 같다. 그렇다면 이 사람은 분식집을 시작하는 것이 좋은가? 아니다. 이 사람이 직장을 그만두고 분식집을 하게 되면 직장에서 받는 월급 100만 원을 포기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사람은 최소한 100만 원 이상을 벌어야 하는데 예상 수입이 80만 원이라면 차라리 회사에 다니는 편이 낫다. 이 때 직장과 분식집을 선택할 때 판단하는 기준은 직장을 포기할 때 버려야 하는 가치 100만 원이다. 이 100만원을 우리는 기회비용이라고 한다. 

기회비용은 선택의 문제가 있을 경우 합리적인 선택의 기준이 된다. 예를 들어 A와 B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 A를 선택했을 때 버려야 하는 B에 대한 희생의 가치, 즉 기회비용이 크다면 A를 선택하는 것은 잘못된 선택이 된다. 반대로 B를 선택했을 때 A를 포기하는 기회비용이 작기 때문에 B를 선택하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기회비용은 상대적인 개념이므로 합리적인 선택을 하려면 각각의 기회비용을 따져보고 기회비용이 작은 것을 선택해야 한다. 

이러한 선택의 문제는 항상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단지 상대적으로 큰 만족을 얻기 위해서 얼마나 많이, 얼마나 적게 얻거나 포기하느냐의 문제이다. 물건을 만들어내는 사람들은 어떤 상품을 얼마나 생산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고, 소비자들은 어떤 상품을 얼마나 사는 것이 가장 큰 만족을 얻을 것인가를 저울질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경제는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최대한의 만족을 누리려는 선택의 문제에서 발생하는 것이고, 각 요소에 대한 비용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어떤 영향을 주는가도 고려해야 한다. 이렇게 합리적으로 선택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 바로 기회비용의 개념이다.


이와 관련된 비용의 개념으로 이미 지출했기 때문에 어떤 선택을 하더라도 다시 회수할 수 없는 것을 매몰비용(sunk cost)이라고 한다. 빵을 사먹을지 우유를 사먹을지 고민을 하다가 빵을 사서 먹는 순간 맛이 없어 후회를 한다고 해도 이 비용은 다시 돌려 받을 수 없다. 맛이 없어 먹기가 싫어지면 그만 먹어야 하는데 빵을 산 돈이 아까워 억지로 다 먹으면 오히려 체하게 되고 약 값을 더 지출하게 된다. 이처럼 빵을 사는데 들어간 비용은 매몰비용 이므로 빵과 우유 중 하나를 선택할 때는 고려대상이 되지 않으며 다시 회수할 수 없는 비용이므로 무시하거나 잊는 것이 좋다. 그러나 매몰비용에 연연하게 되면 빵을 억지로 다 먹고 체하게 되는 것과 같이 다른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니 부적절한 선택에 의한 매몰비용은 다음 선택을 할 때 고려하지 말아야 한다.

기본적인 경제 문제 질문

기본적인 경제 문제 3가지 중 ‘(생산) 분배의 문제’가 있는데요 이게 만약에 빵(생산물)을 생산했는데 이걸 누구(고객[소비자])에게 나눠 줄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뜻하는...

복지병=경제문제?

복지병도 경제문제의 범주에 포함되나요? ‘경제문제’의 정의가 뭐죠..? 경제 문제는 경제 활동과 관련된 모든 문제로 복지병은 사람들이 복지 정책에 기대어 일하지 않는...

고1 사회 경제문제 질문

여기서말하는 경제문제가 뭔가요? 네~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 경제 문제의 해결 방식에 다라서 경제 체제를 분류 한 것 같은데요. 현실에서의 경제 문제라는 것은 다소...

경제 문제 질문

... 해당 경제 문제에 대한 배경 정보를 간단히 설명합니다. 3. 정확한 정보와 데이터를 제공하여 질문에 대한 해답을 제시합니다. 4. 가능하다면 예시나 그래프 등을 활용하여...

경제 문제

경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희소한 자원을 어떻게 사용하고 분배할지 결정하는 제도나 방식이 경제 체제하는데, 여기서 희소한 자원을 사용하고 분배하는 방법이 시장 계획...